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운산(白雲山) 서식(棲息) 지의류(地衣類)를 이용(利用)한 오존 민감성(敏感性) 지표종(地表種) 선발(選拔)
Investigation of Lichen Species as a Biomonitor of Atmospheric Ozone in 'Backwoon' Mountain, Korea 원문보기

韓國林學會誌 =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v.89 no.1 = no.128, 2000년, pp.65 - 76  

허재선 (순천대학교 사범대학 환경교육과) ,  김판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과학공동기기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기오염 지표생물로 이용 가능한 국내 분포 지의류(地衣類)를 선발하기 위하여 전남 광양 백운산 지역에 분포하는 엽상체(foliose) 및 수지상(fructicose) 지의류(地衣類)의 종(種)과 피도(被度)를 조사하고, 오존에 대한 생체반응을 조사하였다. 백운산에 서식하고 있는 지의류(地衣類)는 총 9과 20종 34속의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로 대기오염에 내성인 종(Lecanora sp.)부터 예민한 종(Ramalina sp.)까지 매우 다양한 지의류(地衣類)가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주요 엽상체 및 수지상 지의류(地衣類)는 Leptogium sp., Parmelia sp., Parmotrema sp., Phaeophyscia sp., Cladonia sp. 등이었다. 백운산 분포 지의류(地衣類) 중에서 우리나라 전역에 널리 분포하면서 동정이 용이한 엽상체 지의류(地衣類) 3종(種)(P. tinctorum, P. austrosinense, Certrelia braunsiana)과 수지상 지의류(地衣類) 1종(種)(Ramaliana yasudae)을 0.2ppm에서 1일(日) 8시간씩 2주간 오존에 노출시킨 결과 오존에 노출된 지의류(地衣類)는 MDA와 HPCD가 증가하고 엽록소가 감소되었으나, 수용성 단백질의 함량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MDA, HPCD, 엽록소 파괴 정도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오존에 대한 민감 정도는 P. austrosinense > P. ticctorum > C. braunsiana > R. yasudae 순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chen flora of 'Backwoon' mountain, Korea, was investigated during the summer of 1998 and 1999 to screen out lichen species which can be used as a biomonitor for atmospheric ozone. The identified foliose or fructicose lichens in the area were classified into 9 families, 20 genera and 34 species.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998년 6월에서부터 1999년 7월 사이에 樹皮, 이끼, 토양 및 바위 위에 서식하는 地衣體를 현장에서 1차 동정을 실시하고 피도를 조사하였다. 피도는 20X 10cm의 方形 틀에 1x1cm 격자망을 부착하여 Muhle와 LeBlanc (1975)이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조사하였다.
  • 시험기간 중에 地衣體의 과도한 건조를 막기 위하여 2일 간격으로 1차 증류수를 표면이 젖을 정도로 충분히 살포하였으며, 地衣體 表 面의 가시피해의 발현 여부를 매일 관찰하였다. 2주간의 노출시험을 마친 地衣體는 생체중을 측정한 즉시 액화질소에 보관하여 오존에 대한 地衣類 의 반응을 조사하는데 필요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 地衣體가 서식하고 있는 매체와 함께 조심스럽게 채취하여 실험실로 옮겨 구체적인 동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실에서의 地衣體 동정은 우선 Park(1990) 의 분류방법과 일본 지의식물도감(吉村, 1974)을 참조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발색시약인 KOH(K), p-phenylenediamine(P), Ca (OC1)2(C)와 KC 혼합한 시약을 地衣體 皮層과 髓層(medular layer)에 직접 가하여 발색 반응 유무를 조사하는 Hale(1979)의 정색반응(spot test) 법을 이용하였다.
