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검정실험에 의한 섬진강 하구역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영양염 평가
Limiting Nutrients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as Determined by Algal Bioassay Experiment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5, 2002년, pp.455 - 461  

권기영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김창훈 (부경대학교 양식학과) ,  강창근 (국립수산과학원 환경관리과) ,  문창호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박미옥 (부경대학교 해양학과) ,  양성렬 (광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99년 3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섬진강 하구역에서 영양염의 DIN/DIP 비와 생물검정실험을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 성장을 제한하는 영양염을 파악$\cdot$비교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용존무기질소와 인산 인의 비는 평균 14.7$\~$681.1의 범위로, 조사시작 지점인 난초도 주변 해역을 제외한 25 psu 이하 염분역과 엽록소 a의 농도가 매우 높았던 구간에서는 계절에 관계없이 N/P 비가 16 이상으로 매우 높아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조절하는 제한 영양염은 인산 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약 25 psu 이상의 염분역인 난초도 주변 해역은 광양만으로부터 공급되는 인산 인의 영향으로 인해 DIN/DIP 비는 16 이하로 낮아, 용존무기질소가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제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 하구역에서의 DIN/DIP 비의 변화양상은 인산 인의 공급양상, 즉 육상으로부터 의 낮은 공급 및 광양만으로 부터의 높은 공급 그리고 시$\cdot$공간적인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의해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Skeletonema costatum 및 nalassiosira rotula와 현장 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생물검정실험 결과는 인산 인이 첨가된 배지에서 성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섬진강 하구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을 조절하는 제한영양염은 인산 인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S. costatum은 타종에 비해 염분 적응이 빠르고, 인산 인에 대해 반응이 크게 나타나, 섬진강 하구역에서 가을철에 우점율 $90\%$ 이상의 costatum bloom이 발생되는 주요 원인이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현장식물플랑크톤을 이용한 생물검정실험에서는 배양시작 초기에 미량금속 첨가계에서 비교적 빠른 성장을 보였으며, 20일 이후에 는 인산 인 첨가계에서 월등한 성장을 보였다. 이는 주변 해수의 영양염 분석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만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영양염 이외의 미량금속 그리고 비타민 등의 성장제한 요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miting nutrients for phytoplankton were determined by dissored inorganic nitrogen/phosphorous (DIN/DIP) in situ and algal bioassay experiment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during a study period from March 1999 to October 2001. DIN/DIP ranged from 14.7 to 681.1 during the study period. DIN/DIP wa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물 유입과 해수의 복잡한 혼합이 이루 어자는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 따른■ 영양염의 N/P 비와 생물검정실험을 이용하여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영양염을 판 단하고, 강물유량 및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변화에 따른 제한영 양염의 변동특성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araco, N., A. Tamse, 0. Boutros, I. Valiela. 1987. Nutn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in brackish coastal ponds. Can. J. Fish. Aquat Sci, 44, 473-476 

  2. Cloem, J.E. and R.T. Cheng. 1981. Simulation model of Skeletoaema costatum population dynamics in the northern San Francisco Bay estuary. Estuar, Coastal. Shelf ScL, 16, 415-429 

  3. Cloem, J.E., A.E. Alpine, B.E. Cole, R.LJ. Wong, J.W. Wong, J.F. Arthur and M.D. Ball. 1983. River discharge controls phytoplankton dynamics in the Northem San Francisco Bay. Estuar. Coast Shelf Sci., 16, 415-429 

  4. D'Elia, C.F., J.G. Sanders and W.R. Boynton. 1986. Nutrient enhchment studies in a coastal plain estuary: Phytoplankton growth in large-scale, continuous cultures. Can. J. Fish. Aquat. Sci., 43, 397-406 

  5. Fisher, T.R., E.R. Peele, J.W. Ammennan and L. Harding. 1992.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Chesapeake Bay. Mar. Ecol. Prog. Ser., 82, 51-63 

  6. Goldman, J.C, JJ. McCarthy and D.G. Peavey. 1979. Growth rate influenc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in oceanic waters. Nature, 279, 210- 215 

  7. Graneli, E. 1987.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biomass in a brackish water bay highly influenced by river discharge. Estuar. Coast. Shelf ScL, 25, 555-565 

  8. Guillard, R.R.L. 1975. Culture of phytoplankton for feeding marine invertebrates, In Culture of Marine Invertebrate Animafs, W.L. Smith and M.H. Chanley, ed. Plenum, New York, PP. 29-60 

  9. Hanison, PJ., H.H. Hu, Y.P. Yang and X. Lu. 1990. Phosphate limitation in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of China. J. exp. mar. Biol. Ecol., 140, 79-87 

  10. Hecky, R.E. and P. Kilham. 1988.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s of environment. Limnol. Oceanogr., 33, 796-822 

  11. Hitchcock, G.L. and TJ. Smayda. 1977. Bioassay of Lower Narragansett Bay waters during the 1972-1973 winter-spring bloom using th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Limnol. Oceanoer., 22, 132-139 

