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된장 제조방법의 표준화 연구 1. 문헌에 의한 된장 제조방법의 표준화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1.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Doenjang by Literatur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1 no.2, 2002년, pp.343 - 350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경미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근옥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규복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문헌과 실제 공장에서 채택하고 있는 된장의 제조방법을 조사하여 재래식과 개량식 방법으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표준화하였다. 재래식 된장 제조는 먼저 재래식 메주 제조로 시작되는데 재래식 메주는 자연발효로 대두를 증자하고 분쇄하여 벽돌형의 메주를 성형 한다. 이를 건조시킨 후 볏짚으로 엮어 매달아 2~3개월간 발효시켜 메주를 제조한다. 발효가 끝난 메주는 소금물에 띄우고(meju : salt : water = 18.4 : 14.6 : 67.0) 고추, 숯을 넣어 2~3개월 발효 숙성하고 된장과 간장을 분리한다. 이를 다소 수정하여 콩알메주를 만들어 재래된장을 만들기도 하는데, 증자대두에 Asp. oryzae를 접종하여 기존B. subtilis와 함께 콩알 메주를 제조하여 염수와 함께 6개월 정도 발효 숙성하여 콩알메주 재래된장을 제조 한다. 한편 개량 된장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일본식을 따르는데 재래식과 일본식을 수정한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증자된 소맥분에 Asp. oryzae로 제국을 하고 증자된 대두를 혼합 한다. 이때 전분질원으로 증자된 밀쌀을 첨가하기도 하고 재래식 된장의 맛을 주기 위해 증자대두에 B. subtili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 또는 재래식 메주를 혼합하기도 한다. 혼합된 소맥제국과 증자대두 등에 염수를 첨가하여 45~60일 발효숙성하고 살균($65^{\circ}C$, 30분) 과정을 거치고 제품화한다. 이제는 한국의 재래식과 재래 된장 맛을 포함하여 기능성이 우수한 한국의 된장을 만들기 위해 기존 장류 공장은 재래 된장의 제조 방법을 공정에 사용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일본 미소와는 완전히 다르면서 한국 전통적인 된장 제조법을 개발하여 수출 및 세계화를 이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재래식 된장 공장은 재래식 방법을 좀더 과학화 및 산업화하여 전통을 이어가며 안전성 확보와 일정한 맛과 기능성이 우수한 재래 된장을 제조해야 한다. 현대의 실정 에 맞는 과학적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산업화한다면 재래식으로 인해 걸리는 시간, 노력 에 걸맞은 가격, 품질 등을 유지해 나갈 수 있으리라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doenjang. The preparation methods, kinds and levels of the ingredients were determined by the statistical surveys of literatures obtained from cooking books, scientific papers and doenjang manufacturing factories. The standardi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문헌과 된장공장 탐방 등으로 전통 장류 제조법을 표준화하고, 이를 이용한 된장의 품질 향상, 품질 균일화, 위생적인 제품 생산, 다양한 제품 생산, 편리성, 공장화를 이용한 산업화 등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상품용 된장 제조를 표준화하므로 어떻게 제조방법을 수정할 수 있으며 어떤 방향이 바람직할 지에 대해서 도 살펴보고 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문헌과 된장공장 탐방 등으로 전통 장류 제조법을 표준화하고, 이를 이용한 된장의 품질 향상, 품질 균일화, 위생적인 제품 생산, 다양한 제품 생산, 편리성, 공장화를 이용한 산업화 등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상품용 된장 제조를 표준화하므로 어떻게 제조방법을 수정할 수 있으며 어떤 방향이 바람직할 지에 대해서 도 살펴보고 자 하였다.
  • 그리고 상품용 된장을 제조하는 공장은 기술과 시설, 경쟁력 모두를 갖추고 있지만 한국 된장의 맛과 정통성이 결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조방법을 표준화하고 제조방법을 수정함으로써 한국 고유의 된장 제조방법을 잘 조정하여 전통과 현대과학을 합한 제조방법을 개발하는데 기본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8)

  1. 장지현. 1972. 한국재래장류 제조사-특히 고농서류에 나타난 장류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서울농대). p 80-92. 

