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청소년을 위한 자립준비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적응 및 건강가정형성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ffect of Readiness Education for Independent Living of Adolescents in Residental care - Centering Around Social Adaptation and healthy Family Formation -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0 no.10, 2002년, pp.33 - 48  

강복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guides them to the needs of leave preparation and material methods for self- examination and social adaptation so that they may live their remaining time in residental care better, and that execute preliminary training to improve their qualities for healthy family lives in ...

주제어

참고문헌 (36)

  1. 강복정(1997). 시설청소년의 가족상에 관한 사례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복정. 이정덕(2000a). 시설청소년을 위한 가족생활 교육의 필요성 연구 건강가족적 관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한국가족관계학회, 5(1), 153-182 

  3. 강복정, 이정덕(2000b). 시설청소년을 위한 가족생활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논문집. 30, 541-568 

  4. 김동위(1996). 성인교육학. 서울: 교육과학사 

  5. 남융희(1994). 육아시설 퇴소연장아동의 자립에 있어서 자립생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아청(1996).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 개발에 관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5(1),140-162 

  7. 보건복지부(2000). 보건복지부 통계연보. 46 

  8. 서병숙(1994). 건전 가정 육성을 위한 실천적 과제-가정의 기능적 측면에서의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15-287 

  9. 송말희(1998). 중년기주부대상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신혜령(1993). 시설아동의 동일시 대상과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육아시설의 청소년기 아동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논문집, 16. 207-243 

  11. 어은주(1996) . 한국도시 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유영주(1991). 건강가정. 건전 가정육성을 위한 가정복지 프로그램.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45-64 

  13. 윤진(1983). 건강한 가족관계를 위한 심리학적 접근-부부와 자녀 및 노부모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문과학. 연세대 

  14. 이시연(1995).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랩을 위한 기초연구 자녀를 둔중년기 부인의 욕구를 중심으로- 서울여자대 석사학위논문 

  15. 이혜숙(1992). 도시 중년주부들의 위기감과 학습욕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전석균(1994).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 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정지웅, 김지자(1986). 사회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 출판부 

  18. 차갑부(1995). 성인교육방법론. 서울. 양서원 

  19. 채서일(1996). 사회과학조사방법론. 학현사 

  20. 한국청소년연구원(1991). 육아시설퇴소청소년 지원 방안 연구-당사자의 의식과 욕구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원. 겨울 

  21. Banhill. L.R. (1979). Healthy family system. Family Coordinator, 28. 94-100 

  22. Bloom, B.L. (1985). Factor analysis of self-report measures of family functioning. Family Process, 24, 225-239 

  23. Bowlby, J. (1965). Child care and the growth of love. 2nd de: Middlesex, England: Penguin Books 

  24. Couillard, G.C (1990). Differences in marital adjustment among couples with similar and dissimilar levels of emotional health in their family-of-origi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righam Young University 

  25. Curran, D.R. (1983), Traits of a healthy family. NY:Ballentine Books 

  26. Fine, M (1988).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on family of origin to levels of state and trait anxiety. Family Therapy, 15 

  27. Hazan, C. and Shaver, P. (1987). Romantic love conceptuallized as an attachment process. Annals of Child Development 

  28. Hennon,C. B. &Arcus, M. E. (1993). life-span family life eucation. Family relations.: Challenges for the future. ed. by Brubaker, T.H.SAGE Publications 

  29. Meeh, Edmund, V. (1994). Foster youth in transition: Research perspectives on preparation for independentliving. Childwelfare. Vol. LXXIll 

  30. Riscks, M. (1985). The social transmission of parental behavior: Attachment across generations. Growing Points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eds. I.Bretherton and E. Water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Serial No. 209 

  31. Olson. D & DeFrain. J. (1994).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Mayfield publishing Company 

  32. Otto, H.A. (1962). What is strong family? Marriage and family Living, 24 

  33. Small, S.A. & Eastman, G. (1991). Rearing adolescents in contemporary society: A conceptu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responsibilities and needs of parents. Family Relations, 40, 455-462 

  34. Stinnett, N. (1979), Strengthening families, Family Perspective, 13 

  35. Strauss, A.,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CA: Sage 

  36. Umberson, D. (1989). Parenting and well-bing. J. of Family Issues, 10(4), 427-43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