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 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원인을 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로 구분하고 이러한 스트레스 원인과 우울척도 배경변인(성별, 학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경제 수준, 가정의 화목정도)과의 차이와 상관이 있는지 분석하여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 기초자료로서 제공하며, 교사와 부모가 아동을 좀 더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의 특성에 따라 유발되는 스트레스는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정의 화목한 정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우울정서, ...
본 연구는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 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원인을 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로 구분하고 이러한 스트레스 원인과 우울척도 배경변인(성별, 학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경제 수준, 가정의 화목정도)과의 차이와 상관이 있는지 분석하여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 기초자료로서 제공하며, 교사와 부모가 아동을 좀 더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의 특성에 따라 유발되는 스트레스는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정의 화목한 정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의 우울은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정의 화목한 정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들의 스트레스유형의 정도가 우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대상은 안산시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학생 4학년 140명과 6학년 140명(총280명)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우울 척도에 관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실증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척도를 측정하여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별, 학습만족도별,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정의 화목정도에 따른 차이를 t 검정과 One-way ANOVA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 척도간의 연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우울척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 α=.05이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스트레스의 차이에 대하여 학습만족/ 경제수준/화목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어 학습 만족이 상·중·하에서 하에 속한 아동이 스트레스가 높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제 수준도 하에 해당되는 아동이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왔으며 가정의 화목도 화목하지 않다고 느끼는 어린이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인 우울 측도 정도는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서 학습 만족/ 경제수준/ 화목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어 상·중·하 어린이중 하에 해당하는 어린이의 우울측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스트레스 유형별 세부 요인에 따른 우울 수준에 미치는 전체적인 영향력에 대하여 단계적인 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유형별 세부요인중 학교생활 중 교우관계가 가장 강한 영향을 주었으며 다음으로 개인생활의 강박관념, 사회생활의 주변환경, 가정생활의 부모, 개인생활의 성격, 외모건강 순으로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우울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 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스트레스 원인을 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로 구분하고 이러한 스트레스 원인과 우울척도 배경변인(성별, 학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경제 수준, 가정의 화목정도)과의 차이와 상관이 있는지 분석하여 스트레스와 우울의 상관관계 기초자료로서 제공하며, 교사와 부모가 아동을 좀 더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사회생활의 특성에 따라 유발되는 스트레스는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정의 화목한 정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우울정서, 행동장애, 흥미상실, 자기비하 생리적 증상의 우울은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 학습만족도,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정의 화목한 정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아동들의 스트레스유형의 정도가 우울 수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대상은 안산시에 소재하는 S초등학교 학생 4학년 140명과 6학년 140명(총280명)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우울 척도에 관한 설문지를 조사하였다. 자료의 실증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척도를 측정하여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별, 학습만족도별, 가정의 경제적 수준, 가정의 화목정도에 따른 차이를 t 검정과 One-way ANOVA 분석을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스트레스 요인과 우울 척도간의 연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우울척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 α=.05이다.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스트레스의 차이에 대하여 학습만족/ 경제수준/화목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어 학습 만족이 상·중·하에서 하에 속한 아동이 스트레스가 높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제 수준도 하에 해당되는 아동이 스트레스 정도가 높게 나왔으며 가정의 화목도 화목하지 않다고 느끼는 어린이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적인 우울 측도 정도는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서 학습 만족/ 경제수준/ 화목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조사되어 상·중·하 어린이중 하에 해당하는 어린이의 우울측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스트레스 유형별 세부 요인에 따른 우울 수준에 미치는 전체적인 영향력에 대하여 단계적인 방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본 결과 스트레스 유형별 세부요인중 학교생활 중 교우관계가 가장 강한 영향을 주었으며 다음으로 개인생활의 강박관념, 사회생활의 주변환경, 가정생활의 부모, 개인생활의 성격, 외모건강 순으로 스트레스가 높아질수록 우울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actor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causes of stres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life, family life, school life and social life.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uses ...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actor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causes of stres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life, family life, school life and social life.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uses of stress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depression scale such as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economy and the degree of family harmony,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make use of them in order for parent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came up with the following problems of the research.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res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ife, family life and social life by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family harmony degre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depression, behavioral problems, loss of interest, self-abasement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family harmony degrees? Third, will the degrees of children's stress typ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depression? The researcher worked with a total of 2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composed of 140 fourth grades and 140 sixth grader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Ansan with the help of questionnaires regarding stress and depression scale. The researcher relied on SPSS 10.0 for Windows for the corroborative analysis of materials, measuring stress factors and depression scale and depending on t-test and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y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degree of family harmony. With a view to deter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factors and depression scale, the researcher tried to determine changes in depression scale in accordance wit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ve analysis. The significant level of all analyses stands at α=.05.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the surve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in accordance with learning satisfaction, economic level and harmony degree. The study indicates that those who have the lowest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are subjected to a high degree of stress. The subjects with low economic level are subjected to a high degree of stress. This is true of the subjects whose families are not in harmony. Second, the surve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s a whole by learning satisfaction, economic level and harmony level. Those with the lowest level of such variables turned out to be subjected to a high degree of depression. Third, the survey on the overall influences of detailed factors on depression level with the help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friendship is one of the most powerful factors among the factors of stress types, followed by the obsessive concepts of individual life, the surroundings of social life, the parents of family life, the personalities of individual life, appearance and health.
This study was design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factors and the degree of depression. The causes of stress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life, family life, school life and social life.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make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uses of stress and the background variables of depression scale such as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level of family economy and the degree of family harmony, to present basic material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and to make use of them in order for parent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children. With this in mind, the researcher came up with the following problems of the research.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tres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ife, family life and social life by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family harmony degrees?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depression, behavioral problems, loss of interest, self-abasement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family harmony degrees? Third, will the degrees of children's stress typ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depression? The researcher worked with a total of 28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were composed of 140 fourth grades and 140 sixth graders attending an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Ansan with the help of questionnaires regarding stress and depression scale. The researcher relied on SPSS 10.0 for Windows for the corroborative analysis of materials, measuring stress factors and depression scale and depending on t-test and one-way ANOVA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y gender, grade, birth order, learning satisfaction, family economic level and degree of family harmony. With a view to deter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factors and depression scale, the researcher tried to determine changes in depression scale in accordance wit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ve analysis. The significant level of all analyses stands at α=.05.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the surve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ss in accordance with learning satisfaction, economic level and harmony degree. The study indicates that those who have the lowest degree of learning satisfaction are subjected to a high degree of stress. The subjects with low economic level are subjected to a high degree of stress. This is true of the subjects whose families are not in harmony. Second, the survey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as a whole by learning satisfaction, economic level and harmony level. Those with the lowest level of such variables turned out to be subjected to a high degree of depression. Third, the survey on the overall influences of detailed factors on depression level with the help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s that friendship is one of the most powerful factors among the factors of stress types, followed by the obsessive concepts of individual life, the surroundings of social life, the parents of family life, the personalities of individual life, appearance and health.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