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1980년 6월과 10월 및 1981년 6월에 실시된 정밀 해양 관측의 결과로 제주도 서안 10해리 이내에 존재하는 수직으로 균질한 해수가 발견되었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제주도 외해역에 집중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해수의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던 것 같다. 이 해수가 존재하는 이유는 저층에서 일어나는 조류에 의한 혼합 과 표층의 용승현상으로 사료된다. 용승은 해류가 제주도 서안을 시계방향으로 흐를 때 소용돌이보존하기 위하여 일어나는 것으로 믿어지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앞으로 정밀 해류 관측이 요구된다.
Vertically homogeneous water was found around the convex coast of Jeju Island on its west side from hydrographic surveys conducted in June and Ictober 1980, and June 1981. This is the first time that this hydrographic structure is observed. Historical data do not show this water, since they wewe taken far from the island. The presence of this homogeneous water is explained in terms of tidal mexing for the lower half of the water column and relling for the upper half of the columa which conserve vorticity as currints flow clockwise around the island. Direct measurement in future is required to prove the upwelling mechanism.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