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유색미 쌀겨가 화학적 변이원에 의한 유전독성을 억제하는 작용기작을 유색미 품종인 수원415호 쌀겨의 유기용매추출물과 변이원인 mitomycin C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70%에탄올 분획 및 클로로포름분획에서 수원 415호는 대조구로 사용된 추청에 비하여 변이원에 대한 억제활성이 월등히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항산화활성은 추청보다 다소 낮은 결과로 보아 항산화작용과는 다른 억제기작이 존재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E. coli를 지시세포로 유색미 쌀겨 추출물의 mitomycin C에 대한 변이원성 억제기작을 조사한 결과, desmutagen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을 알았고, 쌀겨 추출물과 mitomycin C를 반응시킨 후 반응액 중에 존재하는 유리상태의 mitomycin C를 정량한 결과, 유색미의 쌀겨 추출물이 mitomycin C에 직접 결합하여 변이원을 흡착함으로써 세포에 대한 유전독성을 억제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Inhibitory mechanism of colored rice bran against cellular genotoxicity induced by chemical mutagen was studied using organic solvent extracts from a colored rice cultivar termed as Suwon415, and the mutagen, mitomycin C. Inhibitory effects of 70% ethanol extact and chloroform fraction from rice bran of Suwon415 were higher than those from Chuchung used as control. However,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ach fraction from Suwon415 were slightly lower than those from Chuchung, suggesting the involvement of a different inhibitory mechanism not related to antioxidation pathway. Using E. coli as the indicator cell, inhibitory mechanism of rice bran extract from colored rice against mutagenicity induced by mitomycin C was investigated to reveal the possibility that it acts in a desmutagenic manner. Further investigation to quantify the free mitomycin C in reaction mixture following incubation with rice bran extract demonstrated that rice bran extract might inhibit the cellular genotoxicity of mitomycin C by direct adsorption of the mutagen.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