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 및 추정오차
Estimation of Area Average Rainfall Amount and Its Error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4 no.4, 2001년, pp.317 - 326  

유철상 (고려대학교 환경공학과) ,  정광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술평균법, Thiessen의 가중평균법 및 추정이론에 근거한 최적가중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면적평균강우량을 계산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오차를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유역의 영월 상류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역 내 강우계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는 경우 산술평균법이나 Thiessen의 가중평균법을 이용한 결과에는 큰 차이가 없다. 그러나 이들 두 방법은 강우의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이유로 특히 강우의 변동성이 큰 경우 면적평균강우의 추정에 큰 오차를 내포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오차는 강우의 공간적 변동성을 고려하는 추정이론에 근거한 방법에 비해 매우 큰 값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여름철 강우처럼 그 공간적 변동성이 큰 경우에 기존의 산술평균법이나 Thiessen의 가중평균법은 상당히 큰 추정오차를 내포할 수 있음을 파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를 고려할 수 있는 방법, 예를 들어 현재 대유역에 적용되고 있는 등우선법이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추정이론에 근거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s the errors involved in the area average rainfall amounts estimated by the arithmetic mean method, the Thiessen's weighting method, and the optimal weighting method from the estimation theory.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upstream part of Nam-Han river basin (upper part of You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기존의 방법 중 소규모나 중규모의 유역에 적용되는 산술평균법과 Thiessen 법에 대해 면적평균강우량의 추정법과 그 추정오차가 어떻게 나타나는 지를 살펴보고 아울러 추정이론 (estimation theory)에 따라 각 강우계 자료가 가지는 변동성을 고려하여 면적평균강우량을 추정하는 경우 각 강우계가 가지는 가중치 및 추정오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그 변동성이 심한 남한강 유역의 영월 상류지역을 대상유역으로 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주어진 강우 관측망에 대해 그 공간상관이 무시될 수 있도록 강우 관측망을 재구성하여 즉 강우계의 수를 적절히 축소하여, 산술평균법, Thiessen법, 및 추정이론에 근거한 방법에 대해 면적 평균강우량 및 그 오차를 추정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산술평균법, Thiessen법 및 추정이 론에 근거한 방법으로 면적평균강우를 계산하고 각각의 경우에 대해 추정오차를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유역의 영월 상류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경우에 대해 각 강우계의 가중치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면적평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 이 유역에는 현재 19개의 지점에서 강우가 관측되고 있으며 그 자료 기간은 최대 24년에서 최소 6년까지로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관측된 특성이 다른 2개의 강우사상에 대해 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가설 설정

  • 마지막으로 주어진 관측망에 대해 관측된 강우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관측오차를 추정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추정이론에 근거한 방법으로서 각 강우계의 최적 가중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추정이론의 적용은 먼저 강우계가 주어진 유역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가정에 근거한다. 즈 강우계의 공간적인 분포가 일양분포 (Uniform DistributionX 따른다고 가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한정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윤용남 (1998). 공업수문학, 청문각 

  2. Alpert, P. (1986). Mesoscale indexing of the distribution of orographic precipitation over high mountains,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5, pp. 532-545 

  3. Bell, T. L. (1986). Theory of optimal weighting of data to detect climate change,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43, pp. 1694-1710 

  4. Dore, A. J, Choularton, T. W., Brown, R. and Blackall, R. M. (1992). Orographic rainfall enhancement in the mountains of the Lake District and Snowdonia, Atmospheric Environment, Vol. 26A, No.3, pp. 357-37l 

  5. Eagleson, P. S. (1970). Dynamic Hydrology, McGraw-Hill, New York 

  6. Hegerl, G. C. and North, G. R. (1997). Comparison of statistically optimal approaches to detecting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Journal of Climate, Vol. 10, pp. 1125-1133 

  7. North, G. R. (1984).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and normal modes,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41, No.5, pp. 879-887 

  8. North, G. R. and Stevens, M. J. (1998). Detecting climate signals in the surface temperature record, journal of Climate, Vol. 11, No.4, pp. 563-577 

  9. Ogura, Y. and Yoshizaki, M. (1988). Nomerical study of orographic-convective precipitation over the Eastern Arabian Sea and the Ghat Mountains during the summer Monsoon.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45, No. 15, pp. 2097-2122 

  10. Shen, S. S. P., North, G. R. and Kim, G.-Y. (1994). Spectral approach to optimal estimation of the global average temperature, Journal of Climate, Vol. 7, No. 12, pp. 1999-2007 

  11. Stevens, M. J. and North, G. R. (1996). Detection of the climate response to the solar cycle,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ol. 53, pp. 2594-26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