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도자표현 연구

A study on the for mative Aspects of Earthenware as Expression in Ceramic Art


이혜승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과 도자디자인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류의 발생과 더불어 수렵채취 생활에서 농경 사회에 이르기까지 토기는 인간의 생활 속에서 양식을 운반하고 저장하기 위한 도구로서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토기는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그 시대의 생활상과 지역성을 반영하듯 형태의 다양성과 장식성을 가지고 만들어 졌다. 불이 발견되기 이전의 원시적인 토기에서부터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에 이르기까지 토기의 발전과정은 인간의 생활과 인류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미가 있다. 고대인들의 토기에 대한 의미는 용기(容器)에 무엇을 담는다는 의미 외에도 미적 욕구와 함께 조형행위(造型行爲)가 이루어졌음을 토기의 장식행위(裝飾行爲)에서 볼 수 있다. 토기에 선을 긋고, 붙이고, 구멍을 뚫는 장식적 효과에서 우리는 고대인들의 조형의식을 알 수가 있다. 전통 예술의 조형적 측면을 살려 우리의 심성에 내재되어 있는 전통의식을 이끌어내고 다른 문화와 구별되는 아름다운 한국의 미를 이어나가 창조활동에 바탕을 이룰 수 있도록 의미를 부여하고 흙을 통해 연구자의 주관적 도자예술로 표현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시대변천에 따른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형태와 문양,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토기만이 가지고 있는 독창적인 미적 요소를 상징적인 개념의 예술로서의 본질로 이해함으로서 작품제작에 있어 조형적 특성을 유추하여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 현대도자 조형에 응용하여 새로운 조형미를 창출하고자하며 이러한 조형적 특성들을 바탕으로 옛것에 대한 형태의 모방이 아닌 한 시대의 문화적 배경을 중심으로 생명력이 느껴지는 조형물로 표현하고자 한다. 이런 조형의식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그 모습은 다르지만 현대에 와서 전통도자와는 달리 실용적인 개념보다는 작가의 감성적인 내면의 세계를 표현한 조형물로써 의미를 두고 발전하였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선사시대의 즐문토기부터 삼국시대의 여러 특징적인 형태들의 토기에 이르기까지 조형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변화되어 왔으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외 발표된 학술논문과 전문서적, 고분 발굴 보고서 등 일반적 자료를 통해 토기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작품 제작의 기초로 삼았다. 작품 제작 과정에 있어서 역사성, 시간성이 작품에서 묻어 나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토기의 표면 질감 표현과 형태에 자연이라는 소재를 접목시켜 표현하였으며 제작 방법으로는 표현의 자유로움을 더하기 위해 다양한 성형 형식으로 물레 성형, 코일링, 판성형, 가압성형 등을 이용하였다. 태토는 토기의 표면 질감의 특성을 살려 성형 제작에 용이한 샤모트가 첨가된 석기질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arthenware in ceramics was used as a means to transport and store food in the course of the human evolution, which moved from hunting to cultivating the land. Therefore, it is true to state that earthenware ceramics reflect the life pattern of a region and its era. Throughout history, the earth...

주제어

#토기  #조형적특성  #도자표현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혜승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디자인학과 도자디자인
발행연도 2000
총페이지 vii, 64 p.
키워드 토기, 조형적특성, 도자표현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8951217&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