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해 안골만 잘피밭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in Angel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3 no.5, 2000년, pp.439 - 477  

이태원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문형태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황학빈 (충남대학교 해양학과)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김대지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해안에 위치한 안골만 잘피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월별로 beam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기 간 동안 39종 2,065개 체, 8,930.0g의 어류가 채집되었으며, 소형 주거종과 회유종의 유어들이 주를 이루었다. 출현한 어류 중 주둥치 (Leiognathus nuchalis), 베도라치 (Pholis nebulosa),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와 볼락 (Sebastes inemis)이 전체 개체수의 $60{\%}$를 차지하였다. 출현 종수와 생체량은 수온이 낮은 12월에서 3월 사이에는 낮았으며, 잘피가 성장하는 4월과 5월에는 주거종과 볼락의 유어들이 대량 채집되어 생체량이 높았다. 6월과 7월에 산란을 마친 주거종이 양적으로 줄어 생체량이 줄었으나, 8월에는 봄에 부화된 경제성이 높은 어종의 유어들이 가입되어 생체량이 증가하였다. 그 이후 잘피의 현존량이 감소하면서 어류의 생체량도 줄었고, 겨울에는 소수 개체만이 채집되었다. 종간 유사성을 집괴 분석한 결과 4개의 무리로 구분되었다. 온수기에는 주거종인 베도라치, 실고기와 주둥치가 우점하였고, 냉수기에는 살망둑 (Chaenogobius heptacanthus)과 양태 (Plarcephalus indicus)가 출현하였다. 잘피가 성장하는 $3{\~}6$월에는 주거종인 쥐노래미의 유어, 잘피의 현존량이 높은 $4{\~}7$월 사이에는 가시망둑 (Pseudoblennius couoides), 돌팍망둑 (Pseudoblennius percoides)과 볼락의 유어, 그리고 잘피가 시들어가는 $8{\~}9$월에는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와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유어들이 출현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잘피밭 어류의 종조성은 수온과 잘피의 현존량에 따라 뚜렷한 계절 변화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in Angel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by a beam trawl from April 1998 to March 1999, A total of 39 species, 2,065 individuals and 8,930 g of fish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조사시기의 종조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채집월의 자료를 한 개의 표본단위 (sample unit)로 보고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이 때에 3회 이상 출현한 종만을 대상으로, 각 표본 단위의 줄현개체수로 각 종의 순위를 정하고 Spearman의 rank correlation을 계산한 후 Davis (1978)의 program "PCA"를 일부 변형하여 계산하였다.
  • 본 해역과 유사한 환경을 가진 광양만 대도 주변 잘피밭에서 1994년 동일 규격인 beam trawl로 채집한 자료 (Huh and Kwak, 1997a)와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광양만에서는 밤낮으로 채집 하였고, 주간의 채집 면적도 본 연구의 2, 400 m2의 2배였기 때문에, 두 자료를 비교하기 위해서 광양만의 주간 자료를 본 연구의 예인면적과 동일하게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 남해안에 위치한 안골만 잘피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3 월까지 월별로 beam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계절에 따른 종조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39종 2, 065개체, 8,930.
  • 9cm, 1cm였으며, 끌줄은 약 30m 정도였다. 만내부, 만중 부 및 만 입구 3개 조사정점에서 5분씩 예인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러나, 그물 예인에 장애물이 많아 각 정점에서 총 예인시간이 5분이 되도록 하였다.
  • 양의 가중치를 보인 종은 잘피의 현존량이 낮은 시기에 출현하였던 B 무리나, 잘피가 시들어 가는 시기에 출현하였던 D 무리에 속하는 종들이었다. 본 연구에서 잘피의 현존량을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본 조사해역과 유사한 잘피 성장양상을 보인 광양만 잘피의 현존량 (Fig. 8, in Kwak, 1997)과 제 I축의 score 값과 상관관계를 계산하였다. 제 I축의 score 값은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r2=0.
  • 경남 진해시 안골만은 외해로부터 보호된 수심이 2m 미만인 천해로, 잘피가 밀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골만 잘피밭에서 beam trawl을 이용하여 월별로 어류를 채집하여 잘피 성장에 따른 종조성의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 출현종간의 유사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시기간의 각 종의 출현 유무에 따라 Jaccard (1908)의 유사도지수를 계산하여 수상도를 작성하였다. 조사시기의 종조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채집월의 자료를 한 개의 표본단위 (sample unit)로 보고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이 때에 3회 이상 출현한 종만을 대상으로, 각 표본 단위의 줄현개체수로 각 종의 순위를 정하고 Spearman의 rank correlation을 계산한 후 Davis (1978)의 program "PCA"를 일부 변형하여 계산하였다.
  • 채집된 재료는 냉장 보관하여 실험실로 운반한 후, 종별로 개체 수와 생체량을 파악하였다: 각 어체의 체장은 1mm까지, 체중은 0.1 g까지 측정하였다. 종의 동정에는 Chyung (1977), Masuda et al, (1984)을 따랐다.
  • 출현종간의 유사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조사시기간의 각 종의 출현 유무에 따라 Jaccard (1908)의 유사도지수를 계산하여 수상도를 작성하였다. 조사시기의 종조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채집월의 자료를 한 개의 표본단위 (sample unit)로 보고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대상 데이터

  • 기존의 연구 가운데, 광양만에서는 잘피의 현 존량 먹이 생물에 관한 조사가 수행되었다 (Kwak, 1997). 광양만 은 본 연구 지역과 위도상으로 비슷하고, 본 연구과정에서 잘피의 성장 과정이 광양만과 비슷하여 광양만 자료를 이용하였다. 먹이생물의 경우 해역이 다르기 때문에 종은 달라질 수 있지만 유사한 서식처에서 생태적 지위는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 본 연구에 사용된 재료는 경남 진해시 안골만에 위치한 잘피밭에서 1998년 4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월별로 beam trawl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채집에 이용된 beam trawl은 Huh and Kwak (1997a)의 연구에서 사용되어진 어구와 동일 규격으로, 길이 5m, 망폭 4 m, 날개그물 (wing net)과 자루그물 (cod end)의 망목은 각각 1.

데이터처리

  • 그러나, 그물 예인에 장애물이 많아 각 정점에서 총 예인시간이 5분이 되도록 하였다. 조사 초기 2달간 각 정점의 종조성에 대하여 Wicoxon의 signed-rank test와 밀도에 대하여 t-test를 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p>0.05), 각 조사 시기마다 예인 가능 지역이 달라져 각 시기의 자료는 3 정점 자료를 합하여 정 리 하였다.

이론/모형

  • 종의 동정에는 Chyung (1977), Masuda et al, (1984)을 따랐다. 어류의 계절변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개체수 를 대상으로 Shannon-Wiener의 종다양성지수(H')를 계산하였다 (Shannon and Weaver, 1949).
  • 1 g까지 측정하였다. 종의 동정에는 Chyung (1977), Masuda et al, (1984)을 따랐다. 어류의 계절변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개체수 를 대상으로 Shannon-Wiener의 종다양성지수(H')를 계산하였다 (Shannon and Weaver, 194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