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초등학교 음악 감상수업에서 그림 악보의 활용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laying stress on picture sheet music practical use in primary school listening to music class - focused on 4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원문보기
우리는 말을 배울 때 그것을 계속 되풀이 되게 듣고 또한 눈으로 봄으로써 어떤 상대 혹은 물체를 이해하고 말을 하게 된다. 이처럼 음악도 마찬가지로 음악을 알아 가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들음에서 음악을 이해한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초등학교 음악수업시간은 보편적으로 음악을 알아간다는 방법으로 악기를 다루고 노래를 부르는 것만을 중요시하며 학교현장에서 너무나 편중적으로 음악을 가르치고 정작 음악을 알아 가는 가장 기본적인 들으며 이해하는 것은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학생들은 음악 감상이 무엇을 위해 학습되고 있는지 조차 상실한 상태이며 지루하기만 한 수업시간이 되어져 버렸다. 이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
우리는 말을 배울 때 그것을 계속 되풀이 되게 듣고 또한 눈으로 봄으로써 어떤 상대 혹은 물체를 이해하고 말을 하게 된다. 이처럼 음악도 마찬가지로 음악을 알아 가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들음에서 음악을 이해한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초등학교 음악수업시간은 보편적으로 음악을 알아간다는 방법으로 악기를 다루고 노래를 부르는 것만을 중요시하며 학교현장에서 너무나 편중적으로 음악을 가르치고 정작 음악을 알아 가는 가장 기본적인 들으며 이해하는 것은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학생들은 음악 감상이 무엇을 위해 학습되고 있는지 조차 상실한 상태이며 지루하기만 한 수업시간이 되어져 버렸다. 이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며, 참된 음악 감상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의 음악에 대한 확고한 이해와 교육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수업과 철저한 수업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의미에서 그동안 수행되어진 비교적 일률적이고 비체계적인 감상수업의 방법을 개선하여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수업지도안의 모형과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법을 제시함으로써 많은 교사들이 이러한 방법을 습득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집중적이고 적극적인 감상을 유도 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음악적 흐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악보의 활용을 통한 감상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대상은 청각이 가장 많이 발달되는 시기인 초등학교 4학년으로 하였다. 효과적인 음악 감상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 중에서 악보를 보면서 감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는데 이는 청각적 형태의 음향이 시각적 형태로 지각되어 음 조직과 음악적 흐름이 좀 더 쉽게 인지되고 기억되기 때문인데,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악보를 보며 음악 감상을 하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어서 학생들에게 악곡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그림악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음악 감상 지도를 하는데 있어서 초등학교 4학년의 발달 단계와 발달 심리적.음악적 성장을 구안해보고, 시청각 자료들이 수업에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는지에 관해 고찰하고 음악교육에 있어 그림악보의 활용가치를 알아보았다. 또한 음악 감상을 하는데 있어서 지도하는 방법과 장애가 되는 이유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음악 감상을 지도함에 있어 효과적인 감상 수업의 지도 단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에 나와있는 감상 곡을 선정하여 특징과 감상 관점을 제시하고 지도단계와 음악개념에 따른 그림악보를 통한 감상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지도안의 내용은 악곡음미, 악곡분석, 악곡비교로 되어있으며, 세부 내용으로는 단원의 개관, 수업의 실제, 주요 개념 이해를 위한 그림악보 활용 내용으로 구분하였다. 그림악보로 나타낸 감상 곡은 서양 음악 곡으로 <피터와 늑대>, <동물의 사육제>, <스위스 행진곡>, <라데츠키 행진곡>이며 각 주제의 파악을 위하여 주제 막대 악보, 주제 그림 악보로 나타냈으며 이야기를 나타내는 악곡은 곡의 내용과 관련된 그림을 제시하여 음악에 흥미 있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제시된 도식악보의 활용방안이 학생들이 음악 감상을 하는데 있어 심미적 경험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음악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현행 음악 감상 수업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와 함께 바람직한 교육을 위하여 보다 체계화된 학습자료 및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수업자료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지기를 바란다.
