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C-olfactometry를 이용한 돼지간의 비린내불쾌취 성분 연구
Study on Fishy Off-flavor in Porcine Liver by GC-O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35 no.3 = no.169, 2003년, pp.353 - 358  

임성임 (동의대학교 한방식품연구소) ,  최성희 (동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까지 거의 보고되지 않은 동물간의 비린내 불쾌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속수증기증류에 의해 얻어진 가열돼지간의 휘발성 농축물중에 포함된 화합물을 분리 동정하여, 가열에 의해서도 없어지지 않고 잔존하는 비린내물쾌취를 검토하였다. 또한, GC 분석시, GC-O를 이용하여 각 휘발성화합물의 냄새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간은 가열하는 것에 의해 특이적인 비린내불쾌취가 소실되지 않으며, 여전히 잔존함이 확인되었다. 동정된 69종의 화합물중 비린내를 갖는 (E,E)-2,4-heptadienal(fishy) 및 금속취를 갖는 1-octen-3-one, hexanol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열돼지간의 불쾌취 형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는 (E)-2-nonenal(cardboard-like), (Z)-4-decenal(cardboard-like), (E,E)-2,4-decadienal(deep-fried) 등 낮은 한계값을 갖는 aldehyde 류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동정된 69종의 화합물중 40종류의 성분은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가열 돼지간의 휘발성성분으로 동정되었다. 1-Octen-3-one, hexanol, (E)-2-nonenal, (Z)-4-decenal, (E,E)-2,4-heptadienal 등은 특징적인 냄새를 나타내며, 돼지간의 불쾌취 형성에 있어 중요한 화합물로 사료된다. 이들 alkanal, alkenal 및 alkanone류는 돼지간에 다량 함유된 불포화지방산의 산화 반응생성물로, 그 일부는 가열처리에 의한 분해생성물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 compounds of porcine liver were collect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and steam distillation under reduced pressure. Volatiles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GC-mass spectrometry. Key aroma compounds of off-flavor in porcine liver were characterized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징을 확인함과 함께 비린내. 금속취에 관여하는 key compound을 명확하게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감압수증기증류를 이용하여 미가열 상태의 돼지간 휘발성 성분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 또한, 감압수증기증류를 이용하여 미가열 상태의 돼지간 휘발성 성분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식품으로서 돼지간의 이용범위를 넓히는 계기가 되는 것과 동시에 가공조리에 있어서 유효한 이용법 개발 등 간의 이용률 향상을 모색하고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지금까지 거의 보고되지 않은 동물 간의 비린내 불쾌취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연속수증기증류에 의해 얻어진 가열돼지 간의 휘발성 농축물 중에 포함된 화합물을 분리·동정하여, 가열에 의해서도 없어지지 않고 잔존하는 비린내 불쾌취를 검토하였다. 또한, GC 분석시, GC-O를 이용하여 각 휘발성 화합물의 냄새를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ura, T. and Ogawa, Y. Effect of ultrasonic wave irradiation on cooking (part 3). A study on removal of blood from chicken liver and its deodoring effect. J. Home Econ. Japan 36: 851-860 (1985) 

  2. Kimura, T., Kagaya, M., Fukuya, Y. and Kosugi, S. Properties of chicken liver preserved in Miso. J. Home Econ. Japan 41: 629-636 (1990) 

  3. Kimura, T., Fukuya, Y. and Kagaya, M. Changes in properties of chicken liver cured in aged sake lees. J. Cookery Sci. Japan 23: 267-274 (1990) 

  4. Mussinan, C.J. and Walradt, J.P. Volatile constituents of pressure cooked pork liver. J. Agric Food Chem. 22: 827-831 (1974) 

  5. Lorenz, G., Stern, DJ., Flath, R.A., Haddon, W.F., Tillin, S.R.and Teranishi, R. Identification of sheep liver volatiles. J. Agric. Food Chem. 31: 1052-1057 (1983) 

  6. Nickerson, G.B. and Likens, S.T. Gas chromatographic evidence for the occurrence of hop oil components in beer. J. Chromatogr. 21: 1-5 (1966) 

