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연구배경 : 그동안 진행성 만성 간질환 환자의 치료에 많은 약물들이 시도 되어 왔지만 뚜렷하게 효과가 인정되어있는 약물들은 소수에 불과하며, 투약시 나타나는 부작용에 의하여 이렇다 할 실효를 거두지 못한 약물들이 대부분이다. 그 중 콜히친은 동물 실험들과 몇몇 임상 연구들에서 항염, 함섬유화 효과로 인해 진행성 만성 간질환의 진행을 늦추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또 다른 임상 연구들에서는 치료 효과를 입증하지 못해 아직도 약리 효과에 대한 논란이 있다. 진행성 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군과 간경변증(Child-Pugh A군) 환자군에게 장기간 콜히친을 투여한 후, 간기능 상태를 간접적으로 보여 주는 여러 임상 검사 성적들의 변화를 관찰하여 콜히친의 약리 효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 대상은 2년 이상 추적하며 치료를 받아온 진행성 만성 간질환 환자 254명 중 콜히친 투여군 73명<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 44명(경증 11명, 중등도 22명, 중증 11명), 간경변증 환자 29명>과 콜히친 비투여군 61명<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 42명(경증 14명, 중등도 15명, 중증 13명), 간경변증 환자 19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방법은 처음 내원 시와 마지막 추적 시의 임상 검사들 즉, 혈청 알부민, 빌리루빈, 콜레스테롤, ALT, AST, ALT/AST 비율 및 프로트롬빈 시간의 차이를 두 군간에 서로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먼저 경증 및 중등도의 만성 활동성 간염 환자군에서 상기 임상 검사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콜히친 투여군에서는 31명 중 13명(41.9%)이 호전되었고, 콜히친 비투여군에서는 28명 중 13명(46.4%)이 호전되었으나 두 군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다음으로 중증의 만성 활동성 간염 및 간경변증 환자군에서는 콜히친 투여군에서 37명 중 19명(51.4%)이 호전되었고, 콜히친 비투여군에서 31명 중 8명(25.8%)이 호전되어 두 군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p< 0.05)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콜히친이 특히 병의 활동성이 심한 중증 만성 활동성 간염 및 간경변증 초기 환자에서 간의 기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콜히친의 투약 효과는 병의 진행 정도, 즉 병의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최적의 투약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약효 결정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Many therapeutic trials for chronic liver diseases have been performed, however, the effects are still controversial. To evaluate the effect of colchicine in the patients of chronic liver diseases, we observed the changes of the clinical laboratory test variables, including albumin (Alb), bilirubin (BR), ALT, AST, cholesterol, and prothrombin time (PT), which are indirectly used to show the functional status of liver.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first and last laboratory test variables obtained from 73 colchicine groupand 61 non-colchicine group, which were followed-up for more than 2 year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with the X value ;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clinical laboratory test variables obtained at the time of liver biopsy, which gave u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quation.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