우리는 말을 배울 때 그것을 계속 되풀이 되게 듣고 또한 눈으로 봄으로써 어떤 상대 혹은 물체를 이해하고 말을 하게 된다. 이처럼 음악도 마찬가지로 음악을 알아 가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들음에서 음악을 이해한다고 볼 수 있다. 오늘날 초등학교 음악수업시간은 보편적으로 음악을 알아간다는 방법으로 악기를 다루고 노래를 부르는 것만을 중요시하며 학교현장에서 너무나 편중적으로 음악을 가르치고 정작 음악을 알아 가는 가장 기본적인 들으며 이해하는 것은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이에 학생들은 음악 감상이 무엇을 위해 학습되고 있는지 조차 상실한 상태이며 지루하기만 한 수업시간이 되어져 버렸다. 이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말하며, 참된 음악 감상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사의 음악에 대한 확고한 이해와 교육 방향이 설정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수업과 철저한 수업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의미에서 그동안 수행되어진 비교적 일률적이고 비체계적인 감상수업의 방법을 개선하여 학생들의 발달 단계를 고려한 구체적이고 단계적인 수업지도안의 모형과 교수-학습 자료의 활용법을 제시함으로써 많은 교사들이 이러한 방법을 습득하고,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음악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집중적이고 적극적인 감상을 유도 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음악적 흐름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림악보의 활용을 통한 감상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대상은 청각이 가장 많이 발달되는 시기인 초등학교 4학년으로 하였다. 효과적인 음악 감상을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 중에서 악보를 보면서 감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는데 이는 청각적 형태의 음향이 시각적 형태로 지각되어 음 조직과 음악적 흐름이 좀 더 쉽게 인지되고 기억되기 때문인데,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했을 때 악보를 보며 음악 감상을 하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어서 학생들에게 악곡을 이해시키기 위하여 가능하다면 그림악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연구의 내용으로는 음악 감상 지도를 하는데 있어서 초등학교 4학년의 발달 단계와 발달 심리적.음악적 성장을 구안해보고, 시청각 자료들이 수업에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는지에 관해 고찰하고 음악교육에 있어 그림악보의 활용가치를 알아보았다. 또한 음악 감상을 하는데 있어서 지도하는 방법과 장애가 되는 이유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음악 감상을 지도함에 있어 효과적인 감상 수업의 지도 단계를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교 4학년 교과서에 나와있는 감상 곡을 선정하여 특징과 감상 관점을 제시하고 지도단계와 음악개념에 따른 그림악보를 통한 감상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지도안의 내용은 악곡음미, 악곡분석, 악곡비교로 되어있으며, 세부 내용으로는 단원의 개관, 수업의 실제, 주요 개념 이해를 위한 그림악보 활용 내용으로 구분하였다. 그림악보로 나타낸 감상 곡은 서양 음악 곡으로 <피터와 늑대>, <동물의 사육제>, <스위스 행진곡>, <라데츠키 행진곡>이며 각 주제의 파악을 위하여 주제 막대 악보, 주제 그림 악보로 나타냈으며 이야기를 나타내는 악곡은 곡의 내용과 관련된 그림을 제시하여 음악에 흥미 있게 접근하도록 하였다. 제시된 도식악보의 활용방안이 학생들이 음악 감상을 하는데 있어 심미적 경험을 높이고 적극적으로 음악수업에 참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라며, 현행 음악 감상 수업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이와 함께 바람직한 교육을 위하여 보다 체계화된 학습자료 및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수업자료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지기를 바란다.
When we learn speech it hear continuation repetition very and understands a companion or object by seeing as eyes and talks . In this way, can see that understand music that music enters for the first time to know music similarly. That know music universally basicest that enter and understands that ...
