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周代의 上帝意識과 天命思想
周代上帝意識與天命思想 원문보기


배옥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동양철학전공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유학사상의 배경이 되는 「주대의 상제의식과 천명사상」의 형성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유학은 요 순을 조술하고 문 무를 헌장한 것으로, 멀리는 요 순의 정신을 으뜸으로 삼고 가까이는 주대의 전장제도를 회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학 사상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배경이 되는 주대의 사상과 그 의식이 어떠한 것인가 하는 것을 밝히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주의 조상은 후직으로, 후직이 상제를 肇祀하면서 상제의 보살핌이 이루어지게 되었고, 태왕과 왕계를 거쳐 문왕에 이르러 새로운 천명을 받아 주나라를 건국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주나라의 건국과 천명사상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공자는 언제나 천명을 실현하고자하였으며, 맹자 또한 진심 지성을 통하여 지천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유학사상은 천명사상을 기초로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이 이해한다면 주대에 이루어진 상제의식과 천명사상에 대한 연구는 유학사상의 본질을 이해 할 수 있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 주대의 천명사상에 대한 이해에는 몇 가지 고려해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 주의 시원과 하 은과의 관계이다. 일반적으로 주는 하 은을 계승한 것이라 하여 하·은·주를 삼대로 이해하고 있지만, 그러나 주의 상제의식과 천명사상은 주족의 형성으로부터 그 연원을 찾아야하기 때문에, 주나라가 하 은을 계승하였다는 관점과는 별개의 문제로 서술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족의 조상은 하 은의 조상과 같은 시대에 태어났다는 점에서 그 사상적 연원을 요 순의 시대에 두었다. 그것은 하 나라를 건국한 우왕과 상나라의 조상인 설, 주의 조상이었던 후직은 모두가 같은 시기에 생겨난 인물로서, 요 순에 의하여 우는 사공이 되었고, 설은 상에, 후직은 태에 봉하여졌으므로, 주의 시원은 독자적으로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주족의 형성으로부터 주의 건국과정에 나타난 천명사상의 형성과 발전을 논하는 것이므로, 하 은 주의 계승과는 무관하다는 것이 이 글의 중요한 관점이다. 둘째, 지금까지의 연구업적들은 주로 주의 역사에 관한 것들이 많았고, 그 내용 또한 대부분 그 시대의 유물과 유적의 발굴자료를 중심으로 기록한 것들이었다. 그러나 이 글은 주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명이 아니라, 그 시대에 나타났던 천명사상이 주의 건국 이념으로서 어떻게 작용하였으며, 그러한 의식들이 어떻게 유학사상으로 발전하게되었는가 하는 것을 밝히려 하였기 때문에, 이 글을 구성하는 일차적 자료는 유학경전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을 근거로 하여 주대의 상제의식과 천명사상이 유학사상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 이와 같은 시각에서 이 논문은, II상제의식의 기원과 변천, III상제의지의 수용과 그 발현, IV천명사상의 형성, V천명사상의 전개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유학사상의 형성 연원과 근본 정신은 모두가 주대의 상제의식과 천명사상에 연원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 구체적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상제의식의 기원은, 인간이 본래 자연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느낌으로서, 천에 대한 외경의식을 갖게된 것이 그 시초이다. 그러한 의식은 상제천에 대한 인식으로 변천하게 되었는데 이는 백성을 다스리는 정통성의 확보와 관계된 것이었다. 그러므로 상제 유일신에 대한 의식적 전환과 전환과 상제 천에 대한 자각은 자연에 대한 범신론 이후에 나타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는 통치자로서의 그 정통성을 확립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천을 체계화하려는 사상이 형성되기에 이르러 상제 유일신이 등장하게된 것이다. 요는 천도를 실현하고자 하였는데, 그 천도의 실체가 호천이었고, 순은 요의 제위를 물려받아 백성을 통치하면서 상제에게 類祭를 올리고 산천에 망제를 지내서, 산천과 四岳을 군신과 제후로 생각하게되었는데, 그것이 상제천의 의지가 인간의 질서로 계승되는 원초적 만남이었다. 