  7. Buttery, R.G. Vegetable and fruit flavors. pp.175-211. In :Flavor Research-Recent Advances, Teranishi, R., Flath, R. A. and Sugisawa, H.(eds.), Marcel Dekker, New York, USA (1981) 

  8. Stark, W. and Forss, D.A. A compounds responsible for metallic flavour in dairy products. J. Dairy Res. 29: 173-180 (1962) 

  9. Hammond, E.G. and Hill, F.D. The oxidized-metallic and grassy flavor components of autoxidized milk fat. J. Am. Oil Chem. Soc. 41: 180-184 (1964) 

  10. Hill, F.D and Hammond, E.G. Studies on the flavor of autoxidized soybean oil. J. Am. Oil Chem. Soc. 42: 1148-1150 (1965) 

  11. Frazzalari, F.A. Compilations of Odor and Taste Threshold Value Data, p. 130. Am. Soc Testing and Materials, Philadelphia, PA, USA (1978) 

  12. Sick, T.J. and Lindsay, R.C. Semiquantitative analysis of fresh sweet cream butter volatiles. J. Dairy Sci. 53: 700-703 (1970) 

  13. Bading, H.T. Cold-storage defects in butter and their relation to the autoxidation of unsaturated fatty acids. Neth. Milk Dairy J. 24: 146-256 (1970) 

  14. Josephson, D.B. Seafood. pp. 179-256. In: Volatile Compounds in Foods and Beverages. Maarse, H.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1991) 

  15. Lillard, D.A., Montgomery, M.W. and Day, E.A. Flavor threshold values of certain carbonyl compounds in milk. J. Dairy Sci. 45: 660 (1962) 

  16. Patton, S., Barnes, I.J. and Evans, L.E. n-Deca-2,4-dienal, its origin from linoleate and flavor significance in fats. J. Am. Oil Chem. Soc. 36: 280-283 (1959) 

  17. Nakahara, M., Takano, R., Ito, H., Yano, H., Hirase, S. and Haramaya, K. Volatile constituents of Uroglena americana (Chrysophyceae). Nippon Nogei kagaku Kaishi 62: 157-159 (1988) 

  18. Tressl, R., Bahri, D., Holzer, M. and Kossa, T. Form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asparagus. 2. Formation of flavor components in cooked asparagus. J. Agric. Food Chem. 25: 459-463 (1977) 

  19. Walradt, J.P., Pittet, A.O., Kinlin, T.E. Muralidhara, R. and Sanderson, A. Volatile components of roasted peanuts. J. Agric. Food Chem. 19: 972-979 (1971) 

  20. Meilgaard, M.C. Flavor chemistry of beer. Part II. Flavor and threshold of 239 aroma volatiles. Tech. Quart., Master Brewers Ass. Am. 12: 151-168 (1975) 

  21. Murahashi, S. Uber die riechastoffe des matsutake (Armillaria Matsutake Ito et Imai Agaricaceae). Sci. Papers. Inst. Phys. Chem. Res. (Tokyo) 34: 155-172 (1938) 

  22. Stark, W., Forss, D.A. A compound responsible for mushroom flavour in dairy products. J. Dairy Res. 31: 253-259 (1964) 

  23. Hoffmann, G. 1-Octen-3-o1 and its relation to other oxidative cleavage products from esters of linoleic acid. J. Am. Oil Chem. Soc. 39: 439-444 (1962) 

  24. Honkanen, E. and Moisio, T. On the occurrence of oct-1-en-3-o1 in clover plants. Acta Chem. Scand. 17: 858 (1963) 

  25. Cronin, D.A. and Ward, M.K. The characterisation of some mushroom volatiles. J. Sci. Food Agric. 22: 477-479 (1971) 

  26. Markl, K.S. and Palamand, S.R. New flavor compounds and their relationship to aging. Tech. Quart., Master Brewers Ass. Am. 10: 184-189 (1973) 

  27. Watanabe, K. and Sato, Y. Volatile acidic compounds in heat-degradated pork fat. Agric. BioI. Chem. 33: 1411-1418 (19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