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밤나무 꽃과 잎의 화학성분 및 항균활성 검색 -제1보. 화학성분 조성-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from Castanea crenata Sieb. et Zucc. Leaves and Flowers. I. Chemical Compositions 원문보기

한국농화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v.46 no.3, 2003년, pp.257 - 261  

조재선 (경희대학교 생명과학부 식품공학과) ,  조규성 (한경대학교 이공학부 식품공학과,식품생물산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밤나무의 밤꽃과 밤잎의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검색하기 위하여, 이들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유리당 함량은 밤꽃에는 sucrose와 maltose가 많은 반면, 밤잎에는 sucrose, glucose, fructose가 가장 많았다. 탄닌은 밤잎에 1.98%, 밤꽃은 0.16%로 밤잎이 12배정도 많았다. 지방산 조성은 밤꽂과 밤잎에 linoleic acid가 가장 많았다. 밤꽃의 불포화 지방산은 61.4%, 포화 지방산은 23.1% 였으며, 밤잎은 불포화 지방산이 76.4%, 포화 지방산이 17.1%로 나타나 밤잎이 불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 함량은 밤꽃에 malic acid, citric acid, succinic acid, oxalic acid의 많은 순이나, 밤잎은 succin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밤꽃에는 aspartic acid와 proline이 가장 많았고, 밤잎은 aspart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아미노산의 총함량은 밤꽃이 230.33mg/100g 인데 비하여 밤잎은 1,550.36mg/100g로 약 6.7배나 높았다. 무기질은 밤꽃과 밤잎 모두에 K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Ca, Mg, Fe, Mn, Al의 순으로 나타났다. 비타민은 밤꽃과 밤잎 중에ascorbic acid가 각각 5.2 mg/100 g 및 6.4 mg/100 g 함유하고 있었으며, 다른 비타민은 모두 trace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emical components relevant to the characteristic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Korean chestnut (Castanea crenata S. et Z.) leaves and flowers wer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free sugar were sucrose, maltose in the chestnut flowers and sucrose, glucose, fructose in the chestnut leaves. The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충분히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밤꽃과 밤잎을 원료로 하는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나 천연 보존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이들의 화학성분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ark, C. S., Kim, W. S., Ahn, C. Y. and Lee, M. H. (1999) In Chestnut, Persimmon, date, walnut. Naewyoi Press, Seoul, pp. 75-94 

  2. Kim, J. H., Kim, J. C., Ko, K. C., Kim, G. R. and Lee, J. C. (1998) Detailed expositions of a fruit tree and horticulture (4th ed.). Hyangmoonsa, Seoul, pp. 382-396 

  3. Kim, S. K., Jeon, Y. J., Kim, Y. T., Lee, B. J. and Kang, O. J. (1995) Sensory evalu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chestnut mook. J. Korean soc. Food Nutr. 24, 601-605 

  4. Park, Y. H., Kim, S. K,, Lee, S. Y. and Kim, J. B. (1984)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chestnut starch solution. J. Food Sci. Thechnol. 16, 314-318 

  5. Cho, S. H., Sung, N. K., Ki, W. K., Hur, J. H., Shim, K. H. and Chung, D. H. (1988) Elfect of blanching on the prevention of discoloration in the thermal treated chestnut powder. J. Korean Soc. Food Nutr. 17, 211-214 

  6. Kwan, S. B. (1990) hi Atlas of pharmacognogy encycIophedia (Plants). Yonglim Press, Seoul, pp. 806-808 

  7. Lee, T. B. (1994) In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ress, Seoul. p. 274 

  8. Roberto Chiej (1984) In The Macdonald encylopedia of medical plants. Macdonald press, Britain. p. 72 

  9. Joo, H. K., Cho, G. S. and Ma, S. J. (1995) In Food Analysis methods. Hakmoonsa, Seoul, pp. 159-333 

  10. Olano, A., Calvo, M. M. and Reglero, G. (1986) Analysis of free caborhydrate in milk using micropacked column. Chromatographia 21, 538 

  11. Olano, A., Calvo, M. M. and Reglero, G. (1986) Analysis of free caborhydrate in milk using micropacked column. Chromatographia 21, 538 

  12. Court, W. A. and Hendel, J. G. (1978) Determination of nonvolatile organic acid and fatty acid in flue cured tabaco by gas chromatography. J. chmmatogr. Sci. 16, 314-318 

  13. Heinrikson, R. L. and Meredith, S. C. (1984) Amino acid analysis by 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precolumn derivatization with phenylisocyanate. AnaI. Chem. 136, 65 

  14. Bligh, E. G, and Dyer, W. 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J. Bio. Physiol. 37, 911 

  15. Chnstie, W. W. (1982) The preparation of methyl and other esters of fatty acids. In Lipid AnaIysis, (2nd ed.), Pergamon Press, New York, p. 52 

  16. Sullivan, D. M. and Carpenter, D.E. (1993) AOAC International Methods of Analysis for Nutrition Labeling, AOAC international Virginia, p. 549 

  17. Sullivan, D. M. and Carpenter, D. E. (1993) AOAC International Methods of Analysis for Nutntion Labeling, AOAC international Virginia, p. 561 

  18. Kang, M. R., Lee, I. H., Jun, H. Kim, Y. S. and Lee, S. C.(2001) Elemental analysis in Astragati Radix by using ICP-AES and determination of the original agricultural place oforiental medicine by using a chemometrics. Anal. Sci. Technol.14 316-321 

  19. Lee, Y. S. (1996)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chestnut flower (Castanea crenata), Ph.D. Thesis, Kyongsang University, Jinju, Korea 

  20. Choi, O. B. (1999) Physiological activity and chemical composition of Castanea crenata leaf tea, Ph.D. Thesis, Chonnam University, Kwangju, Korea 

  21. Park, J. H. (1997)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osition of tea leaves. J. Kor. Tea Soc. 3, 47-56 

  22. Nha, Y. A. and Yang, C. B. (1996) Changes of constituent components in chestnu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64-117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