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1982년부터 1996년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원주 치악산 등 총 25곳으로부터 채집하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표본실 및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표본실에 보관중인 귀신그물버섯류 45개 표본과 연지그물버섯류 7개 표본을 확보하였고 Moser(1983) 및 Singer(1986)와 Hongo(1987)의 분류체계에 준하여 분류 동정한 결과 귀신그물버섯속은 털귀신그물버섯(Strobito-myces confusus Singer)과 귀신그물버섯[Strobilomyces floccopus(Vahl ex Fries) Karsten]의 2종, 연지그물버섯속은 연지그물버섯(Heimiella japonica Hongo)의 1종으로 확인되었다. 색명은 'Methuen Handbook of Colour' (Kornerup & Wanscher; 1983)를 인용하였다.
To study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genera Strobilomyces and Heimiella in Korea, 52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1982 to 1996 at 25 locations including Odaesan. Collected specimens were observed and three species among them were identified and described by observing macroscopic and microscopic characters. The three species are as follows; Strobilomyces floccopus (Vahl ex Fries) Karsten, S. confusus Singer, Heimiella japonica Hongo.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