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L. brevis, L. fermentum과 L. plantarum의 혼합젖산균을 사용하여 소다크랙커의 스폰지 발효과정 중에 밀가루와 당 농도가 미치는 양향을 살펴보았다. 밀가루 전분이 혼합젖산균에 의하여 포도당으로 전환되어 이용되므로 포도당을 밀가루 용액내에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포도당 첨가할 경우 생성되는 총적정산도(TTA; total titrable acid)가 포도당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적게 증가하였고, pH 감소의 폭도 적었다. 이는 첨가된 포도당이 세포성장을 촉진시키고, 유기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소다크랙커의 스폰지 발효과정 중에서 밀가루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산되는 총적정산도는 증가되고 pH는 감소되었다.
Effect of concentrations of wheat flour and glucose on the sponge fermentation of soda cracker by the mixed lactic acid bacteria of L. brevis, L. fermentum and L. plantarum was investigated. When glucose was added to the wheat flour solution, pH was higher and TTA (total titrable acid) was lower as compared with the medium without glucose. This results suggested that glucose in the solution stimulate cell growth but inhibit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s. With increasing of wheat flour concentration, pH decreased and TTA increased during the sponge fermentation of soda cracker.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