$\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家宅信仰을 통한 韓國傳統住居空間의 意味 考察
Analysis of Meanings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Spaces From A Viewpoint of House Spirits Religion 원문보기


나하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거는 사회적 환경의 산물로서 거주자의 인문사회에 대한 관점이 반영된 실체이다. 그러므로 주거공간을 이해함에 있어 주거공간에 부여된 문화적, 상징적 동기와 가치관을 소홀히 한 체 현상학적 특성만을 찾는 것은 주거의 본질을 왜곡시킬 여지가 다분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주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나타난 건축적 공간과 더불어 그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거주자의 사회적 관점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전통주거를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대신앙의 근간이 되어왔던 민간신앙의 여러 유형 중 주거를 배경으로 형성된 가택신앙을 고찰하였으며, 가택신앙에는 그것을 만들어낸 사람들의 생활관이 스며들어 있을 것이라는 생각과 그러한 인간에 대한 생각들이 주거공간 조직을 만들어 내는 여러 요인중의 하나를 반영하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전제되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선행고찰을 통해 본 연구는 가택신앙에서 등장하는 가선의 성격과 기능을 통해, 공간의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으며 주거공간과 인간 그리고 인격화된 가신의 상징적 연관성을 통해 한국전통주거의 공간구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기존의 민속학분야에서의 조사를 바탕으로 여러 분야의 연구결과들을 원용하는 종합적 접근방법을 취했으며, 이를 통해 진행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전통주거의 거의 모든 공간에는 각각의 기능을 지닌 가신이 좌정되어 있다. 이는 한국전통주거공간이 세속된 인간세계에 건설된 성스러운 공간으로써 주거외부의 俗됨으로부터 주거내부공간의 聖스러움을 보호하기 위함이었다. 따라서 한국전통주거를 가택신앙의 신앙적 체계로 살펴보면, 건물로서의 주거 건축이 가신들이라는 인격체로 의인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건물로서의 주거' 와 '가신의 거처'가 동일시되는 동시에, 주거는 가신이라는 신격체들로 신성시되어 왔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한국전통주거는 기능적 요구에 의한 물리적 공간일 뿐 아니라 신의 개념과 함께 신성공간을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종교적인 상정과 의미를 통하여 재앙을 방지하고 풍요로운 삶을 유지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2) 신·인간·공간의 상징적 관련성 속에서 한국전통주거공간의 구성원리를 이해하기 위하여 가신과 주거공간과의 관계를 고찰해 본 결과 신들의 관계는 신앙을 만들어낸 사람들의 생활상을 반영하며, 신의 공간적 위치는 실제의 공간적 구성원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2-1) 주거내에 존재하는 가신의 위계는 주거공간의 중요성과 위계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신들의 존재는 그곳에 거주하는 거주자와 그들의 생활을 반영하며 가신들간의 위계질서는 곧 주거공간의 위계적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2-2) 제주도의 문전본풀이와 경기도 화성의 성주굿 무가를 분석해본 결과 제주 도민가의 공간구성 원리에는 부엌과 변소의 위치를 반대편에 놓으려고 하였던 점과 마당과 대문의 위치를 직접 맞닿게 하지 않고 긴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ving spaces are the results of social environment and also the reflection of the viewpoints by their residents toward human culture and society. Therefore, in studying living spaces, the true essence of the spaces could be easily distorted when cultural and symbolic motives and values are disregar...

주제어

#가택신앙 한국전통주거공간 Korean Traditional Housing Spaces 

학위논문 정보

저자 나하영
학위수여기관 전남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건축공학과
지도교수 천득염
발행연도 2001
총페이지 80p.
키워드 가택신앙 한국전통주거공간 Korean Traditional Housing Spaces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8202326&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