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금과 간장 양념이 고등어 구이의 지질산화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t and Soysauce Condiment on Lipid Oxidation in Broiled Mackerel (Scomber japonicu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4 no.6 = no.166, 2002년, pp.1030 - 1035  

류승희 (인제대학교 바이오헬스 소재 연구센터 및 인제대학교 식품과학부) ,  이영순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갑순 (인제대학교 바이오헬스 소재 연구센터 및 인제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RPs에 의한 생선의 저장 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고등어를 대조군, 소금구이군, 간장구이군으로 나누어 조리한 뒤 냉장온도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 conjugated diene 함량, malonaldehyde 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생고등어의 과산화물가는 $7.20{\pm}1.10\;meq/kg\;lipid$였으며 조리 직후 소금구이 군에서 과산화물의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저장 기간동안에도 대조군과 유사하게 과산화물의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에 반해 간장구이군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과산화물가가 낮아 항산화효과가 인정되었다. Conjugated diene함량은 대조군의 경우 저장 12일 동안 거의 변화 없이 매우 안정하였고 소금구이군의 경우 저장동안 CDA가 증가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간장구이군의 경우 저장 3일, 9일째에는 대조군 및 소금구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conjugated diene 함량이 낮아졌다. 생고등어의 malonaldehyde 함량은 조리과정동안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조리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 기간에 따른 malonaldehyde 함량은 대조군과 간장구이군의 경우 저장동안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도 없었다. 그러나 소금구이군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TBARs 값이 증가하였고 저장 9일과 12일째에는 대조군 및 간장구이군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산화가 진행되었다. 고등어를 조리한 뒤 세 군 모두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대조군의 경우 SFA, MUFA, PUFA가 37.54%, 29.55%, 32.9%로 단일불포화지방산이 파괴되었으나 저장 10일동안 지방산 조성 변화는 크지 않았다. 소금구이군의 경우 PUFA의 함량은 27.45%로 생고등어와 비교하여 감소하였고 SFA는 41.69%로 증가하였다. 저장 10일째에는 PUFA/SFA가 0.57으로 급격하게 감소되었고 n-3계 지방산의 함량도 20.63%로 초기의 25.53%와 비교해 상당량 분해되었음을 나타내었다. 간장구이군의 경우 저장기간에 따른 PUPA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히 저장 10일째 PUFA 함량이 실험군 중 가장 높았고 PUFA/SFA의 비율도 높았으며 n-3/n-6 비율도 가장 높아 간장이 고등어 지방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막았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조리방법에 따른 고등어 저장성에 있어서 소금구이는 산화를 촉진시키는 것에 반해 간장구이는 산화를 억제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조리방법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health benefits derived from fish oi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s) contained in fish oil are susceptible to lipid oxidation. To determine the optimum condition for maintaining good quality cooked fish during storage, mackerels were broiled with salt or soysauce condiments, and the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본에서는 간장과 설탕으로 만든 데리야끼 소스에 고등어를 굽는 고등어 데리야끼구이 형태로 많이 섭취하고 있고 이는 MRPs의 항산화 효과로 인해 소금구이보다 지방질 산화 안정성이 높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MRPs 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이용하여 생선의 저장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고도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고등어를 소금구이와 간장구이로 구이방법을 달리하여 조리하고 저장하면서 지방의 산화정도 및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Garcia, D.J. Omega-3 long-chain PUFA nutraceuticals. Food Technol. 52: 44-49 (1998) 

  2. Simopoulos, A.P.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and in growth and development. Am. J. Clin. Nutr. 54: 438-463 (1991) 

  3. Nordoy, A., Hatcher, L.F., Ullman, D.L. and Connor, W.E. Individual effects of dietary saturated fatty acids and fish oil on plasma lipids and lipoproteins in normal men. Am. J. Clin. Nutr. 57: 634-639 (1993) 

  4. Medina, A.R., Gimenez, A.G., Camacho, F.G., Perez, J.A.S., Grima, E.M. and Gomez, A.C. Concentration and purification of steahdonic, eicosapentaenoic, and docosahexaenoic acids from cod liver oil and the marine microalga Isochrysis gatbana. J. Am. Oil Chem. Soc. 72: 575-583 (1996) 

  5. Namiki, M. Chemistry of Maillard reaction: recent studies on the browning reaction mechanism and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s and mutagens. Adv. Food Res. 32: 115-184 (1988) 

  6. Tomita, Y. Studies on antioxidant activity of amino-carbonyl reaction products I. Antioxidant activity of amino acids and browning solutions of amino acid with glucose. Kagoshima Daigaku Nogakuku Gakujutsu Hokoku 21: 153-160 (1971) 

  7. Lingnert, H. and Eriksson, C.E. Antioxidative Maillard reaction products. I. Products from sugars and free amino acids. J. Food Proc. Preserv. 4: 161-172 (1980) 

  8. Lingnert, H. and Eriksson, C.E. Antioxidative Maillard reaction products. II. Products from sugars and peptides or protein hydrolysates. J. Food Proc. Preserv. 4: 173-181 (1980) 

