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덕도 주변 해역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 -3. 꽃게통발에 의해 채집된 어류-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3. Fishes Collected by Crab Pots-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6, 2002년, pp.715 - 722  

안용락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허성회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덕도 주변 해역에 서식하는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꽃게통발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였다.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채집된 어류는 26과 49종이었다. 붕장어 (Conger myriaster)가 가장 많이 채집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볼락 (Sebastes inermis),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노래미(H. agrammus),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 등이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 6종이 전체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의 $67.1\%$$69.4\%$를 차지하였다. 그 밖에도 말쥐치 (Thamnaconus modestus), 복섬 (Takifugu niphobles), 그물코쥐치 (Rudarisu ercodes), 그물베도라치 (Dictyosoma burgeri), 횐꼬리볼락 (Sebastes longispinis), 능성어 (Epinephelus septemfasciatus) 등이 비교적 많이 채집되었다. 채집 종수는 11월에 28종으로 가장 많았고, 7월에 14종으로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모두 3월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개체수는 7월에 생체량은 9월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종다양도지수는 연중 큰 변동이 없는 편이었으나, 채집 어종수가 적고 쥐치와 말쥐치가 극우점하였던 8월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nthly collected fish samples by crab pots were analyzed in order to study the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in 1998, During the study period, 49 species of fishes representing 26 families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중 소형 기선저인망 (Huh and An, 2000)과 삼각망 (Huh and An, 2002)을 이용한 가덕도 주변 해역의 어류 조사 결과는 앞서 발표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꽃게 통발을 이용하여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과 계절 변동을 살펴보았으며, 꽃게 통발의 어획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sari, Z.A, A. Chatterji, B.S. Ingole, R.A. Sreepada, C.U. Rivonkar and A.H. Parulekar. 1995.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 of an inshore demersal fish community at Goa, west coast of India. Estuar. Coast. and Shelf Sci., 41, 593-610 

  2. Blaber, S.J.M. and D.A. Milton. 1990. Species composition, community structure and zoogeography of fishes of mangrove estuaries in the Solomon Islands. Mar. Biol., 105, 259-267 

  3.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727pp. (in Korean) 

  4. Fern $\"{o}$ , A. and S. Olsen (eds.). 1994. Marine Fish Behaviour in Capture and Abundance Estimation. Fishing News Books, Oxford, 221pp 

  5. Fulling, G.L, M.S. Peterson and G.J. Crego. 1999. Comparison of Breder traps and seines used to sample marsh nekton. Estuaries, 22, 224-230 

  6. Huh, S.H. and Y.R. An. 2000.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1. fishes collected by a small otter trawl. J. Korean Fish. Soc., 33, 288-301 (in Korean) 

  7. Huh, S.H. and Y.R. An. 2002.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2. fishes collected by three sides fyke nets. J. Korean Fish. Soc., 34, 366-379 (in Korean) 

  8. Kim, I.S. and E.J. Kang. 1993. Coloured Fishes of Korea. Academy Publ. Co. Seoul, 477pp. (in Korean) 

  9. Maes, J., A. Taillieu, P.A. Van Damme, K. Cottenie and F. Ollevier 1998. Seasonal patterns in the fish and crustacean community of a turbid temperate estuary (Zeeschelde Estuary, Belgium). Estuar. Coast. Shelf Sci., 47, 143-151 

  10. Masuda, H., K. Amaoka, C. Arago, T. Ueno and T. Yoshino (eds.)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Text and Plates. Tokai Univ. Press, Tokyo, 437pp.+370 pls 

  11. Merrett, N.R. and R.L. Haedrich. 1997. Deep-sea Demersal Fish and Fisheries. Chapman & Hall, London, 282pp 

  12. Morton, R.M. 1990. Community structure, density and standing crop of fishes in a subtropical Australian mangrove area. Mar. Biol., 105, 385-394 

  13. NFRDI. 2002. Fishing Gear of Korea. Hanguel Graphics Co. Busan, 579pp. (in Korean) 

  14. Pitcher, T.J (ed.). 1993. Behaviour of Teleost Fishes. Chapman & Hall, London, 715pp 

  15. Sainsbury, J.C. 1996. Commercial Fishing Methods, Fishing News Books, Cambridge, 359pp 

  16.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pp 

  17. Williamson, I., C. King and P.B. Mather. 1994. A comparison of fish communities in unmodified and modified inshore habitats of Raby Bay, Queensland. Estuar. Coast. and Shelf Sci., 39, 401-411 

  18. Wootton, R.J. 1998. Ecology of Teleost Fishes. Kluwer Academic Publ., Dordrecht, 386pp 

  19. Yoon, C.H. 2002. Fishes of Korea with Pictorial Key and Systematic List. Academy Publ. Co. Seoul, 747pp. (in Korean) 

  20. Youm, M.G. 1997. Community patterns of demersal fishes by the baited traps and bottom gillnets in the Masan Bay, heavily polluted area. Bull. Korean Soc. Fish. Tech., 33, 298-310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