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약 식물체 부위별 성분 함량 변이
Variation of Bioactive Component Contents in Plant Parts of Paeonia lactiflora Pall.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0 no.5, 2002년, pp.392 - 398  

정명근 (농촌진흥청 영남농업시험장)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4년생 의성작약을 재료로 하여 작약의 주 이용부위인 약근 외에 뇌두, 줄기, 잎과 같은 작약 식물체 각 부위로 시료를 구분하고, 또한 작약근의 경우 관행적 법제시 박피를 통해 제거되는 코르크층과 코르크층의 유 무에 따라 유피근 및 거피근으로 구분하여 각 시료에 함유된 작약 주요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 분포를 검토한 결과 작약 식물체 부위별 paeoniflorin, albiflorin 및 phenolic compounds의 각 함량은 뇌두가 뿌리보다 높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능성 물질로 평가되는 gallic acld 및 benzoic acid는 작약의 잎과 줄기에도 상당히 많은 양이 존재하였고, 특히 잎에는 paeoniflorln도 약 2.3%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번식용으로만 이용되어온 작약의 뇌두도 약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을 것이며, 작약의 잎 및 줄기도 gallic acid 및 그 유도체들의 source가 될 수 있으므로 이들 부위의 이용성도 체계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작약근에 함유된 유용 생리활성 성분들은 목부와 껍질부위의 코르크층에 함께 존재하였다 특히 albiflorin, gallic acid, benzoic acid 및 (-)-epicatechin 성분은 코르크층에 많이 존재하였고, 목부에 더 많은 양이 존재하는 성분은 paeoniflorin, (+)-taxifolin $3-O-{\beta}-D-glucopyranoside$ 및 (+)-catechin이었다. 결국 작약근 이용시 코르크층을 벗기면 albiflorin을 포함한 유용성분의 손실이 발생되고, phenol 성 물질의 분비로 외면의 갈변이 유도되므로 상품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작약근의 이용 시 거피를 하지 않는 것이 유용성분의 활용 면에서도 유리하고, 수치작업에 대한 노력이 감소되므로 경제적 측면에서도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arative analysis of paeoniflorin, albiflorin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as bioactive components of peony was performed by Reverse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 using the four- year-old peony which were different plant parts and pretreatment, such as removing or unrem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약의 주 이용 부위인 약근 외에 뇌두, 줄기 및 잎과 같은 작약의 식물체 각 부위에 함유된 paeoniflorin, albiflorin 및 phenolic compounds의 함량 분포를 검토하고, 작약의 관행적 법제 시 박피를 통해 제거되는 코르크층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의 함량을 검토하여 작약 함유 생리활성 성분의 효율적 이용 및 포괄적인 작약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ung MG (1996) Test of components related to quality in Korean cultivated Peony. Paeonia lactJflom Pall. Yeungnam University, Graduate school. Ph. D. Thesis 

  2. Choung MG, Kang KH (1997)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Korean peony (Paeonia lactiflora Pall.) roo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5(4) : 249-254 

  3. Choung MG, Kang KH, Kwack YH (1999) The changes of bioactive conponent concentrations in different aged-peony (Paeonia lactiflom Pall.) roo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3) : 193-199 

  4. Choung MG, Kang KH, An YN (2000)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ony(Paeonia lactiflora Pall.) root. Korean J. Crop Sci. 45(2) : 83-87 

  5. Hatakeyama S, Kawamura M, Takano S (1994) Total synthesis of (-)paeoniflorin. J. Am. Chern. Soc. 116: 4081-4082 

  6. Kang SS, Kim JS, Kim EM, Yun HS (1991) Platelet antiaggregation of paeony root. Korean J. Pharmacogn. 22(4) : 215-218 

  7. Kang SS, Kim JS, Kim EM, Yun HS, Han BH (1993) Phytochemical studies on Paeoniae Radix. Korean J. Pharmacogn. 24(3) : 247-250 

  8. Kobayashi M, Ueda C, Aoki S, Tajima K, Tanaka N, Yamahara J (1990) Anticholinergic action of peony root and its active constituents. Yakugaku Zasshi. 110(12) : 964-968 

  9. Sugaya A, Suzuki T, Sugaya E, Yuyama N, Yasuda K, Tsuda T (1991) Inhibitory effect of paeony root extract on pentylenetetrazol induced EEG power spectrum changes and ex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hanges in rat cerebral cortex.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33 : 159-167 

  10. Takagi K, Harada M (1969) Pharmacological studies on herb paeony root. II. Anti-inflammatory effect, inhibitory effect on gastric juice secretion, preventive effect on stress ulcer, antidiuretic effect of paeoniflorin and combined effects with licorice component FM 100. YakugakuZasshi. 89(7) : 887-892 

  11. Tina H, Tonya H, Kate S, Blanche S, Daphne R, Carole A, Maryann R, Steve G (1995) The herb society's complete medicinal herbal. Dorling Kindersley Limited, London. p : 83 

  12. Yoshizaki M, Tomimori T, Yoshioka S, Namba T (1977) Fundamental studies on the evaluation of the crude drugs. V. Quantitative an analysis of constituents in crude drugs by RodThin-Layer chromatography with FID (2). Determination of paeoniflorin and albiflorin in paeony roots. Yakugaku Zasshi. 97(8) : 916-921 

  13. 高智動 (1994) 高麗人蔘. 韓國人蔘壇草硏究院 

  14. 여생규, 안철우, 이용우, 이태기, 박영호, 김선봉 (1995)녹차, 오룡차 및 흥차 추 출물의 항산화효과. 한국영양식량학회지.24(2) : 299-304 

  15. 윤혜숙, 강삼석, 김문회, 정기화 (1993) Protocatechuic acid 및gallic acid 유도체 들의 항 혈전작용. 藥學會誌. 37(5) : 453-457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