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동한난류 주변 해역의 색소농도 공간적 분포 -1980년 5월 관측을 중심으로 -
Spatial 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Derived from Satellite Data - Satellite Observation in May 1980 - 원문보기

한국수산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Fisheries Society, v.35 no.3, 2002년, pp.265 - 272  

김상우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연구소) ,  재등성일 (북해도대학 수산학부) ,  김동선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한난류 주변 해역의 해색전선과 수온전선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CZCS와 AVHRR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동한난류 주류의 난수 streamer 주변 해역의 색소농도와 SST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본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흡수보다는 황색물질이나 용존유기물질과 같은 부유물질에 의해 높은 색소농도를 나타낸 연안냉수해역, 연안의 부유물질에 의한 영향과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영향이 혼합된 특성이 나타난 색소농도가 높은 수온전선의 냉수해역, 외해수의 특성과 유사한 순수한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에 의해 색소농도가 높은 난수중첩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홉수에 의해 지배를 받고 있으나 색소농도가 적은 난수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흡수에 의한 영향으로 색소농도가 높은 외해해역의 5개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해안을 따른 연안냉수해역의 높은 색소농도의 확장은 동한난류의 흐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동한난류의 난수 내부에 있는 낮은 색소농도와 분리된다. 또한, 동한난류해역 주변의 색소 농도와 SST 사이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색소농도가 높은 곳은 수온이 낮은 곳에 나타나고 있으며, 색소농도가 낮은 곳은 수온이 높은 곳에서 나타났다. 색소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수온전선해역 냉수쪽에서 가장 높은 550nm 반사와 비교적 높은 443nm 흡수와 일치하는 일반적인 연안수와 같이 식물플랑크톤 단독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부유물질과 동시에 나타났다. 그리고, 또 다른 색소농도의 높은 농도가 외해수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난수 streamer 내부에서 나타났으며, 이것은 연안의 부유물질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색소농도가 높은 것을 알았다. 동한난류 해역과 같이 색소농도가 높은 해역에서 SST와 색소농도 영상만으로 복잡한 물리 생물학적인 현상에 기인한 모든 현상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광범위한 해역에서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위성자료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운용중인 NASA의 Seastar에 탑재된 SeaWiFS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에 의한 보다 정확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 자료는 현장에서 측정된 관측자료와 더불어 동한난류 해역의 물리$\cdot$생물학적인 시공간변동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pati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 (PPC) an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EKWC) was described, using both Coastal Zone Color Scanner (CZCS) images and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AVHRR) images in May, 1980. Water mass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CZCS와 같이 적은 파장 대수를 가진 분광 측광에서는 양자를 분리하는 것이 어려워 클로로필-a와 phaeophytin의 합을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 또는 간단히 색소농도로서 취급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도 CZCS에서 관측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를 색소농도로 간단히 기술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980년 5월에 관측된 CZCS와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위성 자료를 이용하여 동한난류 주변 해역의 해 색전선 (ocean color front)과 수온 전선 (thermal front)에 따른 광학적 환경 특성에 의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의 공간적 분포를 이해하고자 한다.
  • CZCS에서는 해역을 2가지로 나누어 외양수 (클로로필 색소농도 약 50g/L 이하)를 case-I 해수로 하여 443 nm와 550 nm 파장대의 값을 이용하여 색소농도를 구하고, 고농도와 동시에 각종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연안 수의 case-II 해수에서는 443 nm의 파장대 역을 피하여 520nm 파장대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ase-I 해수의 알고리듬을 자료 해석에 이용하여 색소농도와 파장 대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 따라서, 동해의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을 파악하는 것은 저 차 생물 생산과정 및 그 생산량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써, 또 먹이 환경을 통하여 유용 어류의 회유 시 생잔.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예측하는 데에도 중요한 문제로 사료된다.

가설 설정

  • The upper panel is AVHRR image and lower panel is CZCS image. The color bar of (a) AVHRR image goes from blue for low temperatures, to red for high temperatures and that of (b) CZCS image goes from violet for low concentrations, to red for high concentr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n,H.S.,K.S.Shim and H.R.Shin. 1994. On the warm eddi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East sea (the Japan Sea). J. Oceanol, Soc. Korea, 29, 152-163 

  2. Arnone, R.A. and P.E. La Violette. 1986. Satellite definition of the bio-optical and thermal variation of coastal eddies associated with the African current. J. Geophys. Res., 91, 2351-2364 

  3. Banse, K. and D.C. English. 1994. Seasonality of coastal zone color scanner phytoplankton pigment in the offshore oceans. J. Geo-phys. Res., 99, 7323-7345 

