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칠나무 잎의 면역활성증진기능 탐색
Screening of Immune Activation Activities in the Leave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0 no.2, 2002년, pp.109 - 115  

이서호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이현수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박영식 (오지텍) ,  황백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김재헌 (임업연구원) ,  이현용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황칠나무 잎의 추출물의 면역활성증진 실험에서 인간정상 간세포의 경우 모든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최고 26%이하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서로 다른 4가지의 암세포주(MCF7, A549, Hep3B, AGS)에서 50%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정상 세포의 결과와 암세포의 저해율을 비로 나타낸 selectivity의 측정에서 모든 암세포주가 1.5이상의 사멸도를 나타내었고 전체적으로 에탄올 추출물의 효과가 가장 좋았다.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에서 인감 유방암 세포주(MCF7)와 인간 간암세포주(Hep3B)의 경우에서 1.0 mg/ml농도에서 각각 65%와 67%의 저해율을 기록했다. 면역세포 실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1.0 mg/ml의 농도에서 B세포는 1.22배, T세포는 1.27배의 촉진 활성을 보였고, 6일 동안측정한 $cytokines(IL-6,\;TNF-{\alpha})$의 양도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T cell의 경우 IL-6은 94pg/m1, $TNF-{\alpha}$은 75pg/ml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추출 열과 추출용매 등에 의해 황칠나무 잎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유용성분들이 풍부하게 존재하며, crude추출물 중에 에탄올 추출물이 면역활성에서 좋은 효과를 보였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이를 통해서 황칠나무 잎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으로의 연구 개발이 통해서 충분히 그 가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mune activation activities of ethanol, ethanol : water(1 : 1,v/v) and water extracts from Dendropanax morbifera Lev. were compared. The crude extracts showed relatively low cytotoxicity as less than 26% by using human normal liver cell(WRL-68). For example, the ethanol extract inhibited. in M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따라서, Microphysiometer의 측정은 항암 활성의 일반적인 측정의 결과와 비교되었고, 세포에 대한황칠 잎 추출성분의 시간별 활성도 변화를 측정했다. Pump cycle은 total cycle time이 2분으로 하여 최종 측정되는 시간(start slope measurement(1 min 28sec) Stop slope measurement (Imin 58sec))은 30초로 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수치의 표시는 약물투여 전에 running buffer만을 흘려보내면서 측정된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지는 임의의 선으로 baseline을 설정하고, 이것을 100%로 하여 이 baseline값에 대한 %로 표현되었다.
  • , 1988). Selectivity의 측정은 각 암세포주의 생육억제 활성을 측정한 후 각 농도에서 세포 독성에 대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의 비로 계산하였다 (Woo Teak Chung et al., et al., 2001).
  • Microphysiometer(Molecular Devices, USA)의 즉정은 MTT assay나 SRB assay을 측정 할 때 비교 값으로 필요로 된다. 따라서, Microphysiometer의 측정은 항암 활성의 일반적인 측정의 결과와 비교되었고, 세포에 대한황칠 잎 추출성분의 시간별 활성도 변화를 측정했다. Pump cycle은 total cycle time이 2분으로 하여 최종 측정되는 시간(start slope measurement(1 min 28sec) Stop slope measurement (Imin 58sec))은 30초로 하였다.
  • 0x 104cells/ml의 농도로 조절한 후 시료를 투여하여 7일 동안 배양시켜 매일매일 각 well의 cell을 hemacytometer로 세포 수를 측정하여 생육 증강도를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면역세포들이 배지 내에 분비하는 cytokine인 Interleukine-6(IL-6)과 Tumor Necrosis FactorP(TND의 양은 ELISA kit(Genzyme, USA)를이용하여 측정되어졌다. 우선 배양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상측 액을 취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들과 함께 37℃에서 30분간 배양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물질을 이용해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이에 시료에서 얻어진 O.
  • 면역 기능 증강 효과는 인간 면역 세포인 T cell (Jurkat)과 B cell(Raji)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세포의 생육은 10% FBS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5% CO2, 37℃에서 배양하였으며, 면역 기능 증강 효과는 MTT assay와 24well plate에 세포를 2.
  • 세포의 생육은 10% FBS를 함유하는 RPMI 1640 배지에서 5% CO2, 37℃에서 배양하였으며, 면역 기능 증강 효과는 MTT assay와 24well plate에 세포를 2.0x 104cells/ml의 농도로 조절한 후 시료를 투여하여 7일 동안 배양시켜 매일매일 각 well의 cell을 hemacytometer로 세포 수를 측정하여 생육 증강도를 측정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면역세포들이 배지 내에 분비하는 cytokine인 Interleukine-6(IL-6)과 Tumor Necrosis FactorP(TND의 양은 ELISA kit(Genzyme, USA)를이용하여 측정되어졌다.
  • )의 잎은 20이년 4월말에 전남 완도군 보길도의 자생지에서 채취한 후 곧바로 실험실로 운반하여 물로 깨끗이 씻고 표면의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상온에 방치하여 건조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고 깨끗이 손질하여 추출 수율의 향상을 위해 잘게 분쇄한 후 수직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 flask에 시료중량 100g에 대하여 각각 10배의 증류수와 ethanol, 증류수와 ethanol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들은 감압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농축 후 동결건조 한 뒤에 각각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 또한 면역세포들이 배지 내에 분비하는 cytokine인 Interleukine-6(IL-6)과 Tumor Necrosis FactorP(TND의 양은 ELISA kit(Genzyme, USA)를이용하여 측정되어졌다. 우선 배양배지를 원심분리하여 상측 액을 취한 다음 다양한 농도의 추출물들과 함께 37℃에서 30분간 배양 후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물질을 이용해 표준곡선을 작성하고 이에 시료에서 얻어진 O.D값을 비교하여 cytokine의 양을 측정하였다(오오진, 1991).
  • 에 나타내었다. 황칠나무 잎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저해 효과를 검토하였다. Fig.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의 잎은 20이년 4월말에 전남 완도군 보길도의 자생지에서 채취한 후 곧바로 실험실로 운반하여 물로 깨끗이 씻고 표면의 잔여수분이 제거될 정도로 상온에 방치하여 건조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고 깨끗이 손질하여 추출 수율의 향상을 위해 잘게 분쇄한 후 수직 환류 냉각기가 부착된 추출 flask에 시료중량 100g에 대하여 각각 10배의 증류수와 ethanol, 증류수와 ethanol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얻어진 각각의 추출물들은 감압 여과장치로 여과하여 농축 후 동결건조 한 뒤에 각각의 수율을 계산하였다.
  • 세포배양에 사용된 기본배지는 A549와 AGS의 경우는 RPMI 1640(GIBCO, USA)을MCF7, Hep3B는 DMEM(GIBCO, USA) 이며 FBS(GIBCO, USA) 10%를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세포의 초기농도는 4x104 cells/ml의 농도로 조절하여 96 well tissue culture microplate에 100μl/well씩 접종하여 사용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암 세포주는 인간 유래의 유방암세포 (MCF7), 폐암세포(A549), 간암세포(Hep3B), 위암세포 (AGS)를, 정상세포로는 인간 간세포(WRL-68)을 이용하였다. 세포배양에 사용된 기본배지는 A549와 AGS의 경우는 RPMI 1640(GIBCO, USA)을MCF7, Hep3B는 DMEM(GIBCO, USA) 이며 FBS(GIBCO, USA) 10%를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이론/모형

