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017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총 8,127명 중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질문에 응답한 5,067명이 최종 선정되었고, 이들의 이차자료를 이용하여 SPSS/ ...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017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총 8,127명 중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질문에 응답한 5,067명이 최종 선정되었고, 이들의 이차자료를 이용하여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으로 여성 50대-60대, 대졸이상의 교육수준,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사무종사자, 중간 수준의 경제상태 등과, 높은 음주, 흡연 및 조금 느끼는 스트레스 등의 대상자이었다.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정도는 아침식사 결식이 21.9%이었고, BMI는 비만 34.3%, EQ-5D 평균지수는 0.94±0.11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아침식사의 결식의 차이는 성별(χ²=16.60, p<.001), 연령(χ²=851.40, p<.001), 결혼(χ²=443.82, p<.001), 교육수준(χ²=307.83, p<.001) 및 직업(χ²=249.56,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음주여부(χ²=50.70, p<.001), 흡연여부(χ²=24.54, p<.001) 및 스트레스 정도(χ²=85.1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비만의 차이는 성별(χ²=53.41, p<.001), 연령(χ²=87.07, p<.001), 결혼여부(χ²=54.44, p<.001), 교육수준(χ²=56.55, p<.001), 직업(χ²=30.19, p<.001) 및 경제상태(χ²=13.58, p=.009)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흡연(χ²=22.38, p<.001)과 스트레스 정도(χ²=22.75,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성별(t=6.81, p<.001), 연령(F=167.49, p<.001), 결혼여부(t=-11.12, p<.001), 교육수준(F=281.26, p<.001), 직업(F=58.14, p<.001) 및 경제상태(F=29.98,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주여부(t=-9.51, p<.001), 흡연여부(t=-2.61, p=.009) 및 스트레스 인지(F=58.32,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결식과 삶의 질은 순 상관관계이었고(rₛ=.12, p<0.01), 비만과 삶의 질은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rₛ=-.07, p<.001). 그러나 아침식사 결식과 비만은 상관관계가 없었다(rₛ=.01, p=.556).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만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아침식사 결식을 감소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아침식사 결식 감소는 물론 아침식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보다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책 마련으로 궁극적인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한다
핵심어: 아침식사 결식, 비만, 삶의 질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실시한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017년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함으로써 비만 감소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아침식사의 중요성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 7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2차년도 자료조사에 참여한 총 8,127명 중 본 연구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질문에 응답한 5,067명이 최종 선정되었고, 이들의 이차자료를 이용하여 SPSS/ 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으로 여성 50대-60대, 대졸이상의 교육수준, 관리자,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와 사무종사자, 중간 수준의 경제상태 등과, 높은 음주, 흡연 및 조금 느끼는 스트레스 등의 대상자이었다.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정도는 아침식사 결식이 21.9%이었고, BMI는 비만 34.3%, EQ-5D 평균지수는 0.94±0.11점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아침식사의 결식의 차이는 성별(χ²=16.60, p<.001), 연령(χ²=851.40, p<.001), 결혼(χ²=443.82, p<.001), 교육수준(χ²=307.83, p<.001) 및 직업(χ²=249.56,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음주여부(χ²=50.70, p<.001), 흡연여부(χ²=24.54, p<.001) 및 스트레스 정도(χ²=85.16,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비만의 차이는 성별(χ²=53.41, p<.001), 연령(χ²=87.07, p<.001), 결혼여부(χ²=54.44, p<.001), 교육수준(χ²=56.55, p<.001), 직업(χ²=30.19, p<.001) 및 경제상태(χ²=13.58, p=.009)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흡연(χ²=22.38, p<.001)과 스트레스 정도(χ²=22.75,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는 성별(t=6.81, p<.001), 연령(F=167.49, p<.001), 결혼여부(t=-11.12, p<.001), 교육수준(F=281.26, p<.001), 직업(F=58.14, p<.001) 및 경제상태(F=29.98, p<.00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음주여부(t=-9.51, p<.001), 흡연여부(t=-2.61, p=.009) 및 스트레스 인지(F=58.32, p<.001)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침식사 결식, 비만 및 삶의 질의 상관관계는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한 결과 아침식사 결식과 삶의 질은 순 상관관계이었고(rₛ=.12, p<0.01), 비만과 삶의 질은 역 상관관계가 있었다(rₛ=-.07, p<.001). 그러나 아침식사 결식과 비만은 상관관계가 없었다(rₛ=.01, p=.556).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만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아침식사 결식을 감소시키는 것이 우선되어야 하며, 아침식사 결식 감소는 물론 아침식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방안이 모색되고, 보다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대책 마련으로 궁극적인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in reducing the obesity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by analysing correlation statistically among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degree of obesity and quality of life aimed at adults over the age of 20.