  12. Howarth, R.W. 1988. Nutrient limitation of net primary production in marine ecosystems. Ann. Rev. Ecol. Syst., 19, 89-110 

  13. Kang, C.K., J.B. Kim, J.B. Kim, P.Y. Lee and J.S. Hong. 2001. The importance of intertidal benthic autotrophs to the KwangyangBay (Korea) food webs: $\delta^{13}C$ analysis. J. Oceanol. Soc. Korea, 36, 109-123 

  14. Kim, H.C., D.M. Kim, D.I. Lee, C.K. Park and H.G. Kim. 2001. Limiting nutrients of Cocht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in Saryang Island coast by algal growth potential (AGP) assay. J. Kor. Fish. Soc., 34, 457-464 (in Korean) 

  15. Kim, TJ. 1992. Sorption behaviour of radium isotopes and nutrientfluxes in the Seomjin estuary of Korea, during high river discharge. Master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aejon, 59pp. 

  16. Kwon, K.Y., P.G. Lee, C. Park, C.H. Moon and M.O. Park. 2001a. Bioma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estuary. J. Oceanogr. Soc. Korea, 6, 93-102 (in Korean) 

  17. Kwon, K.Y., C.H. Moon and H.S. Yang. 2001b. Behavior of nutrient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J. Korean Fish. Soc., 34, 199-206 (in Korean) 

  18. Kwon, K.Y., C.H. Moon, C.K. Kang and Y.N. Kim. 2002. Distribution of paniculate organic matters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iy. J. Kor. Fish. Soc., 35, 86-96 (in Korean) 

  19. Lee, Y.S., T. Mukai, K. Taldmoto and M. Okada. 1996a. Estimation of limiting nutrient by algal assay procedure with indigenous phytoplankton assemblage. Jpn. Soc. Water Environ., 19, 373-380 

  20. Lee, Y.S., T. Yamada, T. Seiki, T. Mukai, K. Takimoto and M, Okada. 1996b. Effect of freshwater due to heavy rain on phytoplankton growth in Hiroshima Bay. Jpn, Soc. Water Environ., 19, 995-1003 

  21. Lee, Y.S. 1997. Mechanism eutrophication in Hiroshima Bay, Japan. J. of KSEE, 19, 371-380 (in Korean) 

  22. Lee, Y.S., J.S. Lee, R.H. Jung, S.S. Kim, WJ. Go, K.Y. Kim and J. Park. 2001. Limiting nutrient on phytoplankton growth in Gwangyang Bay. J. Oceanol. Soc. Korea, 6, 201-210 (in Korean) 

  23. Mahoney, J.B. 1989. Algal assay of relative abundance of phyto-plankton nutrients in northeast United States coastal and shelfwaters. WaL Res., 23, 603-615 

  24. McCarthy, JJ. 1980. Nitrogen, In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I. Morris,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CA., pp.199-233 

  25. Nalewajko, C. and D.R.S. Lean. 1980. Phosphorus, In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hytoplankton, I. Morris,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pp. 235-258 

  26. Park, M.O., C.H. Moon, S.Y. Kim, S.R. Yang, K.Y. Kwon and Y.W. Lee. 2001. The species composition of phytoplankton along the salinity gradients in the Seomjin River estuary in Autumn, 2000: Comparison of HPLC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s. Algae, 16, 179-188 (in Korean) 

  27. Round, F.E., R.M. Crawford and D.G. Mann. 1990. The Diato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140pp 

  28. Roy, S., J.P. Chanut, M. Gosselin and T.S. Ngando. 1996. Characteri, z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lower St. Lawrence, Estuaiy using HPLC-detected pigments and cell microscopy, Mar. Ecol. Prog. Ser., 142, 55-73 

  29. Schihdler, D.W. 1977. Evolution of phosphorus limitation in lakes. Science, 195, 260-262 

  30. Smayda, TJ. 1974. Bioassay of the growth potential of the surface water of lower Narragansett Bay over an annual cycle using the diatom Thalassiosira pseudonana (oceanic clone, 13-1). Limnol. Oceanogr., 19, 889-901 

  31. Smith, S.M. and G.L. Hitchcock. 1994. Nutrient enrichments and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urface waters of the Louisiana Bight Estuaries, 17, 740-753 

  32. Stnckland, J.D.H. and T.R. Parsons. 1972. A Practical Handbook of Seawater Analysis, 2nd ed. Bull. Fish. Res. Board Can. 167, 310pp 

  33. Twinch, AJ. and C.M. Breen. 1982. A comparison of nutrient availability measured by chemical analysis and calculated from bioassay yields. Hydrobiologia, 94, 247-255 

  34. Webb, K.L. 1988. Comment on 'Nutn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in brackish coastal ponds' by Caraco, Tamse, Boutros and Valiela, 1987. Can. J. Fish. Aquat. Sci., 45, 38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