  • 약 lOOmg의 地衣體를 5戒 DMSO(dimethylsulfoxide)에 침지시킨 후, 暗狀態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地衣體에서 광합성 색소가 완전히 추출되어 탈색된 것을 확인한 다음, UV spectrophotometer (UV-1601, Shimadzu)로 추출액의 홉광도를 415nm와 435nm 에서 측정하였다. 엽록소 파괴정도는 OD435nm/ OD415nm 비율로 표시하였다.
  • 地衣體의 수용성 단백질 함량은 Von Arb와 Brunold(1989)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액화 질소로 동결된 약 300mg의 地衣體를 분말화하여 , 15mM MgCh가 함유된 0.
  • rati。를 오염 지 수(pollution index : PI)로 나타내기 위하여 , 대조 地衣體에 대한 오존노출 地衣體의 비를 산출하여 전체 합으로 산출하였다(PI=MDAoz/MDAcon+HPCDoz /HPCDcon+ l/(RATIOoz/RATIOcon)). 그 결과, P.
  • 백운산에서 가장 높은 출현 빈도를 나타낸 Parmeliaceae 屬의 P. austrosinense, P. tinctorum 및 C. braunsianaek 수지상 地衣類 R- yasudae (Fig. 3)를 오존에 노출한 다음 地衣體內의 수용성 단백질, MDA, HPCD, 엽록소 파괴 정도를 조사하였다(Table 2, Table 3).
  • 시료를 ice bath에서 냉각 시켜 반응을 종료시킨 후 15,000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회수한 후에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600nm에서 나타나는 비특이적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감한 흡광도를 MDA 함량 계산에 이용하였다. MDA 함량 계산은 extinction coefficient 155 mM-'em-'(Kwon et al.
  • 수지상(fruticose) 地衣類를 중심으로 地衣類 분포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지역에 분포하는 地衣類 를 중심으로 대기오염원인 오존에 대한 地衣類 종류에 따른 민감 정도를 조사하였다.
  • 오존노출을 위하여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고압산소가스를 방전 시켜 발생된 오존을 이용하였으며, 오존노출 생장 상의 농도조절과 두 생장상의 오존농도 모니터링은 photometric ozone analyzer(Model 400, API) 를사용하였다. 시험기간 중에 地衣體의 과도한 건조를 막기 위하여 2일 간격으로 1차 증류수를 표면이 젖을 정도로 충분히 살포하였으며, 地衣體 表 面의 가시피해의 발현 여부를 매일 관찰하였다. 2주간의 노출시험을 마친 地衣體는 생체중을 측정한 즉시 액화질소에 보관하여 오존에 대한 地衣類 의 반응을 조사하는데 필요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 5)℃, 상대습도는 65~80%를 유지하였으며, 60“mol m-2 L의 光度로 하루 12시간(8 : 00~20 : 00) 照 射하였다. 오존노출시험은 地衣類가 생장상의 환경 조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양 후 3일째에 실시하였으며, 하루 8시간씩(8 : 00-16 : 00) 200ppb 의 농도로 2주간 노출하였다. 대조용 생장 상의 오존 농도는 16~ 27ppb로 자연대기수준의 오존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유지하였다.
  • 이때 생장상의 온도는 25(±0.5)℃, 상대습도는 65~80%를 유지하였으며, 60“mol m-2 L의 光度로 하루 12시간(8 : 00~20 : 00) 照 射하였다. 오존노출시험은 地衣類가 생장상의 환경 조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배양 후 3일째에 실시하였으며, 하루 8시간씩(8 : 00-16 : 00) 200ppb 의 농도로 2주간 노출하였다.
  • 전남 광양에 위치한 백운산(해발 1, 218m)에서 N 35° 01”~08”, E 127° 35”~40”의 약 84ktf 면적에 해당하는 지역의 地衣類 분포를 조사하였다. 조사 지점은 11개 지점으로 Fig.
  • 0)로 단백질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시료 200以에 10% TCA(trichloroacetic acid) 100必, 를 첨가하여 10, 00g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침전물에 IM Tris-HCl buffer(pH 9.