  • 실험에 사용한 세포의 초기농도는 4x104 cells/ml의 농도로 조절하여 96 well tissue culture microplate에 100μl/well씩 접종하여 사용하였다. (Fisher et al., 1964) 암세포의 생육저해와 정상세포의 세포독성은 sulforhodamineB (SRB) 방법 (Doll et al., 1981)과 3-(4, 5-dimethyl thiazol-2-yl)-2, 5- diphenyl tetrazilium bromide(MTT)방법을 이용하였다 (Michael et al., 1988). Selectivity의 측정은 각 암세포주의 생육억제 활성을 측정한 후 각 농도에서 세포 독성에 대한 암세포 생육 억제 활성의 비로 계산하였다 (Woo Teak Chu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Deirdre Cooke, Richaid O'Kennedy (1999) Comparison of the Tetrazolium Salt Assay for Succinate Dehydrogenase with the Cytosenso Microphsiometer in the Assessment of Compound Toxicities, Analytical Biochemistry 274 : 188-194 

  2. Doll R, Peto R (1981) The causes of Cancer : Quantitative estimates of avoidable risks of Cancer in the United States today. J. Natl, Cancer Inst 66(6) : 1192 

  3. Fisher GA, Sartorelli AG (1964) Development Maintenance and Assay of Drug Resistance. meth. in med. Res 10 : 247-252 

  4. Jun feng, Yun-Xiang Ci, Chong-Ming Gao, Yin-Zhen Li (1997) Voltammetric behavior of living cells T. shanghaiensis and its bioanalytical application, Bioelectrochemistry and Bioenergetics 44 : 89-93 

  5. Michael CA, Domnic AS, Ahne M. (1988) Feasibility of dmg screening with panels of human tumor cell lines using a microculture tetrazolium assay. Cancer Res 48 : 589-601 

  6. Masanori K, Hiroshi K (1997) Creation of an In Vivo Cytosensor Using Engineered Mesangial Cells, J. Clin. Invest 100(6) : 1394-1399 

  7. Tadahide F, Nobuyuki O, Mamoru N (1999) The Relation between Degranulation and Rapid Metabolic Responses in RBL-2H3 Cells, Biol. Pharm. Bull 22(3) : 310-312 

  8. Chung WT, Lee SH, Cha MS, Sung NS, Hwang B, Lee HY (2001) Biological Activities in roots of Glycyrrhiza uralensis Fisch, K Kor. J. Medicinal Crop Sci 9(1) : 45-54 

  9. 김형량, 정희종 (2000) 황칠나무 잎 및 종실의 화학적 특성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 63-66 

  10. 권진, 이세진, 소준노, 오찬호 (2001)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fructus on the Immunoregulatory Action and Apoptosis of L1210 cells Korean J. Food technol 33 : 384-388 

  11. 정병석, 조종수, 표병식, 황백 (1995) Studies on the Diustribution of Dendropanax morbifera and Component Analysis of the Golden lacquer Korean J. Biotechnol. Bioeng 10 : 393-400 

  12. 오오진 (1991) 쇠비름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계에 끼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