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탈모자의 두피 모낭충 감염유무와 감염도를 조사하여 모낭충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탈모증세가 있어 서울 강남지역에 위치한 H탈모센터를 방문하여 탈모관리를 받은 남자 47명, 여자 51명 계 98명이다. 탈모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탈모자의 성별 비율은 남자가 48.0%, 여자가 52.0%로 남․여 비율은 비슷했으나 여자가 남자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
본 논문에서는 탈모자의 두피 모낭충 감염유무와 감염도를 조사하여 모낭충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탈모증세가 있어 서울 강남지역에 위치한 H탈모센터를 방문하여 탈모관리를 받은 남자 47명, 여자 51명 계 98명이다. 탈모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탈모자의 성별 비율은 남자가 48.0%, 여자가 52.0%로 남․여 비율은 비슷했으나 여자가 남자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나 탈모발생시 여자가 남자보다 치료에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탈모의 가족력 유무는 남자 59.6%, 여자 45.1% 합계 52.0%로 나타나, 남성탈모가 여성 탈모보다 가족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자의 두정부열 발생 유무는 남자 78.7%, 여자 60.8% 남・여 합계 69.4%로 나타나 두정부열 발생이 탈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남자는 여자보다 두정부열에 의한 탈모 위험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모낭충 감염률과 감염도 조사방법은 탈모자의 외형에 따른 분류방법으로 NDM 분류법에 의해 탈모자를 1기, 2기, 3기, 4기로 분류하여 사용하였으며, phototrichogram법을 이용한 모주기 검사법을 사용하여 휴지기 모발의 비율이 15~30%를 보통 탈모, 30~45%를 중증 탈모, 45%이상을 심각 탈모의 3단계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모낭충 검사는 피지를 추출 후 0.5㎣의 피지정량기를 사용하여 모낭충 감염유무와 감염도를 조사하였다. 전체 탈모자들의 모낭충 감염율은 63.3%로 나타났다. NDM분류법에 따른 모낭충 감염 유무는 탈모 1기 48%, 2기 67%, 3기 71%, 4기 78%, 합계 63.3%로 1기보다 2기, 3기, 4기의 감염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모주기에 따른 분류별 모낭충 감염 유무는 보통 44.9%, 중증 80%, 심각 88.9%로, 보통의 집단보다 중증, 심각의 집단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모낭충 감염자 62명에 대한 모낭충 감염도는 외형별 분류에 의한 탈모 1기 6마리/인, 2기는 6.4마리/인, 3기는 10마리/인, 4기는 12.1마리/인, 전체 평균은 7.7마리/인으로, 1기, 2기 보다 3기, 4기의 감염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또한 모주기에 따른 분류별 모낭충 감염도는 보통 4.6마리/인, 중증 9.1마리/인, 심각 10.4마리/인, 전체 평균 7.7마리/인 로, 보통의 집단보다 중증, 심각의 집단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모낭충 감염이 탈모 진행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탈모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모낭충의 사멸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두피에서의 효과적인 모낭충 제거 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탈모자의 두피 모낭충 감염유무와 감염도를 조사하여 모낭충이 탈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탈모증세가 있어 서울 강남지역에 위치한 H탈모센터를 방문하여 탈모관리를 받은 남자 47명, 여자 51명 계 98명이다. 탈모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탈모자의 성별 비율은 남자가 48.0%, 여자가 52.0%로 남․여 비율은 비슷했으나 여자가 남자보다 조금 더 높게 나타나 탈모발생시 여자가 남자보다 치료에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탈모의 가족력 유무는 남자 59.6%, 여자 45.1% 합계 52.0%로 나타나, 남성탈모가 여성 탈모보다 가족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탈모자의 두정부열 발생 유무는 남자 78.7%, 여자 60.8% 남・여 합계 69.4%로 나타나 두정부열 발생이 탈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남자는 여자보다 두정부열에 의한 탈모 위험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모낭충 감염률과 감염도 조사방법은 탈모자의 외형에 따른 분류방법으로 NDM 분류법에 의해 탈모자를 1기, 2기, 3기, 4기로 분류하여 사용하였으며, phototrichogram법을 이용한 모주기 검사법을 사용하여 휴지기 모발의 비율이 15~30%를 보통 탈모, 30~45%를 중증 탈모, 45%이상을 심각 탈모의 3단계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모낭충 검사는 피지를 추출 후 0.5㎣의 피지정량기를 사용하여 모낭충 감염유무와 감염도를 조사하였다. 전체 탈모자들의 모낭충 감염율은 63.3%로 나타났다. NDM분류법에 따른 모낭충 감염 유무는 탈모 1기 48%, 2기 67%, 3기 71%, 4기 78%, 합계 63.3%로 1기보다 2기, 3기, 4기의 감염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또한 모주기에 따른 분류별 모낭충 감염 유무는 보통 44.9%, 중증 80%, 심각 88.9%로, 보통의 집단보다 중증, 심각의 집단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모낭충 감염자 62명에 대한 모낭충 감염도는 외형별 분류에 의한 탈모 1기 6마리/인, 2기는 6.4마리/인, 3기는 10마리/인, 4기는 12.1마리/인, 전체 평균은 7.7마리/인으로, 1기, 2기 보다 3기, 4기의 감염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또한 모주기에 따른 분류별 모낭충 감염도는 보통 4.6마리/인, 중증 9.1마리/인, 심각 10.4마리/인, 전체 평균 7.7마리/인 로, 보통의 집단보다 중증, 심각의 집단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모낭충 감염이 탈모 진행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탈모증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모낭충의 사멸이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었으며 두피에서의 효과적인 모낭충 제거 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