F...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in reducing the obesity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by analysing correlation statistically among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degree of obesity and quality of life aimed at adults over the age of 20.
From the 8,127 data of the Seventh Kor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erform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total of 5,067 adults who were responded to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ampled and analysed those secondary data using SPSS/WIN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enaral/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50~60 aged female, college graduate or higher, manager/expert class, office worker, middle class economic status, high percentage of drinking, low smoking rate, low level stress covered the large part of study participants. Rate of skipping breakfast was 21.9%, BMI 34,3%, and average of EQ-5D was 0.94±0.11.
2.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Gender(χ²=16.60, p<.001), age(χ²=851.40, p<.001), marital status (χ²=443.82, p<.001), educational standards (χ²=307.83, p<.001), occupation (χ²=249.56, p<.001), drink or not (χ²=50.70, p<.001), smoke or not (χ²=24.54, p<.001) and stress level(χ²=85.16,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3.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obesity; Gender(χ²=53.41, p<.001), age(χ²=87.07, p<.001), marital status (χ²=54.44, p<.001), educational standards (χ²=56.55, p<.001), occupation (χ²=30.19, p<.001), economic status (χ²=13.58, p=.009), smoke or not (χ²=22.38, p<.001), stress level (χ²=22.75,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obesity.
4.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Gender(t=6.81, p<.001), age(F=167.49, p<.001), marital status(t=-11.12, p<.001), educational standards(F=281.26, p<.001), occupation(F=58.14, p<.001), economic status(F=29.98, p<.001), drink or not (t=-9.51, p<.001), smoke or not (t=-2.61, p=.009), recognition of stress (F=58.32,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life.
5. Results from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rₛ=.12, p<0.01) between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quality of life, on the contrary, negative correlation (rₛ=-.07, p<.001) between degree of obesity and quality of lif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degree of obesity(rₛ=.01, p=.556).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ducing the breakfast skip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ealizable and concrete action to encourage the eating breakfast must be taken.
key words: breakfast skipping, obesity, quality of lif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courage the importance of eating breakfast in reducing the obesity and raising the quality of life by analysing correlation statistically among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degree of obesity and quality of life aimed at adults over the age of 20.
From the 8,127 data of the Seventh Kor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erform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total of 5,067 adults who were responded to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sampled and analysed those secondary data using SPSS/WIN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Genaral/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50~60 aged female, college graduate or higher, manager/expert class, office worker, middle class economic status, high percentage of drinking, low smoking rate, low level stress covered the large part of study participants. Rate of skipping breakfast was 21.9%, BMI 34,3%, and average of EQ-5D was 0.94±0.11.
2.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Gender(χ²=16.60, p<.001), age(χ²=851.40, p<.001), marital status (χ²=443.82, p<.001), educational standards (χ²=307.83, p<.001), occupation (χ²=249.56, p<.001), drink or not (χ²=50.70, p<.001), smoke or not (χ²=24.54, p<.001) and stress level(χ²=85.16,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3.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obesity; Gender(χ²=53.41, p<.001), age(χ²=87.07, p<.001), marital status (χ²=54.44, p<.001), educational standards (χ²=56.55, p<.001), occupation (χ²=30.19, p<.001), economic status (χ²=13.58, p=.009), smoke or not (χ²=22.38, p<.001), stress level (χ²=22.75,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rate of obesity.
4. Test results of statistical depend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Gender(t=6.81, p<.001), age(F=167.49, p<.001), marital status(t=-11.12, p<.001), educational standards(F=281.26, p<.001), occupation(F=58.14, p<.001), economic status(F=29.98, p<.001), drink or not (t=-9.51, p<.001), smoke or not (t=-2.61, p=.009), recognition of stress (F=58.32, p<.001)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health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life.
5. Results from Spearman rank-order correlation coefficient show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rₛ=.12, p<0.01) between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quality of life, on the contrary, negative correlation (rₛ=-.07, p<.001) between degree of obesity and quality of life. Bu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degree of obesity(rₛ=.01, p=.556).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ducing the breakfast skipp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realizable and concrete action to encourage the eating breakfast must be taken.
key words: breakfast skipping, obesity, quality of life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