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대 예술에 나타난 신체의 표현과 복식의 조형성
The Expression of the Human Body in Modern Arts and the Formative Nature of Costum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0 no.6, 2002년, pp.1 - 19  

권기영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  조현주 (경북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meaning, aesthetic formative nature of the human body which has been not only a main issue and discussion object but also socially, culturally connected with clothing by contemplating it in the respect of the trend of art. Additionally, a work of contemplation about hu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거 농경사회에서 신체는 생산을 위한 도구라는 인식이 강했지만 현대의 신체는 그 자체로 돌보아야 할 대상으로 간주되면서 자신의 신체가 원하는 것을 중시하고 이를 통해 개인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본질을 회복하고자 한다. 이는 그동안 문화적, 이념적으로 지나치게 정신성만을 강조하고 감직; 감정, 신체를 도외시하고 경시한 문화적 편향으로부터 벗어나 신체를 강조함으로써 인간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관점의 도출을 의미한다(성영신, 1997).
  • 형이상파 회화에서 인간 신체는 인공적인 모조 물로 표현되는데, Chirico의 작품<그림 3>「Hector and Andromachej (1917)는 건축적 그리드를 따라 운동 속에서 고정되기를 기다리는 인간의 원형들을 마네킹이라는 인공물로 묘사하고 있다. 그는 모조 물이 지닌 스스로의 생명과 내적 차이를 인정함으로써 기계에 활동적 생명 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세기 현대 예술에서 보여지는 신체의 의미와 그에 내재된 표현양상을 통해 신체가지 니는 위상을 살피고 이것이 복식디자인의 측면에서 여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모습을 분석함으로써 미래의 신체와 복식의 모습을 조망하고 인간 신체의 미 적조형성을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세기 이후 현대 미술을 입체파, 미래주의, 형이상회화, 다다이즘, 초현실주의 팝아트, 해프닝, 페미니즘, 신체 미술, 테크놀러지 미술로 구분하여 이들 작품에서 보여지는 신체 표현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분절.
  • 본 연구는 현대 예술에서 신체의 의미와 표현된 양상을 통해 신체가 지니는 위상을 살피고 이것이 복식디자인의 측면에서 사실적 혹은 왜곡변형된 형태로 나타나는 모습을 분석함으로써 인간 신체의미 적 조형적 가치를 밝히는데 목적을 둔다. 여기서 미적 조형적 가치란, 복식디자인으로 표현될 때 신체 자체를 표현대상으로 하여 디자인을 이루는 요소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치로 정의하였다.
  • 이들 양상들을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 지 서양 복식사를 통해 고찰하고, 이후 20세기에 들 어와 신체에 대한 변화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등 장한 현대미술 양식에 근거하여 복식디자인에서 신체의 조형적 가치를 살린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고도의 기술 문명 아래에서 인간의 신체와 복식이 어떠한 관계를 갖고 발전해 나갈 것이며 또한 미래의 인간 모습이 어떠할지를 예측하였다. 신체를 디자인의 주체적인 표현대상으로 삼은 것은 20세기 이후에 와서 신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그에 관한 지식의 확대가 이루어지면서 가능했던 것으로 과거 복식에서는 그 시대의 예술과 사상 등 사회문화적 배경의 영향을 받아 주로 신분 사회에 기반한 사회구조 속에서 성별 또는 계급에 따른 역할에 근거하여 복식을 구성한 것이 대부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민수(1999).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서울: 솔 출판사 

  2. 김성호(1997). 신체 그 테마로서의 현대미술. 미술세계, 4 

  3. 김윤희(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은희(1997). 사실적. 추상적인 인체의 움직임과 복식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Roy Ascott(2000). 생물학적 지평을 넘어선 미디어아트. 월간미술, 1 

  6. Maggie Hum. 심정순. 엄경숙 옮김(1995). 페미니즘 이론사전. 도서출판 삼신각 

  7. 미쉘 시누이예. 임진수 옮김(1995). 다다. 열화당 

  8. 박용숙(1991). 현대 미술의 반성적 이해. 집문당 

  9. 서순주(1992). 인체를 보는 오늘의 시각. 월간미술, 10 

  10. 성영신(1997). 소비와 광고 속의 신체 이미지: 아름다움의 담론. 사회비평, 17 

  11. 심부자(1999). 의복과 환경. 교문사 

  12. Edward Lucie-Smith, 전경희 역(1995) 팝아트. 미진사 

  13. Edward Lucie-Smith, 전경희 역 (1995 ). 해프닝. 열화당 

  14. Yalom, Manlyn 지음, 윤길순 옮김(1999). 유방의 역사. 자작나무 

  15. 유재길(1996). 초현실주의. 월간미술 

  16. 윤지선(2000). 현대회화에 부각되어진 Text로서의 신체와 성적 Identity에 대한 연구. 한남대 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17. 이영환(1983). 서앙미술사. 박영사 

  18. 이은영(1989). 복식에 있어서의 예술성의 개념, 숙명여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주헌(1998). 미술로 보는 20세기. 학고재 

  20. 이해영 . 안현숙 . 김선희 공저(2000). 21세기 패션정보. 일진사 

  21. 임애진(1990). 팝 아트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2. 장문호(1975). 복식미학.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정삼호(1996). 현대패션 모드. 교문사 

  24. 정흥숙(1992). 복식문화사. 교문사 

  25. 케네드 클라크 . 이재호 역(1988). 누드의 미술사. 서울: 열화당 

  26. Frank Popper, 박숙영 옮김(1999). 전자시대의 예술. 도서출판 예경 

  27. Whitney Chadwick. 장희숙 옮김(1997). 여권신장파. 열화당 

  28. Anthony Synnott(1960). The Body Social-symbolism, self and society, Routledge 

  29. Colin Mcdowell(1992). Dressed to Kill: sex pawer andclothes, London : Hutchinson 

  30. Craik, J. (1994). The Face of Fashion, Rouhledge, London and NewYork 

  31. DeLong, M. (1987). The Way We Look, Iowa State University Press 

  32. Douty, I., and Brannon, Evelyn L. (1984). 'Figure Attractiveness: Male and Female Preferences for Female Figure',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December, 13(2) 

  33. FASHION Images de Mode, No.2 

  34. Giovanni Lista (1985). LeFuturisme, Femand Hazan 

  35. Gottdiener, M. (v), Postmodern semiotics, USA: Blackwell 

  36. Leach, E. (1976). Culture and Communic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Marilyn J. Hom. Lois M. Gurel (1968). The Second Skin, Houghton 

  38. Martin, R. (1996). Fashion and Surrealism, Thames and Hudson 

  39. Norbert Lynton (1979). The Story of Modem Art, Phaidon Press Ltd 

  40. Roach, M. and Eicher, J. (1973). The Visible Self : Perspectives on Dress, New Jersey: PrenticeHall, Inc 

  41. Saunders, Gill (1989). The Nude, Cambridge: Harper & Row Publishers 

  42. Visions of the body: Fashion or invisible corset-身體の夢, 京都服飾文化硏究財團, 1999 

  43. Walker, A. (1836). Beauty: Illustrated Chiefly by an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Beauty in Women, (London: E. Wilson) 

  44. Collezioni N. 55 

  45. Men's Collections, Vol. 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