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에서는 상법보다 메주농도를 높게하여 간장을 제조한 후, 2년의 장기 숙성을 거쳐 시료를 제조하고, 메주 농도와 숙성 기간에 따른 맛 특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간장의 일반 성분 및 당류를 분석하였다. 간장의 일반 성분 중 pH는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general compounds and sugar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varying Meju concentrations (Meju-water ratios of 1 : 4 and 1.3 : 4) and ripening periods (up to 2 years). Along with ripening period, pH decreased and titratable acidity, total acidity and crude protein contents increased, which were higher in 1.3 : 4 than in 1.4. Buffering power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ripening period. Crude fat content was higher in 1.3 : 4 than 1 : 4. Moisture content decreased and pure extract content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ripening period, which was high in 1.3 : 4. Salt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ripening period, but decreasd in soy sauce ripened for 2 years. As the result of sugar analysis, reducing sugar showed slow increase with increasing ripening period. Among detected free sugars, galactose was present in the highest concentration and the rest were in the sequence of glucose, fructose.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soy sauce ripened for 150days in 1 : 4 and 210 days in 1.3 : 4.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