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plantarum 균체 중 항보체 활성물질의 특성과 작용양식
Characterization and Action Mode of Anti-Complementary Substance Prepar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4 no.2 = no.162, 2002년, pp.290 - 295  

김장현 (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식품생물공학) ,  신광순 (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식품생물공학) ,  이호 (경기대학교 자연과학부 식품생물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과 공시균주 12종을 대상으로 보체 용혈 분석법을 이용하여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 활성화(항보체 활성, $TCH_{50}$) 정도를 측정한 결과, 김치로 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이 타 유산균 종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로 부터 조제된 세포벽 획분의 경우 세포질 획분보다도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각 획분의 활성은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L. plantarum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의 경우 pronase 소화 후에는 활성의 변화가 없는 반면, 과요오드산 처리에 의해서는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는데 이들 결과로부터 L. plantarum의 세포질과 세포벽 획분에 의한 보체계 활성화가 주로 다당 영역에 기인함을 알수 있었다. 한편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해, $Ca^{++}$ 이온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세포질과 세포벽 획분에 의한 C3 활성화 산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또한 L. plantarum의 세포벽 획분에 의한 항보체 활성은 동일 조건에서 활성을 유지한 반면, 세포질 획분에 의한 활성화 정도는 동일 조건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plantarum 세포벽 획분의 보체계 활성화 양식은 주로 alternative pathway의 활성화에 의한 것이며, 세포질 획분에 의한 활성화는 classical pathway와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mong 12 lactic acid bacteria examined for their abilities to activate the complement system by hemolytic complement assay $(TCH_{50})$, Lactobacillus plantarum previously isolated from Kimchi showed high anti-complementary activity. The anti-complementary activity of the cell wall fr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L. plantarum의 세포벽 및 세포질 획분의 항보체 활성이 보체계 활성에 의한 것인지 혹은 저해에 의한 것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보체 활성화에서 가장 중요한 성분으로 알려진 C3의 활성화 여부를 조사하였다. 일반적으로 보체계가 활성화되면 C3는 C3a와 C3b로 분해되므로(20) 시료와 정상인 혈청을 반응시킨 후 1차로 전기영동을 실시하고 anti­ human C3을 이용, 면역전기영동을 행함으로써 C3 분해산물을 동정하고자 하였다.
  •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금까지의 유산균의 항암 또는 면역활성에 관한 연구는 주로 발효유제품과 관련된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유산균체의 면역활성 중 보체계 활성화에 의한 연구는 극히 제한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대상의 면역활성 검색과정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던 Lactobacillus plamarum의 세포성분을 대상으로 보체계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활성을 보이는 물질의 기본 특성과 활성 작용양식에 대한 기초 자료를 획득할 목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보체계 활성화능이 우수한 것으로 검색되었던 L. plantarum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을 대상으로 농도별 활성을 검토하였다. Table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벽 획분은 세포질 획분보다 양호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첫째, 섭취한 유산균에 의해 장내 발암물질을 불활성화하거나 발암전구물질을 발암물질로 전환시키는 장내 유해세균들의 효소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발암물질의 생성을 억제한다. 둘째, 숙주의 면역계를 자극 또는 증강시킴으로서 interferon 유도, 항체생성 및 세포성면역활성화 등의 기작에 의해 항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셋째 균체성분이 장내 발암물질을 흡착하여 장외로 배설됨으로써 항암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고 가정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Jung, C.M. and Kang, K.H. Industrial utilization and future pros-pect of lactic acid bacteria. Bioindustry News (Kor.) 12: 16-22(1999) 

  2. Femandes, C.F., Shahani, K.M. and Amer, M.A. Therapeutic role of dietary lactobacilli and lactobacilli fermented dairy products.FEMS Microbiol. Rev. 46: 343-356 (1987) 

  3. Fuller, R. Probiotics in human medicine. Gut 32: 439-442 (1991) 

  4. Chandan, R.C. Enhancing market value of milk by adding cul tures. J. Dairy Sci. 74: 2082-2088 (1999) 

  5. Sanders, M.E. Probiotics. Food Technol. 53: 67-77 (1999) 

  6. Bogdanov, I.G., Dalev, P.G., Gurevich, L.A., Kolosov, M.N.,Malkov, V.R, Plemyannikova, L.A. and Sorokina, I.B. Antitumor glycopeptides from Lactobacillus bulgaricus cell wall. FEBS Lett 57: 259-261(1975) 

  7. Goldin, B.R. and Gorbach, S.L. The effect of Lactobacillus aci-dophitus dietary supplements on 1,2-dimethylhydrazine dihydro-chloride-induced intestinal cancer in rats. J. Natl. Cancer Inst. 73: 263-265 (1980) 

  8. Kato, I., Kobayashi, S., Yokokura, T. and Mutai, M. Antitumor activity of L. casei in mice. Gann 72: 517-523 (1981) 

  9. Friend, B.A. Farmer, R.E. and Shahani, K.M. Effect of feeding and intraperitoneal implantation of yogurt culture cells of Ehrilich ascites tumor. Milchwissenschaft 37: 708-714 (1982) 

