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2.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
Application of Ecosystem Model for Eutrophication Control in Coastal Sea of Saemankeum Area -2. Quantitative Management of Pollutant Loading-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4, 2002년, pp.356 - 365  

김종구 (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김양수 (군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조은일 (제주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cause eutrophication is nutrient materials containing nitrogen and phosphorus which stem from excreation of terrestial sources and release from sediment. Therefore, to improve water quality, the reduction of these nutrients loads should be indispensible. At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구역의 수질을 예측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상해역의 기초 적인 조사자료가 필요하며, 특히 동·수역학적 특성과 수질의 변 화과정이 복잡하게 이루어진 하구역의 경우 더욱 정확한 수질자 료의 획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새만금 사업이 진행 되고 있는 시점에서 해역의 수질환경을 격월로 일년간 조사하여 모델 입력을 위한 기본 입력자료를 구하였으며, 부영양화 예측을 위한 주요 인자의 하나인 저질 영양염 용출부 하를 실험을 통하여 도출하였다 (Kim and Kim, 200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aca, R.G. and R.C. Arnett. 1976. A Limnological Model for Eutrophic Lakes and Impoundments. Battelee, Inc., Pacific northwest laboratories, Richland, WA 

  2. Brown, T.E. and F.L. Richardson. 1968. The effect of growth environment of the physiology of algae by light intensity. J. Phycol., 4, 38-45 

  3. Choi, B.H. 1984a. A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East China Sea. In Ocean Hydrodynamic of the Japan and East China Seas, Oceanography Series, 39, T. Ichiye, ed. Elsevier, New York, pp. 209-224 

  4. Choi, B.H. 1984b. Observed and computed tidal current in the East China Sea. J. Oceanol. Soc. Kor., 20, 56-73 

  5. Eppley, R.W. 1972. Temperature and phytoplankton growth in the sea. Fish. Bull., 70, 1063-1082 

  6. Eppley, R.W., E.H. Renger, E.L. Venrick and M.M. Mullin. 1973. A study of phytoplankton dynamics and nutrient cycling in the central gyre of the North Pacific Ocean. Limnol, Oceanogr., 18, 534-551 

  7. Fee, E.J. 1976. The vertical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chlorophyll in lakes of the experimental lakes area, northwestern Ontario: Implication for primary production estimates. Limnol, Oceanogr., 21, 767-783 

  8. Hunter, B.L. and E.A. Laws. 1981. ATP and chlorophyll $\alpha$ as estimators of phytoplankton carbon biomass. Limnol, Oceanogr., 26, 944-956 

  9. J $\phi$ rgensen, S.E. 1979. Handbook of Environmental Data and Ecolo-gical Parameters. International Society for Ecological Modeling 

  10. Kim, D.M. 1999. The Eutrophication Modeling in the Yellow Sea Using an Ecosystem Model.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135pp. (in Korean) 

  11. Kim, G.S. 1995. Th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the Yellow Sea Using an Ecosystem Model. Ph.D. Tehsis, Nat'l Fisheries Uni. of Busan, 195pp. (in Korean) 

  12. Kim, J.G. 1994. The Eutrophication Modelling for Jinhae Bay in Summer. Ph.D. Thesis, Nat'l Fisheries Uni. of Busan, 130pp. (in Korean) 

  13. Kim, J.G. and Y.S. Kim. 2002. Application of ecosystem model for eutrophication control in coastal sea of Saemankeum area, 1.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nutrients released from sediments. J. Korean Fish. Soc., 35, 348-355 

  14. Laws, E.A and T.T. Bannister. 1980. Nutrient and light-limited growth of (Thalassiosira Fluviatilis) in continuous culture, with implications for phytoplankton growth in the ocean. Limnol, Oceanogr., 25, 457-473 

  15. O'Connor, D.J., R.V. Thomann and D.M. Di. Toro. 1973. Water Quality Forecasting and Management.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U.S. EPA, Corvallis, Oregon 

  16. Scavia, D. and B.J. Eadie. 1976. The use of measurable coefficients in process formulations - zooplancton grazing. Ecol. Mod., 2, 315-319 

  17. Shim, J.H. and Y.K. Shin. 1989. Biomass of primary producer in the Chonsu bay -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cell number and chlorophyll-. J. Oceanogr. Soc. Korea, 24, 194-205 (in Korean) 

  18. Shin, M.S. and T. Yanagi. 1999. Mitigation for the anti-function of development in caused by Saemangeum reclamation. Proceeding of Korean Soc. Civil Eng., 19(II-3), 317-327 

  19. Shin, S.K. 1996. Water quality management considering autochthonous BOD in the Nakdong river. Ph.D. Thesis, Nat'l Fisheries Uni. of Busan, 175pp. (in Korean) 

  20. Takahashi, M. and P.K. Bienfang. 1983. Size structure of phyto-plankton biomass and photosynthesis in subtrophical Hawaiian waters. Mar, Biol., 203-211 

  21. Tang, Y. 1990. Numerical modeling of the tide-induced residual current in the East China Sea, Collected papers on Kuroshio Investigation study (I). Beijing China Ocean Press, 33-43 (in Chinese, English abstract) 

  22. Thomann, R.V., D.M. Di Toro, R.P. Winfield and D.J. O'Conner. 1975. Mathematical modeling of phytoplankton in lake Ontario, Part 1, Model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Manhattan college, Bronx, New York For US-EPA, Corvallis, Oregon, EPA-600/3-75-005 

  23. Thomas, W.H. and A.N. Dodson. 1972. On nitrogen deficiency in trophical Pacific Ocean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17, 515-523 

  24. 堀江 毅. 1990. 海域の水質. 生態系の數値モヂル. 土木學會論文集, 第417號, ll-13, 21-31 

  25. 細見正明· 順藤陵一. 1984. 低泥からの窒素と燐の溶出について. 國立公害硏究硏硏究報, 51, 195-2l6 

  26. 日本水産學會偏. 1975. 水圈の富榮養化と水産增義殖, pp.9-11 

  27. 何合崇昏. 1982. 低質からの營養鹽類の回歸. 國立公害硏究所 調査報告, 第22號, 59-67 

  28. 국립수산진홍원. 1997. 해양조사연보. 제46권, 495-500 

  29. 전라북도. 1994. 새만금 종합개발 사업 어업피해 보상 조사연구, II편 물리해양학적연구. 농림수산부, pp.114-118 

  30. 농어촌진흥공사. 1998. '98 새만금지구 수리실험 및 파랑관측 보고서. 농림부, 98-11-10, pp.16-33 

  31. 환경처. 1991. 진해만 일원 오염실태 조사 보고서 

  32. 한국해양연구소. 1993. 황해의 해양오염 조사 및 대책 연구, 해양환경 관리기술-1차년도 연차 보고서. 환경처· 과학기술처, pp.115-1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