대상 데이터

  • 1. Simplified map of Backwoon mountain, Korea, presenting 11 locations where lichens were collected.
  • 부착매처}(수피, 바위)와 함께 채집한 地衣體를 초순수로 세척하여 2대(오존노출용, 대조용)의 生 長箱(L600xW600xH700mm)에서 엽상체 地衣類 는 각각 5개체, 수지상 地衣類는 각각 25개체를 배양하였다. 이때 생장상의 온도는 25(±0.
  • tinctorum, Certrelia braunsiana와 수지상 地衣類 Ramalina yasudae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엽상체 地衣類 3종은 착생면적이 약 50而인 地衣體를 1개체로 간주하였으며, 수지상 地衣類는 크기가 작고 바위에 직립형으로 착생하므로 약 3cm 높이 이상의 地衣體 만을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 오존노출시험은 백운산 지역에 분포하는 地衣類 중에서 비교적 동정이 쉽고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엽상체 地衣類 P. austrosinense, P. tinctorum, Certrelia braunsiana와 수지상 地衣類 Ramalina yasudae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엽상체 地衣類 3종은 착생면적이 약 50而인 地衣體를 1개체로 간주하였으며, 수지상 地衣類는 크기가 작고 바위에 직립형으로 착생하므로 약 3cm 높이 이상의 地衣體 만을 선발하여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엽록소 파괴정도는 Garty et 冰.(1992)의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약 lOOmg의 地衣體를 5戒 DMSO(dimethylsulfoxide)에 침지시킨 후, 暗狀態에서 12시간 동안 보관하였다.
  • 균질화된 시료를 15,000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 시킨 후, 상등액의 OD값을 234nm에서 측정하였다. HPCD 의 함량은 extinction coefficient 2.74x 104cirf'(Fishwick과 Swoboba, 1977)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 상등액을 회수한 후에 532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600nm에서 나타나는 비특이적 흡광도를 측정하여 이를 감한 흡광도를 MDA 함량 계산에 이용하였다. MDA 함량 계산은 extinction coefficient 155 mM-'em-'(Kwon et al., 1965)을 적용하여 실 시 하였다.
  • MDA 함량은 비색법(Heath와 Packer, 19洗8)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액화 질소로 동결한 地衣體 약 100mg을 분말화시킨 다음, 2.
  • 0) 200 以를 첨가하여 완전히 녹인 후에 동일한 조건으로 원심분리를 실시하였다. 상등액 50叫를 취하여 Bradford(1976)방법을 이용하여 수용성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단백질 정량을 위하여 BSA (bovine serum altaimin)을 표준물질로 이용하였다.
  • 실험실에서의 地衣體 동정은 우선 Park(1990) 의 분류방법과 일본 지의식물도감(吉村, 1974)을 참조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동정을 위하여 발색시약인 KOH(K), p-phenylenediamine(P), Ca (OC1)2(C)와 KC 혼합한 시약을 地衣體 皮層과 髓層(medular layer)에 직접 가하여 발색 반응 유무를 조사하는 Hale(1979)의 정색반응(spot test) 법을 이용하였다.
  • 대조용 생장 상의 오존 농도는 16~ 27ppb로 자연대기수준의 오존 농도보다 낮은 농도로 유지하였다. 오존노출을 위하여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고압산소가스를 방전 시켜 발생된 오존을 이용하였으며, 오존노출 생장 상의 농도조절과 두 생장상의 오존농도 모니터링은 photometric ozone analyzer(Model 400, API) 를사용하였다. 시험기간 중에 地衣體의 과도한 건조를 막기 위하여 2일 간격으로 1차 증류수를 표면이 젖을 정도로 충분히 살포하였으며, 地衣體 表 面의 가시피해의 발현 여부를 매일 관찰하였다.
  • 조사하였다. 피도는 20X 10cm의 方形 틀에 1x1cm 격자망을 부착하여 Muhle와 LeBlanc (1975)이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