  9. Griffth, T. and Johnson, J.A. Relation of the browning reaction to storage stability of sugar cookies. Cereal Chem. 34: 159-169 (1957) 

  10. Lingnert, H. and Lundgren, B. Antioxidative Maillard reaction products. IV. Applications in sausage. J. Food Proc. Preserv. 4: 235-246 (1980) 

  11. Cheigh, H.S. and Moon, G.S. Antioxidative effect of soybean sauce on the lipid oxidation of cooked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18: 313-318 (1986) 

  12. Cheigh, H.S. and Moon, G.S.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soybean sauce in lipid oxidation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19: 537-541 (1987) 

  13. Cheigh, H.S., Lee, J.S., Moon. G.S. and Park, K.Y. Antioxidative activity of browning products fractionated from fermented soybean sauce. J. Korean Soc. Food Nutr. 22: 565-569 (1993) 

  14. Moon, G.S. Separation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sauce using ion exchange resin. Inje J. Inje Univ. Korea 5: 119-127(1989) 

  15. Cheigh, H.S. and Moon, G.S. S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oxidative substances in fermented soybean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61-465 (1990) 

  16. Bailey, M.E. and Um, K.W. Maillard reaction products and lipid oxidation, pp. 122. In'. Lipid Oxidatwn in Food, Angelo, A.J.St.(ed.), ACS Symposium Series 500. Am. Chem. Soc., Washington, DC, USA (1992) 

  17. Moon, G.S. Comparison of various kinds of soybean sauces in their andoxidative activities. J. Korean Soc. Food Nutr. 20: 582-589(1991) 

  18. Yoon S.S. Korean Food History and Cooking Methods. pp. 271-272, Souhak-sa, Korea (1996) 

  19. Folch, J., Lees, M. and Sloane-Stanley, G.H.S.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1957) 

  20.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82) 

  21. AOCS. Official and Tentative Methods. 2nd ed. Method Ti la-64. Am. Oil Chem. Soc., Chicago, USA (1980) 

  22. Ohkawa, H., Ohishi, N. and Yagi, K.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95: 351-358(1979) 

  23. Metcalfe, L.D. and Schmitz, A.A. and Pelka, J.R. Rapid prepara-tion of fatty acid esters from lipids for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Anal. Chem. 38: 514-515 (1966) 

  24. Aubourg, S.P. Lipid damage detection during the frozen storage of an underutilized fish species. Food Res. Int. 32: 497-502 (1999) 

  25. Cho, S.Y., Endo, Y., Fujimoto, K. and Kaneda, T. Autoxidation of ethyl eicosapentaenoate in a defatted fish dry model system. Nip-pon Suisan Gakkaish 55: 545-552 (1989) 

  26. Choi, K.S. and Tappel, A.L. Inactivation of ribonuclase and other enzymes by peroxidizing lipids and by malonaldehyde. Biochem. J. 8: 2827-2832 (1969) 

  27. Lee K.H., Cho, H.S., Lee, J.H., Shim, K.H. and Ha, Y.L. Lipid oxidation in roasted fish meat. 1. Rancidity in roasted and/or reheated dark muscled fish. J. Korean Fish. Soc. 30: 708-713 (1997) 

  28. Kim, I.S. and Park, Y.H. Studies on the oxidative stabilities of mackerel lipids. Bull. Korean Fish. Soc. 17: 313-320 (1984) 

  29. Adams, P.B., Lawson, S., Sanigorski, A. and Sinclair, A.J. Arachidonic acid to eicosa-pentaenoic acid ratio in blood corre-lates positivdy with clinical symptoms of depression. Lipids 31: S157-S161 (1996) 

  30. Lee, Y.K. and Lee, H.S. Effects of onion and ginger on the lipid peroxidatio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ackerel during fro-zen storage. J. Korean Soc. Food Nutr. 19: 321-329 (1990) 

  31. Cook, C.Y. Antioxida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ginger on mackerel pike (Cototabis saira) Hesh. J. Korean Oil Chem. Soc. 12:43-46(1995) 

  32. Kim, K.H. and Kim, K.S. Effect of treatment with garlic or lemon juice on lipid oxidation and color difference during the storage of mackerel pike. Korean J. Soc. Food Sci. 9: 94-98 (1993) 

  33. Ji, C.I., Kang, J.H., Park, Y.B., Lee, T.G., Kim, S.B. and Park, Y.H.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pices extracts on peroxidation of refined sardine oil. Bull. Korean Pish. Soc. 25: 325-330 (1992) 

  34. Ryu, S,H., Chei, K.M. and Moon, G.S. EfFect of soybean sauce and glucose-lysine model melanoidin on fatty acid oxidation. Inje J. Inje Univ. Korea 12: 535-548 (1996) 

  35. Lee, K.H., Hong, B.I. and Jung, B.J. Processing of low salt mackerel fillet and quaI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70-1076 (1998) 

  36. Kwak, T.K., Lee, K.E., Park, H.W., Rye, K., Hong, W.S., Choi, E.J., Jang, H.J. and Kim, S.H. The development of HACCP-based standardized recipe and the quality assessment of cook/chilled soy sauce glazed mackerel. Korean J. Soc. Food Sci. 13: 592-601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