  2. Park KY, Moon SH, Baik HS, Cheigh HS. 1990. Antimutaginic effect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 paste) toward aflatoxin. J Korean Soc Food Nutr 19: 156-162. 

  3. Park KY. 1997. Destruction of aflatoxins during the manufacture of doenjang by traditional method and cancer preventive effects of doenjang. J Korean Assoc of Cancer Prev 2: 27-37. 

  4. Choi YH, Choi BT, Lee WH, Rhee SH, Park KY. 2001. Doenjang hexane fraction-induced G1 arrest i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pRB phosphorylation and induction of Cdk inhibitor p21 in human breast carcinoma MCF-7 cells. Oncology Report 8: 1091-1096. 

  5. Crane PS, Rhee SU, Steel DJ. 1970. Experience with 1079 cases of cancer of the stomach seen in Korea from 1962 to 1968. Amer J Surgery 120: 747-751. 

  6. An BJ, Son GM, Choi C. 1986. Changes in protein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5: 152-157. 

  7. Rhee SH, Cheigh HS. 1985.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Nutr 14: 67-71. 

  8. Kim MH, Im SS, Yoo YB, Kim GE, Lee JH.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domestic meju and doenjang 4. sepa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792-798. 

  9. Kim GE, Kim MH, Choi BD, Kim TS, Lee JH. 1992.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meju and doenjang. J Korean Soc Food Nutr 21: 557-565. 

  10. Kim JS, Choi SH, Lee SD, Lee GH, Oh MJ. 1999. Quality changes of sterilized soybean paste during its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69-1075. 

  11. Kwon DJ, Kim YJ, Kim HJ, Hong SS, Kim HK. 1998. Changes of color in doenjang by different browning fact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000-1005. 

  12. Yi SD, Yang JS, Jeong JH, Sung CK, Oh MJ.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oybean past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30-1238. 

  13. Im MH, Choi JD, Chung HC, Choi C, Choi KS. 1998. Optimum soaking condition of raw soybean for meju prepar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664-667. 

  14. Hwang JH. 1997.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of doenjang fermented by B. subtilis SCB-3 isolated from meju, Korean traditional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775-783. 

  15. Lee JS, Cheigh HS. 1997.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isolated crude phenolics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76-382. 

  16. Park JS, Lee MY, Lee TS. 1995.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J Korean Soc Food Nutr 24: 917-924. 

  17. Yang SH, Choi MR, Ji WD, Chung YG, Kim JK. 1994. The quality of doenjang (soybean paste) manufactured with Bacillus brevis. J Korean Soc Food Nutr 23: 980-985. 

  18. Yang SD, Bae MJ, Yoon SH, Choi C. 1983. Studies on change of lipids improvement-meju during the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2: 189-195. 

  19. Lee KH, Kim ND, Yoo JY. 1997. Surve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raditional meju for and of kanjang (Korean soy sa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390-396. 

  20. Lee JH, Kim MH, Im SS. 1991.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1. Lipid oxidation and browning during fermentation of meju and doenjang. J Korean Soc Food Nutr 20: 148-155. 

  21. Park KY, Moon SH, Baik HS, Cheigh HS. 1990. Antimutagenic effect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 paste) toward aflatoxin. J Korean Soc Food Nutr 19: 156-162. 

  22. Choi SY, Cheigh MJ, Lee JJ, Kim HJ, Hong SS, Chung KS, Lee BK. 1999. Growth suppression effect of traditional fermentated soybean paste (doenjang) on the various tumo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458-463. 

  23. Lim SY, Park KY, Rhee SH. 1999. Anticancer effect of doenjang in vitro sulforhodamine B (SRB) Assay. J Korean Soc Food Nutr 28: 240-245. 

  24. Park SK, Seo KI, Choi SH, Moon JS, Lee YH. 2000. Quality assessment of commercial doenjang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11-217. 