주의 조상인 후직은 강원과 상제 사이에서 출생하여 순의 신하가 되었고, 순이 후직을 태에 봉하게되어 주족이 탄생되었다. 후직이 태에서 강원과 상제를 肇祀함으로서 상제는 생민의 주체이면서 또한 인간의 조상으로서 신인일체가 이루어지고 조선일여의 사상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제의 의지는 인간에게 수용되고 주족은 끊임없는 상제의 보살핌 속에서 마침내 주나라를 건국할 수 있었다. 후직의 상제 의식은 원시 종주권이 이루어지는 사상적 근거가 된 것으로서, 상제의식을 통하여 종주권을 형성하게 되었고, 종주권을 통하여 백성들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여 통치권을 획득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상제의 천명을 받아서 통치권을 얻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공류는 이러한 종주권을 처음으로 행사한 부족장으로서 공류의 시대에 빈 땅으로 천도하고 처음으로 君과 宗으로서 백성들의 높임을 받게 되었다. 공류가 君으로서 백성을 다스렸던 것은 백성들은 飮之 食之하도록하였기 때문이었는데 이러한 통치의식에서 양노의 仁民정신이 생겨나게 되었고 백성들과 더불어 함께 생활면서 公堂을 짓게되었는데 공당이 종묘와 사직의 원시적 형태로서, 여기에서 행하였던 양노의 예가 백성을 교화하는 방법이었다. 상제의 천명을 자각하게 된 것은 고공단보가 기산으로 천도하면서부터였다. 그것은 상제가 구공단보에게 종묘와 사직의 기초를 닦도록 하고 토지를 주어서 백성을 다스리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고공단보가 천명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빈땅에 살 때 인정을 베풀고 백성들의 신임을 받았기 때문이었는데 상제는 고공단보에게 백성을 다스릴 수 있는 덕을 부여하고 鳳土를 세우게 하였으니 그것이 사직의 시초였다. 이에 고공단보는 사공과 사도를 임명하고 종묘와 사직을 세워 왕업의 기초를 닦았다. 여기에서 고공단보는 상제의 명을 받들고 땅을 받들어 天神 地社 人鬼를 종묘에 수용하여 천지인이 일치하는 통치질서를 확립하였다. 이러한 효도의 정신은 왕계에 이르러 형제가 우애하는 悌의 덕이 형성되었으니, 왕계는 고공단보에 대한 효와 태백과 중옹에 대한 우애의 도리를 다하여 효제의 덕을 실천함으로서 상제는 왕계에게 덕음을 청정하게하고 시비를 살피도록 하였으며 선악을 분류하도록 하여 어른 노릇하게 하고 군주 노릇하게 하여 통치권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왕계의 덕을 계승한 문왕은 천명을 새롭게 받아들여서 주 나라를 건국 하였다. 이와같이 왕계가 실천한 효 제의 덕은 수신제가를 확립한 것으로서 이러한 효제릍 통하며 치국 평천하를 이룩하게 되었으니 그것이 주나라의 건국이다. 왕계의 덕을 계승한 문완은, 비로소 천명을 실현하고 이를 계승하여 왕업의 기초 를 닦았다. 문왕이 천명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선공에 순하고 그 뜻을 받들었기 때문에 귀신이 원망함이 없었으며, 그러한 하늘의 뜻이 안으로는 규문의 법도가 되고 나아가 형제에 이르러 집안과 나라를 잘 다스리게되었으므로, 하늘은 문왕에게 주나라를 건국하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이해한다면 후직의 조사에서 형성된 천조일여의 사상은 상제의 끊임없는 보살핌 속에서 주나라를 건국하기에 이르렀고 마침내 문왕에 이르러 새로운 국가의탄생을 이루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천은 인간에게 지선한 덕을 부여하였고, 그 덕은 본성에 깃들인 것이므로 인간의 덕성으로 정립된다. 그러한 덕은 하늘의 원초적 의지를 수용한 것으로서, 이를 밝히는 것이 인간으로서 마땅히 할 바이다. 요가 요다울 수 있었던 것은 극명준덕하는데 있었고, 순 또한 현덕이 升聞하였기 때문에 요의 제위를 이어 받을 수 있었다. 상제 천과 인간의 만남은 天·人의 관계였지만 실제적으로는 부자의 관계였다. 그러므로 천명의 구체적 실현은 효도를 행하는 명덕으로 이루어진다. 효도는 부자 사이의 덕목으로서 가정윤리의 기초가 되지만 그 근원은 상제를 받들었던 천조일여의 정신에 근본하기 때문에 상제에 대한 예는 효도의 정신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효도는 상제에 대한 제례에서 발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가족제도의 형성과 함께 부모에 대한 효도는 형제의 우애로 발전하였으니, 여기에서 悌의 덕미 형성되었다. 효는 神·人의 관계에서 발생된 것이며, 悌는 人·人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윤리라는 점에서, 悌는 사회적 덕목의 기초가 된다. 요의 이친구족은 제덕을 실천하는 효시라 할 것이며, 순은 효제를 실천하여 요의 제위를 잇게 되었고, 제위에 을라서 상제에 바쳤던 ...

주제어

#주대 상제의식 천명사상 

학위논문 정보

저자 배옥영
학위수여기관 전남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철학과, 동양철학전공
지도교수 최대우
발행연도 2003
총페이지 92p.
키워드 주대 상제의식 천명사상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8987143&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