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적 소음노출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코호트연구
Cohort Study for the Effect of Chronic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among Male Workers 원문보기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5 no.3, 2002년, pp.205 - 213  

차태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김장락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강위창 (대전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양승림 (대한항공 산업보건센터) ,  이충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환경의학교실) ,  유철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환경의학교실) ,  이지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산업.환경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기간의 소음노출에 의한 혈압상승 또는 고혈압의 발생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다양하고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혈압에 대한 소음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 일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사 노출군의 코호트를 구성하고 9년간의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소음노출수준별로 혈압의 연도별 변화경향을 파악하고,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혈압의 변화에 대해 소음노출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부산지역의 일개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530명의 남자 근로자를 1991년부터 1999년까지 혈압을 9년간 매년 계속 추적조사 하였으며, 조사 대상자들을 근무여건과 노출되는 소음수준(noise level category, 이하 NLC로 약함)에 따라 NLC-I (사무실 근로자, 60dB(A) 미만으로 노출, 155명), NLC-II(현장 기술지원자 및 검사원, 소음에 비정기적으로 노출, 75명), NLC-III (현장근로자, 85 dB(A)이하로 노출, 귀마개 또는 귀덮개를 착용, 167명), NLC-IV (현장근로자, 85 dB(A) 초과 노출, 귀마개와 귀덮개를 동시에 착용, 133명) 의 4군으로 구분하였다. 추적기간동안 소음수준별 혈압은 분산 분석을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혼합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추적기간동안(1992-1999년)의 보정된 통합평균혈압을 구하고 소음노출수준별로 비교하였다. 고려된 혼란변수는 기준연도(1991년)의 연령, 흡연여부, 음주량, 운동, 고혈압 가족력,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과 체질량지수의 변화였다. 기준연도의 혈압과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각 연도별 혈압을 비교한 결과 수축기혈압은 9년째에서, 확장기 혈압은 2년째에서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조군의 평균 혈압이 전반적으로 증가되었다. 추적기간동안 혼란변수를 보정한 통합수축기 혈압은 대조군인 NLC-I과의 차이가 NLC-II는 1.7 mmHg, NLC-III는 2.0 mmHg, NLC-IV는 3.8 mmHg이었고, NLC-IV의 경우 그 차이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였다. 확장기혈압의 경우에는 소음노출수준별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남성근로자에서 장기간의 소음노출은 혈압의 상승에 독립적인 영향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Whether exposure to chronic noise induces an increase in blood pressure, 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has not been established. A cohort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hronic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Methods : 530 males working at a metal manufacturing 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추적기간 동안 관측된 전체 혈압수치들을 한 분석모형으로 동시에 분석함으로써 소음노출 수준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하고자 하였다. 한편 이를 올바로 수행하기 .
  • 본 연구는 남성근로자에서 장기간의 소음노출은 혈압의 상승에 독립적인 영 향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9년간의 추적조사를 통해 소음과 혈압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단면조사에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면 소음 노출과 혈압의 관계는 최소한 20년이 필요하고 확실한 관련성을 보이려면 25년 이상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바 [6] 와같이 보다 더 긴 연구기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이에 연구자는 혈압에 대한 소음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 기 위해서 일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사 노출군의 코호트를 구성하고 9년간의 추 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은 자료 를 이용하여 소음노출수준별로 혈압의 연도별 변화경향을 파악하고,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혈압의 변화에 대해 소음노출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자 하였다
  •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소음노출수준별로 혈압의 연도별 변화경향을 파악하고, 일반적으로 알려진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혈압의 변화에 대해 만성적인 소음 노출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 장기간의 소음노출에 의한 혈압상승 또는 고혈압의 발생에 대해서는 많은 연 구에도 불구하고 결과가 다양하고 논란 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혈압에 대한 소음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평가하 기 위해서 일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유사 노출군의 코호트를 구성하고 9년간의 추 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여기서 얻은 자료 를 이용하여 소음노출수준별로 혈압의 연도별 변화경향을 파악하고,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혈압의 변화에 대해 소음노출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 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Lercher P, Holtnagl J, Kotler WW. Work noise annoyance and blood pressure : combined effects with stressful working condition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93; 65(1): 23-28 