When we learn speech it hear continuation repetition very and understands a companion or object by seeing as eyes and talks . In this way, can see that understand music that music enters for the first time to know music similarly. That know music universally basicest that enter and understands that handles musical instrument by method and taking a serious view that sings and teaches music by preponderance so in school spot and knows reality music of primary school music class time is handling hurriedly boil today. Hereupon, students were state that lose even what listening to music had been studied and have been become class that is bored just. This speaks that teacher's part is very important in actuality education spot, and to become true listening to music class, soundest interests and education direction about priority teacher's music should be established and see that need class and thorough class preparation by this. Also, I wish to help so that can apply in actuality education spot because many artfulnesses master these method by presenting model of specific and gradual class guidance plan improving method of uniform and unsystematic appreciation class that is achieved meantime in these meaning relatively. Hereupon, this study helps comprehension for component of music, and grope appreciation map plan through practical use of picture sheet music that display musical current visually by method as long as can drive concentrative and active appreciation provoking interest of students but allows purpose. The target did by forth-year student in primary school that hearing is time that is advanced most. Because this sounds of aural form is felt in visual form and sound formation and musical flowing are recognized more easily and remember opinion that it is desirable that appreciate looking at sheet music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 listening to music is presented much, because it is real condition that when considered level of our country primary school students, look at sheet music and it is station amulet as does listening to music, to make understood musical piece to students, think that it is effective that use picture sheet music if possible. To contents of study to do listening to music guidance forth-year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in primary school and development psychological . Musical growth does having insight, and investigate and searched practical use value of picture sheet music in musical education how much audio-visual materialses are effect in class. Also, examined about reason that become method and obstacle that guide to do listening to music, and is that guide listening to music and searched map step of effective appreciation class. Is based on this, present characteristic and appreciation viewpoint because chooses appreciation music that was said in forth-year student text book in primary school and made appreciation guidance plan through picture sheet music by map step and music concept. Contents of guidance plan were by musical piece appreciation, musical piece analysis, musical piece comparison, and divided to unit's review, truth of class, picture sheet music practical use contents for main concept comprehension to details contents. Appreciation lamentation that appear by picture sheet music is , , , at West music music and appeared by subject rod sheet music, subject picture sheet music for each thematic grasping and because musical piece that display story presented picture connected with contents of music, did to approach as is arresting at music. Wish practical use plan of presented reversed character sheet music conduced that raises sensuous experience and desires become opportunity that can take part in music class actively, and improves problems of current listening to music class while students do listening to music. Desire that class datas are developed variously depending on learner fare and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that is systematized more for desirable education with this.
When we learn speech it hear continuation repetition very and understands a companion or object by seeing as eyes and talks . In this way, can see that understand music that music enters for the first time to know music similarly. That know music universally basicest that enter and understands that handles musical instrument by method and taking a serious view that sings and teaches music by preponderance so in school spot and knows reality music of primary school music class time is handling hurriedly boil today. Hereupon, students were state that lose even what listening to music had been studied and have been become class that is bored just. This speaks that teacher's part is very important in actuality education spot, and to become true listening to music class, soundest interests and education direction about priority teacher's music should be established and see that need class and thorough class preparation by this. Also, I wish to help so that can apply in actuality education spot because many artfulnesses master these method by presenting model of specific and gradual class guidance plan improving method of uniform and unsystematic appreciation class that is achieved meantime in these meaning relatively. Hereupon, this study helps comprehension for component of music, and grope appreciation map plan through practical use of picture sheet music that display musical current visually by method as long as can drive concentrative and active appreciation provoking interest of students but allows purpose. The target did by forth-year student in primary school that hearing is time that is advanced most. Because this sounds of aural form is felt in visual form and sound formation and musical flowing are recognized more easily and remember opinion that it is desirable that appreciate looking at sheet music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 listening to music is presented much, because it is real condition that when considered level of our country primary school students, look at sheet music and it is station amulet as does listening to music, to make understood musical piece to students, think that it is effective that use picture sheet music if possible. To contents of study to do listening to music guidance forth-year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in primary school and development psychological . Musical growth does having insight, and investigate and searched practical use value of picture sheet music in musical education how much audio-visual materialses are effect in class. Also, examined about reason that become method and obstacle that guide to do listening to music, and is that guide listening to music and searched map step of effective appreciation class. Is based on this, present characteristic and appreciation viewpoint because chooses appreciation music that was said in forth-year student text book in primary school and made appreciation guidance plan through picture sheet music by map step and music concept. Contents of guidance plan were by musical piece appreciation, musical piece analysis, musical piece comparison, and divided to unit's review, truth of class, picture sheet music practical use contents for main concept comprehension to details contents. Appreciation lamentation that appear by picture sheet music is , , , at West music music and appeared by subject rod sheet music, subject picture sheet music for each thematic grasping and because musical piece that display story presented picture connected with contents of music, did to approach as is arresting at music. Wish practical use plan of presented reversed character sheet music conduced that raises sensuous experience and desires become opportunity that can take part in music class actively, and improves problems of current listening to music class while students do listening to music. Desire that class datas are developed variously depending on learner fare and students' developmental stage that is systematized more for desirable education with thi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