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도시의 지하공간의 대규모화, 심층화 및 복합화는 잠재위험을 가중시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하공간의 이용은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되며, 지하공간의 안전성과 쾌적성 확보를 위해서는 계획, 설계, 시공, 운용·관리 단계에서 안전성에 대해 검토되어야 한다. 특히 화재·폭발 사고 발생시 피난, 연기의 독성으로 인한 질식, 소화활동의 곤란성으로 인해 그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예방대책, 방화대책, 관리대책 등의 페일세이프(Fail-safe)적인 안전대책 뿐 만 아니라 종합적인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위험 관리[危險管理] 지하공간 위험관리정보시스템 위험관리 건축공학;
저자 | 박종근 |
---|---|
학위수여기관 | 광운대학교 |
학위구분 | 국내박사 |
학과 | 건축공학과 |
발행년도 | 2003 |
총페이지 | xvii, 182장 |
키워드 | 위험 관리[危險管理] 지하공간 위험관리정보시스템 위험관리 건축공학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8628242&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