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유행을 통하여 평가한 홍역 예방접종의 효과

Evaluation of Measles Vaccine Effectiveness in a Community Outbreak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5 no.1, 2002년, pp.33 - 40  

박병찬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박수경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해관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From an analysis of a community outbreak of measles in Youngju, Gyeongbuk, in March 2000, the authors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les vaccination and its determinants to Provide an epidemiologic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a vaccination policy. Methods : Information was c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접종률이 높다하더라도 실제 백신의 효능 발현에는 다른 요인들이 작용 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홍역이 크게 유행한 일개 시 지역을 대상으로 연령과 접종 여부에 따른 흥역발병률을 즉정하여 예방접종의 효과를 연령별로 평가하고 예방접종의 횟수, 접종 지 역, 접종 기관 등 예방접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을 평가하며, 이를 바탕으로 유행의 원인을 구명하여 향후 예방접종 정책 수립에 있어 중요한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 통계적 검정은 Chi-square test와 Chi-square for trend tesl를 사용하였다. 또한 cold chain failure 등이 예방접종효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예방접종 시기에 거주하였던 지역과 접종한 의료기관의 종류 등에 따른 발생률의 차이를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발생 여부를 종속변수로, 현재 연령, 접종한 지역, 접종 기관, 횟수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 이 연구의 주요한 가설 중의 하나로 접종 실패에 cold chain failure가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검정을 하고자 하였다. 문서보관기간 5년 규정 때문에 보건소, 식약청을 비롯하여 제약회사에 이르기까지 그 어느 기관도 10여 년 전의 접종 약제가 무엇인지, 보관 및 운송은 어떻게 하였는지에 대하여 전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 예방접종은 중앙집중적으로 분배되는 만큼 도청소재지에서 멀리 떨어진 곳일 수록 아이스박스 속에 들어 있는 약제들의 냉장상태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였을 것이라는 증언을 지역사회 보건관계자와의 면담을 통하여 들었다. 이에 따라 접종시 거주지역이 cold chain failure를 검정하는 목적으로 사용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영주는 구석진 곳임에도 불구하고 외지와의 인구이동이 활발하여 약 반 수 정도의 학생이 외지에서 왔다는 점이 이러한 형태의 가설을 검정하는데 매우 좋은 조건이었다.
  • 저자들은 일반적으로 홍역백신의 효능이 90% 이상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백신효능이 매우 낮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 이유로 몇 가지 가능성을 추측해 보았다. 첫째, 백신자체가 처음 제조, 생산과정에서부터 문제가 있어 홍역의 전파를 막기에는 효과적인 항체 형성이 부족한 제품일 가능성이다.
  • 여기서 우리는 홍역이 전국적으로 유행을 하고는 있지만 특히 영주지역에서 유행이 폭발적으로 발생한 것에 대해둘째, 셋째 가능성이 의심되어 접종지역에 따른 차이와 접종기관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라 추측하고 조사하였으나 그 차이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접종지역에 따른 차이를 예상한 이유는 백신이 운반되는 과정에서의 잘못을 확인하고자 함이었고, 접종기관에 따른 차이는 백신 보관 및 접종 방법의 잘못을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영주지역의 경우 유동인구가 많아서 접종당시의 거주지역이 상당히 다양하여 이러한 연구를 하기에 적합한 곳이었다.

가설 설정

  • 홍역 백신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충분한 양을 접종하지 않았거나, 한 번 포장을 뜯은 제품을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였을 가능성 등이다. 만일 첫째 가능성에 의한 것이라면 전국적으로 유행이 발생할 것이고 둘째, 셋째 가능성이라면 지역적인 발생이 두드러질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홍역이 전국적으로 유행을 하고는 있지만 특히 영주지역에서 유행이 폭발적으로 발생한 것에 대해둘째, 셋째 가능성이 의심되어 접종지역에 따른 차이와 접종기관에 따른 차이가 있을 것이라 추측하고 조사하였으나 그 차이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홍창의. 소아과학 제6판,대한 교과서 주식회사,서울,1997 pp. 408-10 

  2.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CDMR. Apr 2001; 12(4): 13-17 (Korean) 

  3. 중앙역학조사반. 영주시 홍역 유행 역학조사최종보고서,2000 

  4. WHO. Guidelines for Epidemic Prepare-dness and Response to Measles Outbre-aks, Geneva, Switzerland, 1999 

  5. Krugman RD, Meye BC, Enterline JC, Parkman RD, Witte JJ, Meyer HM. Im-potency of livevirus vaccine as a result of improper handling in clinical practice. J Pediatr 1974; 85: 512-514 

