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깨 (Sesamum indicum L.)는 가장 중요한 작물 중 하나로써 한국, 일본, 중국, 그리고 여러 동남아시아국가에서 전통적으로 건강식품으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기름의 원료와 음식재료로 이용되었다. 참깨속 식물의 성분 연구로는 lignan, phenolic acid, flavonoid 등의 화합물이 보고되었다. 특히 lignan 계열 물질인 ...
참깨 (Sesamum indicum L.)는 가장 중요한 작물 중 하나로써 한국, 일본, 중국, 그리고 여러 동남아시아국가에서 전통적으로 건강식품으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기름의 원료와 음식재료로 이용되었다. 참깨속 식물의 성분 연구로는 lignan, phenolic acid, flavonoid 등의 화합물이 보고되었다. 특히 lignan 계열 물질인 sesamin, sesamolinol, sesaminol 등이 주로 존재한다. 그러나 참깨의 부산물인 깻묵의 성분에 대한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깻묵의 성분 조사와 함께 참깨의 주 성분인 sesamin의 함량을 깻묵과 참깨, 그리고 국가별로 비교 분석하여 이용증대의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깻묵의 추출물로부터 계통분획과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으며, 각 분획으로부터 저분자 물질을 분리하여 IR, NMR, MS 등 spectroscopy에 의하여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참깨의 주성분인 lignan계 물질인 sesamin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식물에 다량으로 함유되어있지만 주로 단일 성분보다는 보통 3~5종의 화합물들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steroid계 화합물인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분리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n-Hexane의 분획물을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일차 분리하여 얻은 하위 분획물을 recycling preparative HPLC를 이용해 lignan계열 물질인 sesamolin을 분리하여 1H-NMR, 13C-NMR, MS 등을 이용해 구조를 동정하였다. 깻묵으로부터 분리한 sesamin을 표준품으로 하여 깻묵과 참깨내의 성분을 HPLC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MeOH과 증류수를 isocratic 방법을 이용하여 전개하였으며, 검출기는 UV 290nm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참깨내의 sesamin 성분의 함량은 국산과 중국산이 각각 1.84mg/g와 2.27mg/g 이였으며, 깻묵은 각각 1.45mg/g와 1.60mg/g의 함량을 보였다.
참깨 (Sesamum indicum L.)는 가장 중요한 작물 중 하나로써 한국, 일본, 중국, 그리고 여러 동남아시아국가에서 전통적으로 건강식품으로 사용되었으며, 또한 기름의 원료와 음식재료로 이용되었다. 참깨속 식물의 성분 연구로는 lignan, phenolic acid, flavonoid 등의 화합물이 보고되었다. 특히 lignan 계열 물질인 sesamin, sesamolinol, sesaminol 등이 주로 존재한다. 그러나 참깨의 부산물인 깻묵의 성분에 대한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깻묵의 성분 조사와 함께 참깨의 주 성분인 sesamin의 함량을 깻묵과 참깨, 그리고 국가별로 비교 분석하여 이용증대의 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깻묵의 추출물로부터 계통분획과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였으며, 각 분획으로부터 저분자 물질을 분리하여 IR, NMR, MS 등 spectroscopy에 의하여 화학구조를 구명하였다. 참깨의 주성분인 lignan계 물질인 sesamin을 비롯하여 거의 모든 식물에 다량으로 함유되어있지만 주로 단일 성분보다는 보통 3~5종의 화합물들이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steroid계 화합물인 β-sitosterol과 daucosterol을 분리하여 구조를 동정하였다. n-Hexane의 분획물을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통해 일차 분리하여 얻은 하위 분획물을 recycling preparative HPLC를 이용해 lignan계열 물질인 sesamolin을 분리하여 1H-NMR, 13C-NMR, MS 등을 이용해 구조를 동정하였다. 깻묵으로부터 분리한 sesamin을 표준품으로 하여 깻묵과 참깨내의 성분을 HPLC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조건은 MeOH과 증류수를 isocratic 방법을 이용하여 전개하였으며, 검출기는 UV 290nm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참깨내의 sesamin 성분의 함량은 국산과 중국산이 각각 1.84mg/g와 2.27mg/g 이였으며, 깻묵은 각각 1.45mg/g와 1.60mg/g의 함량을 보였다.
