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건설사업에서의 사업타당성 검토, 설계대안의 평가 및 선정, 사업진도관리 등 여러 목적에 따른 주요 의사결정은 사업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기획 및 계획설계 단계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초기단계에서의 개산견적은 도면과 시방서 등 설계도서가 확정되지 않아 정보가 부족한 상태에서 주로 전문가들의 지식과 과거 사례를 기반으로 한 공사비 예측방법을 선호한다. 하지만 복합용도 시설물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초기단계에서의 개산견적은 유사프로젝트를 경험한 실적 데이터 및 전문가들의 경험 및 직관에 의존한 추정하는 방법과는 다른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방법이 요구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설계초기단계에서의 공사비 예측은 실시설계단계에서 확정된 설계안에 따른 견적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사업예산이 초과할 경우 초과된 비용을 삭감하기 위하여 시설물의 마감수준을 임의적으로 낮추는 등 전체 설계의 통합품질을 저해하는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결국 최종 결과물이 발주자측의 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 건축물의 원가절감 및 관리기법이 발전하면서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파라메트릭 객체 정보와 건설정보 분류체계를 활용한 공사비 예측이 대두되고 있다. BIM을 활용한 개산견적은 주로 실시설계단계에서의 부재 및 골조의 물량산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공공주택 및 학교시설물 같이 단일시설물의 물량산출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도면표현, 재질, 형태 등의 세부정보 등 구체적 정보가 한정된 계획 설계단계 에서 물량을 산출하기에 어려움이 나타난다. 따라서 기획설계단계와 기본설계단계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견적 방법이 필요하다. BIM환경에서의 건설정보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원활한 정보의 교환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
저자 | 강신엽 |
---|---|
학위수여기관 | 한양대학교 대학원 |
학위구분 | 국내석사 |
학과 | 건축공학 전공 |
지도교수 | 김주형 |
발행연도 | 2014 |
총페이지 | vii, 55 p. |
키워드 | 건축설계.시공 |
언어 | kor |
원문 URL | http://www.riss.kr/link?id=T13381523&outLink=K |
정보원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