  2. Kim CB, Koh SB, Kim JY, Cha BS, Choi HR, Lee JT, Nam CM, Lee SY, Wang SJ, Park KH, Kim DY. A metaanalysis on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noise exposure and blood pressure. Korean J Prev Med 2000; 33(3): 343-348 (Korean) 

  3. Tomei F, Papaleo B, Baccolo TP, Persechino B, Spano G, Rosati MV. Noise and gastric secretion. Am J Ind Med 1994; 26: 367-372 

  4. Srivastava AK, Gupta BN, Bihari V, Mathur N, Kumar P, Sharma RP, Bhargava SK. A study of extra-auditory effects of noise. Biomed Environ Sci 1994;7:35-40 

  5. Talbott EO, Findlay RC, Kuller HL, Lenkner LA, Matthews KA, Day RD, Ishii EK. Noise-induced hearing loss: a possible marker for high blood pressure in older noise-exposed populations. J Occup Med 1990; 32: 690-697 

  6. Lang T, Fouriaud C, Jacquinet-Salord. Length of occupational exposure and blood pressure.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92; 63: 369-372 

  7. Wu CC, Chen SJ, Yen MH. Effects of noise on blood pressure and vascular reactivities. Clin Exp Pharmacol Physiol 1992; 19(12): 833-8 

  8. Tomei F, Fantini S, Tomao E, Baccolo TP, Rosati MV. Hypertension and chronic exposure to noise. Arch Environ Health 2000; 55(5): 319-325 

  9. Fogari R, Zoppi A, Corradi L, Marasi G, Vanasia A, Zanchetti A. Transient but not sustained blood pressure increments by occupational noise. An ambulatory blood pressure measurement study. J Hypertension 2001; 19(6): 1020-1027 

  10. Andren L, Hansson RL, Eggertson R. Circulatory effects of noise. Acta Med Scand 1983; 213: 31-35 

  11. Tomei F, Tomao E, Baccolo TP, Papaleo B, Alfi P. Vascular effects of noise. Angiology 1992; 904-912 

  12. Warzel H, Krell D. Effects of auditory stimulus timing in the respiratorycycle on the evoked cardiac response in man at rest. Eur J Appl Physiol 1984; 53: 144-148 

  13. Linden W, Frankish J, McEachern HM. The effect of noise interference, type of cognitive stressors, and order of task on cardiovascular activity. Int Psychol-Physiol 1985; 3: 67-74 

  14. Talbott EO, Gibson LB, Burks A, Engberg R, McHugh KP. Evidence for a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noise and blood pressure. Arch Environ Health 1999; 54(2): 71-8 

  15. Kristal-Boneh E, Melamed S, Green MS. Acute and choronic effects of noise exposure o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mong industrial empioyees: The Cordis study. Arch Environ Health 1995; 50(4): 298-304 

  16. Milkovic-Kraus S. Noise-induced hearing loss and blood pressure. lnt Arch Occup Environ Health 1990; 62(3): 259-60 

  17. Fogari R, Zoppi A, Vanasia A, Marasi G, Villa G. Occupational noise exposure and blood pressure. J Hypertension 1994; 12(4):475-9 

  18. Hessel PA, Sluis-Cremer GK. Occupatio-nal noise exposure and blood pressure: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observa-tions in a group of underground miners. Arch Environ Health 1994; 49(2): 128-34 

  19. Kim BY, Kim CT, Lee JJ, Park HC, Kim CY, Kang PS. Effect of long-term noise exposure on the blood pressure in factory workers. Korean J Occup Med 1996; 8(1): 43-58 (Korean) 

  20. Kim JH, Lee CR. A study on the influen-ce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to the blood pressure. Korean J Prev Med 1987; 20(2): 205-213 (Korean) 

  21. Ha MH, Kim DH. Long term noise exposure of steel mill workers, hearing loss and blood pressure. Korean J Prev Med 1991; 24(4): 496-505 (korean) 

