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돌나물과의 화분분류학적 연구
A Palynotaxonomic Study of the Korean Crassulaceae 원문보기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v.32 no.4, 2002년, pp.345 - 360  

신진환 (경남대학교 생물학과) ,  유영기 (경남대학교 생물학과) ,  박기룡 (경남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산 돌나물과 식물 4개 속 22종 23개 표본의 화분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발아구연의 유무, 과립상 돌기의 유무는 속간의 유연 관계를, 유선상 돌기의 모양은 Sedum속내 분류군의 한계를 설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한국산 돌나물과의 화분립 모양은 소립-중립이고, 세잎꿩의비름이 가장 작고 섬꿩의비름이 가장 컸으며, 화분의 극면상립은 원형이며, 적도면상은 약장구형-장구형, 발아구는 3 공구형이었다. 표면 무늬는 유선상이었고, Hylotelephium, Meterostachys, Orostachys는 발아구연과 표면에 과립상 돌기를 가진 분류군으로 기존의 분자적, 형태학적 결과와 마찬가지로 위 분류 군들이 매우 유연 관계가 깊은 군임을 지지한다. 유집분석 결과, Sedum속은 유선상 돌기 상면이 둥근 군과 평평한 군으로 나누어지고, 유선상 돌기 상면이 둥근 군 중에서 표면에 과립상 돌기를 가진 군인 섬기린초, 애기기린초와 과립상 돌기를 가지지 않은 군으로 뚜렷하게 나누어진다. 또한 Sedum속에 속하는 종들이 여러개의 유집으로 흩어져 있어 Sedum속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하고 있다. 종간의 유연 관계에 있어서도 Aizoon아속 내 기린초와 애기기린초는 유일하게 과립상 돌기가 표면에 존재하고 있어 이들이 매우 가까운 유연 관계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Sedum아속에 포함시켰던 S. polytrichoides 가 Meterostachys, Hylotelephium, Orostachys속 종과 유집 되고 있어 본 종의 분류학적 위치가 재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동진에서 채집된 O. malacophyllus의 경우, 현재까지 한국에 보고된 동일종의 집단과 형태적으로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화분 형태적으로도 뚜렷한 차이가 있어 두 집단이 서로 다른 종일 가능성이 있다 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llen morphology of four genera, 22 species of Korean Crassulaceae has been examined with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presence/absence of the aperture margo and granules was useful characters to clarify the generic boundaries, and the shapes of the streate were significant to deline...

주제어

참고문헌 (23)

  1. Berger A: Crassulaceae. In: Engler A & Prantl K, eds" Die Natiirlichen Pflanzenfamilien, 2nd ed" 18a: 352 483, W, Engelmann, Leipzig, 1930 

  2. Calie PJ: Systematic studies in Sedum section Ternata (Crassulaceae), Brittonia33 :498 507,1981 

  3. Choog YH, Kim JH: Taxonomic study of Sedum section Aizoon in Korea, Kor J Plant Tax 19: 189 227,1989, (Korem) 

  4. Eggli U, Hart H, Nyffeler R: Toward a consensus classification the CrassulaeeaB, In: Hart H, Eggli U, eds,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CrassulaeeaB, pp, 173 192, Baekhuys Publishers, Leiden, 1995 

  5. Erdtman G: Pollen Morphology and Plant Taxonomy, Hafner, New York, 1966, 

  6. Ham RCHJvan: Phylogenetic relation of Crassulaceae inferred from chloroplast DNA variation, In: Hart H & Eggli U, eds,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CrassulaeeaB, pp, 16 29, Baekhuys Publishers, Leiden, 1995 

  7. Hart H: The pollen morphology of 24 European species of the genus Sedum L, Pollen et Spores 16: 373 387,1975 

  8. Hart H: Infrafamilial and 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Crassulaceae, In: Hart H, Eggli U, eds,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CrassulaceaB, pp, 159 171, Backhuys Publishers, Leiden, 1995 

  9. Hart H, Eggli U: Introduction: Evolution ofCrassulaeeaB systematics, In: Hart H, Eggli U, eds,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CrassulaeeaB, pp, 7 15, Baekhuys Publishers, Leiden, 1995 

  10. Kim I: Chromosome studies of Korean Orostachys species (Crassulaeeae), Kor J Plant Tax 26 : 183 190, 1996 

  11. Kim I, Park J, Seo B, Song S: Foliar structute and mesophyll succulence in three Korean Orostachys species and its phylogenetic implications, Kor J Plant Tax 25: 209 220,1995 

  12. Kim JH: Pollen Morphology of genus Sedum, Kor J Plant Bio137: 245 252, 1994 

  13. Lee S: Phylogenetic significance of pollen morphology, Kor J Plant Biol 8 : 58 59, 1978 

  14. Lee Y: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1996 

  15. Nakai T: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Tokyo 31:52 54,1952 

  16. Moran R: Sedum spectabile in South Korea, Caet Succ J (US) 36: 140 144,1964 

  17. Mort EM, Soltis DE, Soltis PS, Francisco OrtegaJ, Santos Guerra A: 2001.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evolution of Crassulaceae inferred from matK sequence data, Amer J Bot 88 : 76 91,2001 

  18. Ohba H: Generic and inf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Old World SedoideaB (CrassulaeeaB), J Fae Sci Univ Tokyo III 12:139 198,1978, 

  19. Ohba H: 1995, Systematic problems of Asian SedoideaB, In : Hart H, Eggli U, eds, Evolution and Systematics of the CrassulaeeaB, pp, 153 158, Baekhuys Publishers, Leiden, 1995 

  20. Poot W, Blackmore S, Nilsson S, Le Thomas A: Glossary of Pollen and Spore Tenninology, LPP Contributions Series, 1, LPP FOoodation, Utrecht, 1994 

  21. Radulescu 0: Recherchespalynologiques sur les especes spontanees de Crassulaceae de la R, P, Roumaine, Acta Bot Horti Bucurest 1961 62:423 432,1963 

  22. Soltis DE, KuzoffRK, Conti E, Gornall R, Soltis PS: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SaxifragaceaB sensu lato: a comparison of topologies based on 18S rONA and rbcL sequences, Amer J Bot 84: 504 522, 1997 

  23. Uhl CH, Moran R: Chromosomes of Crassulaceae from Japan and South Korea, Cytologia 37: 59 81,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