  25. Kim GT, Hwang YI, Lim SI, Lee DS. 2000. Carbon dioxide production and quality changes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and hot pepper-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807-813. 

  26. Rhee SH, Cheigh HS. 1985.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Nutr 14: 67-71. 

  27. Yang SH, Choi MR, Kim JK, Chung YG. 1992. Characteristics of the taste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Nutr 21: 443-448. 

  28. Yang SH, Choi MR, Kim JK, Chung YG. 1992. Optimization of the taste components composition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Nutr 21: 449-453. 

  29. Cheigh HS, Park KS, Moon GS, Park KY. 199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soybean paste and its extracts on the lipid oxidation. J Korean Soc Food Nutr 19: 163-167. 

  30. Lee CH. 1976. 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8: 19-32. 

  31. Park JS, Lee MY, Kim KS, Lee TS. 1994.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types of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5-260. 

  32.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33. Lee CW, Hwang ES, Lee SY, Pyun YR. 1990. Rheological properties of doen-jang (Korea fermented soybean paste) suspens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111-115. 

  34. Shin SY, Kim YB, Yu TJ. 1985. Flavour improvement of soybean pastes by the addition of Bacillus licheniformis and Saccharomyces rouxii.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8-14. 

  35. Lee SW, Shin SY, Yu TJ. 1985. Effects of the ethanol contents on the preparation of low salt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336-339. 

  36. Bae MJ, Yoon SH, Choi C. 1983. Studies on changes of lipids improvement-meju during the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5: 370-378. 

  37. Rhee SH, Cheigh HS, Kim CS. 1982. Studies on changes of lipids during soybean koji preparation for doenjang fermentation in model system.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375-381. 

  38. Kim SS. 1978.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quality of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10: 63-72. 

  39. Yoon IS, Kim HO, Youn SE, Lee KS. 1997. Studies on the changes of N-compound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Korean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9: 131-137. 

  40. Kim DH, Kang SW, Kim SH. 1999.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from Rhizopus stolonifer inoculated grain type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757-763. 

  41. Kim DH, Kim SH. 1999.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Mucor and Rhizopus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76-182. 

  42. Lee CH. 1976. The effect of Korean soysauce and soypaste making on soybean protein qual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8: 19-32. 

  43. Lim SI, Kim HK, Yoo JY. 2000.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PCA 20-3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54-160. 

  44. Lim SI. 2000.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ed by Aspergillus wentti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54-160. 

  45. Choi UK, Kim YJ, Ji WD, Son DH, Choi DH, Jeong MS, Chung YG. 1999. The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jang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87-893. 

  46. Kim JS, Yoon S. 1999. Isoflavone contents and $\beta$ -glucosidase activities of soybeans, meju, and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405-1409. 

  47. Kim HL, Lee TS, Noh BS, Park JS. 1998. Characteristics of Samjangs prepared with different doenjangs as a main material.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61. 

  48. Kim SH, Lee HJ. 1985. Characteristics of bitter peptides from a cheese and a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17: 276-282. 

  49. Kwon OJ, Kim JK, Chung YG. 1986. The characteristics of bacteria isolated from ordinary Korean soy sauce and soybean paste. J Korean Agri Chem Soc 29: 422-427. 

  50. Son YD, Choi CU, An BJ, Son GM, Choi C. 1985. Changes in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meju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Agri Chem Soc 28: 226-232. 

  51. Yang SH, Choi MR, Ji WD, Chung YG, Kim JK. 1992. The variation of thiamin and riboflavin in soybean mash “doenjang” during its fermentation. J Food & Nutrition Hanyang Women's College 6: 61-72. 

  52. Kim DH, Kim SH, Choi NS, Bae S, Chun SB. 1998.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hole soybean cereals fermented with Aspergillus strain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6: 551-557. 

  53. Joo HG, Oh GT, Kim DH. Effects of various mixed ratio of meju and its microorganism on doenjang fermentation. Miwon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food & dietary culture. 

  54. Song YS, Kwon TW. 2000.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soybean and soy products. Food Industry and Nutr 5: 36-41. 