Ses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throughout the world, is the seed of Sesamum indicum L. Sesame has long been categorized as one of the traditional health foods in Korea, Japan, Chin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Also sesame seeds (胡麻子) have been utilized for a long time as edible oilseed...
Ses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throughout the world, is the seed of Sesamum indicum L. Sesame has long been categorized as one of the traditional health foods in Korea, Japan, Chin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Also sesame seeds (胡麻子) have been utilized for a long time as edible oilseeds and food materials. There are many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genus Sesamum which have been concerned with lignans, phenolic acids, flavonoids, etc. Extracts from S. indicum and seed oil are attributed mainly to the existence of the lignan type compounds: sesamin, sesaminol, sesamolinol etc. Sesame lignans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which contain: antioxidant properties and synergistic effects with pyrethrum insecticides. In the process, used for making sesame seed oil in the food industry, lots of sesame dregs were left after extracting the oil from sesame seeds, however, were reported to be performed on the subject of sesame dregs. A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MeOH extract from the sesame dregs of S. indicum led to the isolation of sesamin, having a lignan moiety in structure. It is major constituent of sesame. Also β-sitosterol and daucosterol, steroid-type compounds, were isolated. These compounds are found in almost every plant. But they exist in the form of compound, a mixture of mostly 3~5 type compounds than single compounds. Its structures were established via a combination of 1H-, 13C-NMR, IR, and MS analyses. Recycling preparative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used for the isolation of sesamolin from the subfraction of n-hexane fraction by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analyses HPLC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sesamin in sesame seeds and dregs. Reverse-phase system using a binary isocratic of methanol and deionized water was developed and UV detection was performed at 290 nm. The content of sesamin in the seeds from Korea and China (1.84 and 2.27 mg/g, respectively) was measured and in the dregs (1.45 and 1.60 mg/g, respectively).
Ses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crops throughout the world, is the seed of Sesamum indicum L. Sesame has long been categorized as one of the traditional health foods in Korea, Japan, China, and other East Asian countries. Also sesame seeds (胡麻子) have been utilized for a long time as edible oilseeds and food materials. There are many phytochemical studies on the genus Sesamum which have been concerned with lignans, phenolic acids, flavonoids, etc. Extracts from S. indicum and seed oil are attributed mainly to the existence of the lignan type compounds: sesamin, sesaminol, sesamolinol etc. Sesame lignans have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which contain: antioxidant properties and synergistic effects with pyrethrum insecticides. In the process, used for making sesame seed oil in the food industry, lots of sesame dregs were left after extracting the oil from sesame seeds, however, were reported to be performed on the subject of sesame dregs. A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MeOH extract from the sesame dregs of S. indicum led to the isolation of sesamin, having a lignan moiety in structure. It is major constituent of sesame. Also β-sitosterol and daucosterol, steroid-type compounds, were isolated. These compounds are found in almost every plant. But they exist in the form of compound, a mixture of mostly 3~5 type compounds than single compounds. Its structures were established via a combination of 1H-, 13C-NMR, IR, and MS analyses. Recycling preparative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s used for the isolation of sesamolin from the subfraction of n-hexane fraction by open column chromatography, and characterized by spectral analyses HPLC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sesamin in sesame seeds and dregs. Reverse-phase system using a binary isocratic of methanol and deionized water was developed and UV detection was performed at 290 nm. The content of sesamin in the seeds from Korea and China (1.84 and 2.27 mg/g, respectively) was measured and in the dregs (1.45 and 1.60 mg/g, respectivel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