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메밀의 품종간 성분함량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13 종(개량종, 6종; 재래종, 7종)의 메밀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메밀의 주요아미노산은 glutamate, arginine, asparagine이였으며, 이에 비하여 tryptophan, cysteine, methion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메밀의 아미노산 조성중 tryptophan 함량은 195 mg%였다. Rutin 함량은 개량품종에서 높았으며, quercetin의 함량은 낮았다. Phytic acid 함량은
To clarify the values and varieties of the buckwheats as a dietary source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mponents, thirteen different samples of buckwheat were analyzed for this investigation. Six developed seeds were given by RDA, Korea or RDA branch of Kangwondo, and seven land race seeds were collected from a farmhouse. Amino acid analysis showed that glutamate, arginine and asparagine were major amino acids, whereas tryptophan, methionine and cysteine were minor ones of buckwheat. In addition, tryptophan content of buckwheat cultivars from Korea was 195 mg% on average. The content of rutin tended to be higher in developed cultivars than land races.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phytic acid in buckwheats were in the range of 7.0 to 13.6 mg/g. In the tocopherol homologues of the buckwheats analyzed by HPLC, mean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