  6. Garenne M, Leroy O, Beau JP, Sene I. Efficacy of measles vaccine after contro-lling for exposure. Am I Epidemiol 1993; 138: 182-195 

  7. Shin YK, Yoon JK, Choung JT, Tockgo Yc. Changes of measles specific IgG aft-eractive immunization of measles in Korea children. Korean J Pediatr 1996; 39(6): 788-796 (Korean) 

  8. Choi SJ, Koh YJ, Sohn YM, Lee HJ, Oh SH. The effect of measles vaccination before turning 1 year-old on the measles antibody response to immunization with MMR. Korean J Pediatr 1998; 41(7):909-916 (Korean) 

  9. Park SK, Kim JH, Lee JY, Na BK, Kim WJ, Cheong HK. Comparative epidem-iologic survey of measles in two primaryschools. Korean J Prev Med 2001; 34(2): 131-140 (Korean) 

  10. Kenrad EN, Carolyn JW, Meil MH. Inefectious Disease Epidemiology,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Maryland,2001 

  11. Edees S, Pullan CR, Hull D. A random-ized single blind trial of a combined mu-mps measles rubella vaccine to evaluate serological response and reac-tion in the UK population. Public Heath 1991; 105:90-97 

  12. King GE, Markowitz LE, Patriarca PA, Dales LG. Clinical efficacy of measles vaccine during the 1990 measles epide-mic. Pediatr Infect Dis J 1991; 10: 883-888 

  13. Garenne M, Leroy O, Beau JP, Sene I. Efficacy of measles vaccines after con-trolling for exposure. Am I Epidemiol 1993; 138: 182-195 

  14.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CDMR Feb 2001; 12(2): 13-16 (Korean) 

  15. Kim SK, Choi. JW, Son BK, Park SN, Chung CY. Epidemiology and vaccine efficacy of measles during the 1993 measles epidemic. Korean I Pediatr 1995; 38(6): 778-785 (Korean) 

  16. Cutts FT, Markowitz LE: Successes and failure in measles control. J Infect Dis 1994; 170(Suppl 1):S32-41 

  17. 대한소아과학회 감염위원회. 예방접종지침. 제4판 서울 : 대한 소아과학회,1997 pp.71-91 

  18. Choi BY. Epidemiology of measles, mu-mps, rubella. Korean J Pediatr Infect Dis 1997; 4: 14-27 (Korean) 

  19. Yi IK, Choi JW, Kim SK, Son BK, Kim JG. Epidemiologic study of measles out-break in school-aged children in East KyongGi-Do area. Korean J Pediatr 1996; 39(1): 63-71 (Korean) 

  20. Wyll SA, White JJ. Measles in previo-usly vaccinated children. An epidemiolo-gical study. JAMA 1971; 216: 1306-1310 

  21. Wassilak SCF, Orenstein WA, Strickland PL, Butler CA, Bart KJ. Continuing measles transmission in students despite a school-based outbreak control program. Am J Epidemiol 1985; 122: 208-217 

  22. Shasby DM, Shope TC, Downs H, Herr-man HL, Polkwski J. Epidemic measles in a highly vaccinated population. N Engl I Med 1977; 296: 585-589 

  23. Reyes MA, Vorrero MF, Roa J, Bergon-zili G, Saravia NG. Measles vaccine fail-ure after documented seroconversion. Pediatr Infect Dis J 1987; 6: 848-851 

  24. CDC. Classification of measles cases and categorization of measles elimination programs. CDC MMRW Jan 07, 1983; 31(52): 707-711 

  25. 전국 홍역 변역도 조사. 국립보건원, Mar2001 

  26. Orenstein WA, Bernier RH, Dondero TJ, Hinman AR, MARK JS, Bart KJ, Sirotkin B. Field evaluation of vaccine efficacy. Bull WHO 1985; 63(6): 1055-1068 

  27. Comstock GW. Evaluating vaccination effectiveness and vaccine efficacy by means of case-control studies. Epidemiol Rev 1994; 16(1): 77-89 

  28. Smith PG, Rodrigues LC, Fine PEM. Assessment of the protective efficacy of vaccines against common diseases using case-control and cohort studies. Int J Epidemiol 1984; 13(1): 87-93 

  29. Hiton CW, Peter A, Badara S, Henrick J, John B, Francois S. Effect of subclinical infection on maintaining immunity against measles in vaccinated children in West Africa. Lancet, 1999; 353: 98-1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