  4. Eslinger, D.L., J.J. OBrien, R.L. Iverson. 1989.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of cloud-containing coastal zone color scanner images of northeastern North American coastal waters. J. Geo-phys. Res., 94, 10884-10890 

  5. Fukushima, H. and J. Ishizaka. 1993. Special features and applica-tions of CZCS data in Asian waters, In Ocean Colour theory and Applications in a Decade of CZCS Experience, eds. V. Barale and P.M. Schlittenharadt, Kluwer Academic, pp. 213-236 

  6. Gordon, H.R., D.K. Clark, J.W. Brown, O.B. brown, R.H.. Evans and W.W. Broenkow. 1983.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 in the Middle Atlantic Bight: Comparison of ship determinations and CZCS estimates. Appl. Opt., 22, 20-36 

  7. Hovis, W.A., D.K. dark, F. Anderson, R.W. Austin, W.H. Wilson, E. T. Baker, D. Ball, H.R. Gordon, J.L. Mueller, S.Y. El Sayed, B. Sturm, R.C. Wrigley and C.S. Yentsch. 1980. Nimbus-7 coastal zone color scanner: System description and initial imagery. Science, 210, 60-63 

  8. Ishizaka, J., H. Fukushima, M. Kishino, T. Saino and M. Takahashi. 1992. Phytoplankton pigment distributions in regional upwelling around the Izu Peninsula detected by coastal zone color scanner on May 1982. J. Oceanogr., 48, 305-327 

  9. Isoda, Y. and S. Saitoh. 1988, Variability of the sea surface tempera-ture obtained by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VHRR imagery - A case study of the south Japan Sea -. J. Oceanogr. Soc. Japan, 11, 52-59 

  10. Isoda, Y., S. Saitoh and M. Mihara. 1991. SST structure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 Sea. In Oceanography of Asian Marginal Seas, Vol. 54. ed. K. Takano, Elsevier, Amsterdam, pp. 103-112 

  11. Isoda, Y. and S. Saitoh. 1993. The northward intruding eddy along the east coast of Korea. J. Oceanogr., 49, 443-458 

  12. Kim, S.W., S. Saitoh, J. Ishizaka, Y, Isoda and M. Kishino. 2000.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phytoplankton pigment Con-centrations in the Japan Sea derived from CZCS images. J. Oceanogr., 56, 527-538 

  13. Matsumura, S. and H. Fukushima. 1988. Water mass analysis using ocean color map and sea surface temperature map obtained by NIMBUS-7/CZCS. Sora to Umi, 10, 27-3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4. Morel, A. and L. Prieur. 1977. Analysis of variations in ocean color. Limnol. Oceanogr., 22, 709-722 

  15. Obata, A., J. Ishizaka, M. Endoh. 1996. Global verification of critical depth theory for phytoplankton bloom with climatological in situ temperature and satellite ocean color data. J. Geophys. Res., 101, 20657-20667 

  16. Saitoh, S. 1995. AVHRR on NOAA. In Oceanographic Applications of Remote Sensing, eds. M. Ikeda and F. W. Dobson, CRC Press, Boca Raton, pp. 407-417 

  17. Sathyendranath, S., T. Platt, E.P.W. Home, W.G. Harrison, 0. Ulloa, R. Outerbridge and N. Hoepffner. 1991. Estimation of new Pro-duction in the ocean by compound remote sensing. Nature, 353, 129-133 

  18. Toba, Y., H. Kawamura, F. Yamashita and K. Hanawa. 1984. Structure of horizontal turbulence in the Japan Sea. In Ocean Hydrodynamics of the Japan and East China Seas, Vol. 39, ed. T. Ichiye, Elsevier Amsterdam, pp. 317-332 

  19. Yentsch, C.S. and D.A. Phinney. 1985. Rotary motions and Convec-tion as a means of regulating primary production in warm Strea-mer rings. J. Geophys. Res., 90, 3237-3248 

  20. Yoder, J.A., C.R. McClain, G.C. Feldman and W.E. Esaias. 1993. Annual cycles of phytoplankton chlorophyll concentrations in the global ocean: A satellite view. Global Biogeochem. Cycles, 7, 181-193 

  21. 江波澄雄. 1974. 對馬煖流の浮魚資源. 對馬煖流, 水産學シリ-ズ5, 日本水産學倉編, pp.69-85 

  22. 川合英夫. 1991. 對馬煖流系での總觀スケ-ルの構造と水産生物に及ぼす影響. 流れと生物と, 川合英夫薯, pp. 35-48 

  23. 森勇. 1974. 西日本海夕域の生物學的特性. 對馬煖流, 水産學ツリ-·ズ5, 日本水産學會編, pp. 56-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