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업조건이 출산결과에 미치는 영향: 전향적 코호트연구
Maternal Working Conditions on Adverse Pregnancy Outcom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원문보기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5 no.3, 2002년, pp.197 - 204  

김지용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진주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  고경심 (메이산부인과) ,  조정진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s in Korea. Methods : We obtained data on health history, lifestyle, housework and Working conditions, such as shift work, hours standing, working time, job demand, lifting at work and at home, betwee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신한 여성에서 물리적 작업요인 중 장시간 서 있는 노동, 노동시간,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이나 근무 형태가 임신과 출산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강노동자 효과 등의 선택편견이나 기억편견을 배제하기 위하여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 국내에서 임신 출산과 작업환경에 대한 연구는 Park 등 [5]의 후향적 연구가 유일한데 여기서는 육체노동 유무, 교대근무, 서 있는 시간 등의 작업요인이 저체중아 출산에 유의한 영향이 없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임신한 여성에서 물리적 작업요인 중 장시간 서 있는 노동, 노동시간, 무거운 물건 들기 등이나 근무 형태가 임신과 출산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건강노동자 효과 등의 선택편견이나 기억편견을 배제하기 위하여 전향적 코호트 연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신적 스트레스一중 업무요구도와 임신 출산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스트레스와 관련된 외국 논문은 Gabbe 등 [12]이 정신적 스트레스와 저체중아 관련에 대한 연구를 문헌 고찰한 논문에 잘 정리되어있는데 Willam- son 등 [16]은 513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임신 6-9개월간 증가된 생활의 스트레스와 임신의 건강영향이 나타나는데 특히 임신 20-34주 기간에 스트레스를 받은 여성은 신생아 치료가 필요한 태아, 저체중아, Apcar score가 7 이하인 아이를 낮은 경험 이 있다고 보고되 었다.

가설 설정

  • 넷째 체질적 요인에 대한 분석이 미비한 점 이다. 모체의 신장과 체중증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없었다는 점은 본연구의 한계로 여겨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노동부,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보고서, 1980, 1998 

  2. ILO, 'Pregnant woman at work' Annex 4. Available from http://www.ilo.org/ public/english/protection/safework/cis/products/safetytm/toxann4.htm 

  3. Ellen L. Mozurkewich, Barbara Luke, Michal Avni and Fredric M. Wolf, Working Conditions and Adverse Pregnancy Outcome: A Meta-Analysis. Obstert Gynecol 2000; 95(4):623-635 

  4.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Report 9 of the Council on Scientific Affair. Effects of Work on Pregnancy. 1999. Available from: URL: http://www.ama-assn. org/meetings/public/annuaI99/reports/csa/rtf/csa9.rtf 

  5. Park HC, Park J, Lee YJ, Moon K.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risk factors and low birth weight. Korean J Prev Med 1991; 24(3): 356-362 (Korean) 

  6. 대한산부인과학회. 산과학 제 3 판. 서울, 1997.p.1104-1109 

  7. Romero R, Rolansky P, Oyarzun F, Wan M. Emamian M, Novitsky n. Gould MI, Hobbins Je. Labor and infection, 2. Bacterial endotoxin in anmiotic fluid and its relationship to the onset of preterm labor. Am J Obstet Gynecol 1988; 158(5): 1044-1049 

  8. Yoon BH, Young SH, Jun JK, Park KH, Kim CH, Romero R. Maternal blood C-reactive protein, white blood cell count, and temperature in preterm labor: A comparison with amniotic fluid white blood cell count. Obstet Gynecol 1998; 87(2): 231-237 

  9. Lettieri L, Vintzileos AM, Rodis JF, Albini SM, Salafia CM. Does 'idio-pathic' preterm labor resulting in preterm birth exist? Am J Obstet Gynecol 1993; 168(5): 1480-1485 

  10. Naeye RL, Peters EC. Working during pregnancy: effects on the fetus. Pediatrics 1982;69(6): 724-727 

  11. Isabel Fortier, Sylvie Marcoux, Jacques Brisson. Maternal Work During Pregnancy and the Risk of Delivering a small-for-gestational-age or Preterm Infant.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5; 21(4): 412-418 

  12. Stevev G. Gabble, L.Paige Turner. Reproductive Hazards of the American Lifestyle: Work During Pregnancy. Am J Obstet Gynecol 1997; 176(4):826-832 

  13. Hatch M, Ji BT, Shu XO, Susser M. Do standing, lifting, climbing, or long hours of work during pregnancy have an effect on fetal growth? Epidemiology 1997; 8(5): 530-536 

  14. Luke B, Mamelle N, Keith L, Munoz F, Minogue J, Papiernik E, Johnson TR. The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factors and preterm birth: a United States nurses' study. Research Committee of the Association of Women's Health, Obstetric, and Neonatal Nurses. Am J Obstet Gynecol 1995; 173:849-862 

  15. Tuula Nurminen. Shfit Work and Repro-ductive Health.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8; 24(3): 28-34 

  16. Williamson HA Jr, LeFevre M, Hector M Jr. Association between life stress and serious perinatal complications. J Fam Pract 1989; 29(5): 489-494 

  17. Nuckolls KB, Kaplan BH, Cassel J. Psychosocial assets, life crisis and the prognosis of pregnancy. Am J Epidemiol 1972; 95(5): 431-441 

  18. Wadhwa PD, Sandman CA, Porto M, Dunkel-Schetter C, Garite n. The association between prenatal stress and infant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at birth: a prospective investigation. Am J Obstet Gynecol 1993; 169(4):858-865 

  19. Homer CJ, James SA, Siegel E. Work-related psychosocial stress and risk of preterm, low birthweight delivery. Am J Public Health 1990; 80(2): 173-1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