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국내에서 재배 수확되는 토당귀와 일당귀를 한방이나 가공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기준으로 토당귀와 일당귀의 조단백질은 각각 18,1, 13.4%, 조지방은 8.9, 4.3%, 조섬유는 8.6, 9.4%,조회분은 7.4, 8.2%, 당질은 57.0, 64.7%이었다. 두 종류의 당귀 속에 함유된 무기질 함량은 칼륨이 각각 2,740.0, 2,582.4 mg%로 가장 높았으며, 유리당 조성은 sucrose가 각각 0.4, 0.3%, fructose와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토당귀와 일당귀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가 각각 60.8, 59.9%, palmitic acid는 17.4, 15.3%. oleic acid는 8.8, 7.7%이었는데 두 시료간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토당귀와 일당귀의 주요 구성아미산으로 아르기닌이 각각 2599.8, 1543.4 mg% 로 가장 많았고, 티로신이 각각 113.7, 84.9 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Chemical components of domestic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were analyzed. Proximate analysis of each species showed crude protein 18.1% and 13.4%, crude lipid 8.9% and 4.3%, crude fiber 8.6% and 9.4%, crude ash 7.4% and 8.2%, and carbohydrate 57.0% and 64.7%, respectively. Contents of potassium which was found to be the most abundant mineral in both species were 2,740.0 mg% and 2,582.8 mg%, and those of sucrose were 0.4 % and 0.3% respectively while neither fructose nor glucose were detected in each species. Major fatty acids in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were linoleic acid (60.8% and 59.5%), palmitic acid (17.4% and 15.3%), oleic acid (8.8% and 7.7%) (respectivel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species. Arginine was revealed 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in both species with 2,599.8 mg% in Angelica gigas Nakai and 1,543.4 mg% in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also were shown to contained 10.5 mg% and 12.2 mg%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