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여성의 ′인적자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 Employments

한국인구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v.25 no.1, 2002년, pp.113 - 143  

박수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개인들의 노동공급행위를 설명하는 중요한 이론 중 하나인 '인적자본론'이 여성들의 취업특성을 설명하는 데에 여전히 유효한지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결정과 취업직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가설은 크게 두 가지로서, 첫째는 여성들의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이며, 둘째는 여성들의 인적 자본이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이다. 한국사회 고학력 여성들의 경제활동참여율이 매우 저조하다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여성들이 지닌 인적자본이 여성들의 취업률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점이 이 연구의 주된 가설이다 하지만 일단 취업을 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그들이 갖고 있는 인적자본이 취업직종에서는 상당한 설명력을 지닐 것으로 여겨져 이러한 내용으로 두 번째 가설이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가설에서 설정한 대로 인적자본론의 이론적 예측과 달리, 여성들의 취업결정에 인적자본은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거나 혹은 정반대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장 중요한 인적자본 중의 하나인 '학력'의 효과를 살펴보면, 학력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일률적으로 취업률이 낮아짐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그밖에, 여성들이 지닌 자격증이나 취업 훈련 여부, 또 건강 상태 등과 같은 인적자본 요소도 여성들의 취업결정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직종에는 상당한 정도의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분석결과도 실질적인 내용을 따져보니 그다지 유효한 영향 효과라고 보기 어려웠다 취업직종과 연령 및 학력과의 회귀분석 결과 여성 취업직종의 열악한 상황을 재확인해 볼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사회 여성들의 인적자본은 여성들의 취업 결정 및 취업유형에 의미있는 변수가 되지 못한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Korean women's human capital on their employments.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increase the rate of women's employment. And then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which Korean women's human capital affect the kind of women's jo...

주제어

참고문헌 (29)

  1. 금재호(2001), '노동시장 이중구조와 성차별: 직종분리를 중심으로',제3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발표문. 미간행, p.307 

  2. 김영옥(1999), '여성취업력의 동태적인 변화 분석'. 한국여성개발원 '98 연구보고서 pp.230-22 

  3. 김은경(1996),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권력작용의 효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 논문 

  4. 나탈리 소콜로프(1996), '여성노동시장이론' 이효재 역.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5. 방하남(1996), '여성 노동력의 노동시장 전이과정의 동태적 분석: 미국 젊은 여성들의 경우' ''한국사회학' 30(봄). 93-124 

  6. 양승주(1995), '기혼여성의 노동공급행태분석' ''한국인구학' 18(1), 63-87 

  7. 어수봉(1996), '한국의 여성노동시장', 한국노동연구원 

  8. 우리사회연구학회(1999), '현대사회와 여성 

  9. 이재열(1996), '여성의 생산노동과 재생산노동의 상호연관성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인구학' 19(1) 

  10. 이현송(1996), '가족의 생애주기와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한국사회학' 30(겨울). 759-777 

  11. 장지연(2001), '고학력여성 경제활동의 국제비교'. 한국여성학회 2001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2. 통계청(1998), '경제활동인구연보' 

  13. 한국여성개발원(1997), '여성의 취업실태조사'. 97 연구보고서 

  14. (1999), '1998 여성통계연보' '98 연구보고서 

  15. 한국여성연구소(1999), '새 여성학강의,' 동녘 

  16. Becker, Gary S.(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University Press 

  17. Beechy,Veronica(1978), Women and Production: A critical analysis of some sociological theories of womens work. in Feminism and Materialism,ed. By Annette Kuhn and Ann Marie Wolpe,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18. Bianchi, S. & Spain, D.(1986), American Women in Transition, New York:Russel Sage Foundation 

  19. Bryant,W. Keith(1990), The Economic Organization of the Househol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Chang, Jiyeun(1997), Labor Force Withdrawal and Entry Surrounding FirstChildbirth of Married Women, (Dissertation). Univ. of Wisconsin 

  21. Choi, Moonkyung(1994), Lifetime Occupational Achievement of FemaleWorkers: The Case of Korea (Dissertation). Univ. of Chicago 

  22. Desai, S.. & Waite, L.J.(1991),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after the first bir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Commitment' American Sociologioal Review 56: 551-566 

  23. Drobnic, Sonja, Hans-Peter Blossfeld, Gotz Rohwer(1999), 'Dynamics ofWomen's Employment Patterns over the Family Life Course: A Comparison of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Journal of Marriageand Family 61(1) 

  24. Goldin, Claudia(1990), Understanding the Gender Gap: An Economic Historyof American Wome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5. Lee, Mijeong(1996), Women's Education, Work, and Marriage in Korea:Women's Lives Under Institutional Conflict (Dissertation). UCLA 

  26. Mincer, J.(1962), 'Labor-Force participation of Married Women: A Study of Labor Supply' In H. Lewis(ed.). Aspects of Labor Economics,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Moen, P. (1985), 'Continuities and Discontinuities in Women's Labor ForceActivity' in Life Course Dynamics: Trajectories and Transitions,1968-1980. (ed.) by G. Elder Jr. Ithaca. New York: Cornell UniversityPress 

  28. Rosenfeld, Rachel(1978),'Women's Intergenerational Occupational Achievements' American Sodological Review 43(Feb.); 36-46 

  29. Schultz, T. W.(1974), Economics of the Famil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