  55. Chang YJ. 1999. A strategic approach to commercialize traditional Korean foods. Food Industry and Nutr 4: 35-39. 

  56. Lee HC. 1996. Present situation and prospect of soybean and Jang's (kanjang, doenjang, kochujang, chungkukjang). J Food & Nutrition Hanyang Women's College 10: 95-111. 

  57. Kim MJ, Rhee HS. 1988. The components of free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 soypaste made from native and imporved meju and soypaste products. J. Korea Soc Food Nutr 17: 69-72. 

  58. 장창문. 1989. 재래식 메주 제조법 개선. 식품과 영양 10: 5-8. 

  59. 나순애. 1987. 개량장 담그기. 식품과 영양 8: 26-29 

  60. 장학길. 1985. 농가에서 개량메주를 이용한 간장, 된장, 고추장 담그기. 식품과 영양 6: 12-15. 

  61. 전혜경. 1984. 개량장 담그기의 실제. 식품과 영양 5: 38-40. 

  62. 이서래. 1988. 장류의 특성과 개선점 식품과 영양 9: 27-29. 

  63. 장학길. 1986. 한국 고유식품의 가공, 저장기술의 발달-장류와 김치류. 식품과 영양 7: 23-26. 

  64. Kong KR. 2001. Standardization of kochujang preparation and its effects of cancer preventive and lipid metabolism in rat.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65. Kwon EY. 2000. Standardization of chungkookjang preparation and its cancer preventive effect.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66. 채홍자, 이효지. 1990. 문헌에 기록된 장류의 분석적 고찰. 한국생활과학연구 8: 29-69. 

  67. 전북대학교 과학기술부. 1998. 생물공학적 기법에 의한 전통장류의 제품화 연구. p 282-321. 

  68. 대한민국 특허청. 1993. 주지 관용 기술집 -전통식품-. 1: 6-7, 11-12. 

  69. 국립원주대학 식품과학과. 1999. 장류 제조기술의 일반원칙과 제품. 한국전통식품산업화연구회 제1회 동계기술강좌. 

  70. 문주석, 이영환, 조양희, 박경진, 박석규. 1998. 전통식품의 위생규격 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식품위생연구원 보고서. 

  71. 강인희. 1996.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 31-32. 

  72. 전정원, 한복선. 2001. 1001가지 별미반찬 밑반찬 365일. 주부생활사. 

  73. 한복려, 한복선, 안승춘, 이종님 외 12명. 2001. 찌개와 반찬. 주부생활사. 

  74. 황혜성. 1982. 한국의 요리. 삼생당. p 78. 

  75. http://www.myunginfood.co.kr. 

  76. 한복려, 한복진. 1995. 종가집 시어머니 장 담그는 법. 둥지. p 188-190. 

  77. 서봉순, 윤은숙, 이진순, 김복자, 하순용. 1994. 한국조리. 지구문화사. p 253-255. 

  78. 한정혜. 1991. 한국음식. 정우문화사. p 141. 

  79. 이서래. 1997. 한국의 발효식품. 이화여대 출판부. p 73-78. 

  80. 강인희. 1996. 한국의 맛. 대한교과서주식회사. p 31-32. 

  81. 농촌진흥청. 1994. 한국의 향토음식. 당녹사. p 288. 

  82. 농촌생활과학 편집실. 1996. 전통장류 제조방법(농가사례). 농촌생활과학 17: 58-62. 

  83. 황혜성, 한복려, 한복진. 1991. 한국의 전통음식. 교문사. p 159-161. 

  84. 조미자, 이순옥, 김상순. 1997. 한국 전통식품과 조리. 효일문화사. p 83-86. 

  85. 황혜성. 1986. 한국음식. 민서출판사. p 160-161. 

  86. 윤서석. 1991. 한국의 음식용어. 민음사. 

  87. http://www.kma.go.kr. 

  88. Kim JG, Kim WJ, Kim SK. 1989. Changes in volume of soybeans during hyd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289-2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