  22. Hirai A, Takata M, Mikawa M, Yasumoto K, Iida H, Sasayama S, Kagamimori S. Prolonged exposure to industrial noise causes hearing loss but not high blood pressure:a study of 2124 factory laborersin Japan. J Hypertension 1991; 9(11): 1069-73 

  23. Garcia AM, Garcia A. Occupational noise as a cardiovascular risk factor. Schriftenreihe des Vereins fur Wasser-, Boden-, Lufthygiene 1993; 88: 212-22 (Germany) 

  24. Sokas RM, Moussa MAA, Gomes J, Andren JAD, Achuthan KK, Thain AB, Rishsh ZA. Noise-induced hearing loss, nationality, and blood pressure. Am J Ind Med 1995; 28: 281-288 

  25. Lee SY, Kim JY, Im HG, Yoon KJ, Choi HR, Koh SB , Kang DH, Cho SH. The association of workplace cumulative noise exposure and blood pressure. Koeran J Oeeup Environ Med 2001; 13(2): 200-208 (Korean) 

  26. 노재훈, 김치년, 노영만, 원정일, 이헌진, 임현우, 홍윤철, 김수근, 백용준, 임종한, 하은희, 작업장 노출평가와 관리 서울:군자출판사, 2000 

  27. ANSI S1.13(R1976). Method for measurement of sound pressure levels,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New York 

  28. ANSI S1.30(1979). Guidelines for the use of sound power standards and for the preparation of noise test codes,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New York 

  29. Cnaan A, Laird NM, Slasor P. Using the general linear mixed model to analysis unbalanced repeated measures and longitudinal data. Stat Med 1997; 16: 2349-2380 

  30. Holditch-Davis D, Edwards LJ, Helms RW. Modeling development of sleepwake behavior: I. Using the mixed general linear model. Physiol Behavior 1998; 63: 311-318 

  31. Kim JR, Kiefe CI, Liu K, Williams OD, Jacobs DR, Oberman JA. Heart rate and subsequent blood pressure in young adults. The CARDIA study. Hyperten-sion 1999; 33: 640-646 

  32. SAS System for Mixed Models, SAS Institute Inc. SAS campus drive, Cary, NC 27513: SAS Institute Inc.; 1996 

  33. 서순규. 성인병. 노인병학. 서울 : 고려의학, 1992 

  34. Rom WN.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Philadelphia: Lippincott-Raven Publisher, 1998 

  35. Sawada Y. Hemodynamic effects of short-term noise exposure--comparison of steady state and intermittent noise at several sound pressure levels. Japanese Circ J 1993; 57(9): 862-72 

  36. Passchier-Vermeer W, Pas schier WF. Noise exposure and public health. Environ Health Perspec 2000; 108 (suppl1): 123-131 

  37. Germano G, Damiani S, Milito U, Germano U, Giarrizzo C, Santucci A. Noise stimulus in normal subjects: time-dependent blood pressure pattern assessment. Clin Cardiol 1991; 14(4):321-5 

  38. Andren L, Hansson L, Bjorkman M. Hemodynamic effects of noise exposure before and after pI-selective and nonselective p-adrenoceptor blockade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Clin Sci 1981; 61: 89-91 

  39. Araki S, Murata K, Yokoyama K, Uchida E.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p300) in relation to peripheral nerve conduction in workers exposed to lead, zinc, and copper; Effects of lead on cognitive function and central nerve system. Am J Ind Med 1992; 21: 539-547 

  40. Sidman JD, Pulver SH, Prazma J, Pillsbury HC. Cochlea and heart as endorgans in small vessel disease. Ann Otol Rhinol Lalyngol 1998; 97:7-9 

  41. Berger EH, Ward WD, Morrill JC, Royster LH. Noise & Hearing Conservation Mannual 4th Ed. Verginia: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on, 1991 

  42. Lee JH, Lee CR, Yoo CI, Yaang SR, Kim OH, Cho BM, Lee SI, Kim DK. The effect of noise exposure age on the changes of group meam hearing threshold level: Annual follow-up studies for seven years. Korean J Oeeup Environ Med 1999; 11(2): 137-152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