  10. Rao, C.V., Sanders, M.E., Indranie, C., Simi, B., and Reddy, B.S.Prevention of indices of colon carcinogenesis by the probiotic Lactobacillus acidophilus NCFM in rats. Int. J. Oncol. 14: 939-944(1999) 

  11. Fernandes, C.F. and Shahani, K.M. Anticarcinogenic and imimu-nological properties of dietary lactobacilli. J. Food Prot. 53: 704-710(1990) 

  12. Perdigon, G., Elena, M., Alvrez, S., Medici, G., Oliver, G. and Holgado, A. Effect of a mixture of Lactobacillus case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administered orally on the immune system in mice. J. Food Prot. 49: 986-989 (1986) 

  13. Rangavajhyala, N., Shahani, K.M., Sridevi, G. and Srikumaran, S.Nonlipopolysaccharide component(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stimulates the production of interlukin-l $\alpha$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by murine macrophages. Nutr. Cancer 28: 130-134 (1997) 

  14. Matsuzaki, T, Yamazaki, R., Hashimoto, S. and Tokokura, T. The effect of oral feeding of Lactobacillus casei strain Shirota on immunoglobulin E production in mice. J. Dairy Sci. 81: 48-53 (1998) 

  15. Gill, H.S., Rutherfurd, K.J., Prasad, J. and Gopal, P.K. Enhance-ment of natural and acquired immunity by Lactobacillus rhamno-sus (HNOOl), Lactobacillus acidophilus (HN017) and Bifidobacterium lactis (HN019). Br. J. Nutr. 83: 167-176 (2000) 

  16. Yamada, H. and Kiyohara, H. Bioactive polysaccharides from Chinese herbal medicines. Abstracts of Chinese Medicines 3: 104-124 (1989) 

  17. Suzuki, I., Hashimoto, K., Oikawa, S., Sato, K., Osawa, M. and Yadomae, T. Antitumor and immunomodulating activites of a $\beta$ -glucan obtained from liquid-cultured Grifola flondosa. Chem. Pharm. Bull. 37: 410-413 (1980) 

  18. Okuda, T, Yoshioka, Y., Ikekawa, T., Chihara, G. and Nishioka, K. Anticomplementary acitivity of antitumor polysaccharides. Nature New Biol. 238: 59-64 (1972) 

  19. Ito, H. Effects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various natural sources on drug-metabolizing system. Phagocytic activity and complement system in sarcoma 180-bearing mice. Japan. J. Phar-macol. 40: 435-443 (1986) 

  20. Whaley, K. The complement system, pp. 1-35. In: Complement in Health and Disease. Whaley, K. (ed.). MTP Press, Lancaster, USA(1986) 

  21. Ikeda, K... Sannoh, T., Kawasaki, N., Kawasaki, T. and Yamash-ina, I. Serum lectin with known structure activates complement through the classical pathway. J. Biol. Chem. 262: 7451-7454 (1987) 

  22. Egwang, T.G. and Befus, A.D. The role of complement in the induction and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Immunology 15: 207-224 (1984) 

  23. Kabat, E.A. and Mayer, M.M. Complement and complement fixa-tion, pp. 133-240. In: Experimental Immunochemistry. 2nd ed. Charles, C. (ed.). Thormas Publisher, Illinois, USA (1971) 

  24. Shin, K.S. Studies on selection, purification and action modes of anti-complementary polysaccharides from Arecae Pericarpium. Ph.D. Dissertation, Korea Univ., Korea (1992) 

  25. Shimura, K., Ito, H. and Hibasami, H. Screening of host-mediated antitumor polysaccharides by crossed immunoeletrophoresis using fresh human sernm. Japan, J. Pharmacol. 33: 403-408 (1983) 

  26. Mheen, T. I. and Kwon, T.W.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 centration on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443-450 (1984) 

  27. Son, T.J., Kim, J.S. and Park, K.Y. 1998. Antimutagenic activi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Korean Assoc. Cancer Prev. 3: 65-74 (1998) 

  28. Shin, K.S., Chae, O.W., Park, I.C., Hong, S.K. and Choe, T.B. Antitumor effects of mice fed with cell lysate of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ion from kimchi. Korean J. Biotechnol. Bioeng. 13:357-363(1998) 

  29. Park, I.S. Function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Ph.D. Dissertation, Chung-Ang Univ., Korea (1992) 

  30. Park, K.Y., Kim, S.H. and Son, T.J. Antimutagenic activities of cell wall and cytosol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J. Food Sci. Nutr. 3: 329-333 (1998) 

  31. Nagaoka, M, Muto, M, Nomoto, K, Matuzaki, T, Watanabe, T,Yokokura, T. Structure of polysaccharide-peptidoglycan complex from the cell wall of Lactobacillus casei YIT9018. J. Biochem. 108: 568-571 (1990) 

  32. Gerard, W.R., Hans, L.J., Dick, J.C., Han, H., Johannis, P.K. and Vligenthart, J.F.G. Structural studies of the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Lactobacillus paracasei 34-1. Carbohydr. Res. 285: 129-139 (1996) 

  33. Czop, J.K. and Austin, K.F. A $\beta$ -glucan inhibitable receptor on human monocytes: Its identity with the phagocytic receptor for particulate activators of the alternative complement pathway J.Immunol. 134: 2588-259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