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체급식에서 채소류 전처리를 위한 식초 소독의 미생물적 효과
Effect of Pre-preparation with Vinegar against Microorganisms on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2, 2003년, pp.230 - 237  

김소희 (동주대학 식품과학계열 및 환경보건연구소) ,  정수열 (동주대학 식품과학계열 및 환경보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단체급식에서 적용할 수 있는 HACCP 시스템 개발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현재 급식소에서 가열처리 없이 급식되어 위생관리가 요구되는 생채류 조리의 위생실태를 파악하고 생채류 조리의 전처리 단계에서의 채소류에 대한 식초소독의 효과를 실험하였다 고등학교 급식소 5개소의 2002년 1월부터 5월까지의 식단을 분석하여 급식횟수가 높은 생채류 중, 부추겉절이, 도라지생채, 야채샐러드의 미생물적 품질을 평가한 결과, 부추겉절이와 도라지 생채는 1g당 총균수는 $10^{5}$ ~$10^{6}$ CFU, 대장균군$10^2$~$10^4$CFU 수준으로 위생관리가 요구되는 상태였다. 급식소에서 생채류의 재료가 되는 부추를 물로 3회 세척한 후, 총산 농도 0.05%, 0.1%, 0.5%, 1%, 2%로 조절하고 농도별로 온도를 1$0^{\circ}C$, 2$0^{\circ}C$, 4$0^{\circ}C$로 유지시킨 식초소독액 각각에 부추를 넣어 5분, 10분, 30분 동안 침지시킨 효과를 실험하였다. 식초 농도가 증가할수록 부추의 총균수와 대장균군수의 감소가 증가하였으며 같은 농도에서 소독액의 온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어질수록 그 효과는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채소류의 질감 손상과 에너지 비용면을 고려할 때 채소류의 초기 총균수가 $10^{6}$대장균군수는 $10^3$수준일 경우 0.5%, 2$0^{\circ}C$의 식초용액으로 10분간 소독하는 것 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전처리전부추 원시료, 3회 세척한 부추, 3회 세척 후 2$0^{\circ}C$의 0.1%, 0.5%, 1% 식초소독액에서 10분간 침지시킨 부추각각의 시료들을 4$^{\circ}C$에서 저장하면서 시간별로 총균수와 대장균군수를 검사하였다. 부추 원시료와 3회 세척 시료는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미생물은 증가하여 72시간의 저장으로 저장전에 비해 총균수는 각각 5.41 log(1.8배), 0.75 log(5.6배 ), 대장균수는 각각 0.30 log(2배 ), 0.24 log(1.8배) CFU/g증가하였다. 반면 0.1%의 식초소독액에 침지하였던 부추시료들은 72시간의 저장으로 총균수와 대장균군수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0.5%와 1%의 식초소독액에 침지하였던 부추시료들은 저장시간이 길어질수록 총균수와 대장균군수가 오히려 감소하였는데 이는 식초 침지시 손상되었던 부추의 총균과 대장균군의 증식이 억제된 때문이라 사료된다. 식중독 병원균인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Ecia coli O157, Shigelia sonnei, Salmonella entritidis, Listeria monolytogenes를 식초농도별로 1$0^{\circ}C$에서 10분간 처리하여 배양시킨 결과, 식초농도 1%이상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hygenic evaluation, microbiological tests of seasoned raw vegetal)les from five high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were conducted. The antimicrobiological effect of pre-preparation with vinegar against microorganisms on vegetables in foodservice operations was also investigated. Total plate co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단체급식에서 적용할 수 있는 HACCP 시스템의 개발단계 및 운영과정에서 채소류 소독방법의 모색과 전처리단계에서의 중요관리점 설정에 필요한 실험과학적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현재 급식소에서 급식 횟수가 높으면서 가열처리 없이 급식되어 위생관리가 요구되는 생채류 음식의 위생실태를 파악하고, 생채류 조리의 전처리 단계에서 식용으로 쓰이는 식초로의 소독이 채소류의 미생물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가설 설정

  • 3)ND: viable cells were not detect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교육부. 2001. 최근 3년간 식중독 발생률 분석자료('98-2000). 

  2. 식품위생안전청. 2002. 식중독발생현황 통계. 

  3. Snyder OP. 1986. Applying the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system in foodservice and food borne illness prevention. J Foodservice Sys 4: 125-131. 

  4. Snyder OP. 1990. Food safety 2000: Applying HACCP for food safety assurance in the 21th century. Dairy Food and Environ Sanitat 10: 197-204. 

  5. Bobeng BJ, David BD. 1978. HACCP models for quality control of entree production in hospital foodservice system. II. Quality assessment of beef loaves utilizing HACCP models. J Am Dietet Assoc 73: 530-535. 

  6. Bryan FL, McKinley TW. 1979. Hazard analysis and control of roast beef preparation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Food Prot 42: 4-18. 

  7. Bryan FL, McKinley TW. 1980. Hazard analysis and control of roast beef jus preparation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J Food Prot 43: 512-513. 

  8. Cremer ML, Yum TK, Banwart GJ. 1985. Time-temperature, microbiological and sensory quality assessment of chicken and noodle in a hospital foodservice system. J Food Sci 50: 891-896. 

  9. Sawyer CA. 1991. Safety issues related to use of take-out food. J Foodservice Sys 6: 41-60. 

  10. Rew K, Kim JM, Kwak TK. 1985. The microbiological assessment of a university foodservice establishment, and hazard analysis for quality control of fried fish cake soup preraration. Korean J Nutr 18: 283-292. 

  11. Kwak TK, Rew K. 1986.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chicken soup utilizing HACCP model in university foodservice establishment. Korean J Soc Food Sci 2: 76-83. 

  12. Kwak TK, Joo SY, Lee SM. 1992. Applying HACCP for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in hospital foodservice operations. Korean J Soc Food Sci 8: 123-135. 

  13. Kye SH, Moon HK. 1995.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of Korean soups prepared at Korean Restaurants: Hazard analysis of tang (galbitang, sulluntang, jangkuk). Korean J Dietary Cul 10: 35-44. 

  14. Jyung IH, Noh WS. 2001. A study on the microbiological analysis of HACCP in hamburger. Korean J Food & Nutr 14: 467-478. 

  15. Puckett RP, Norton LC. 1996. HACCP The future challenge. The Norton Grop, Inc., Missouri City, Texas, p 45-77. 

  16. 한국 HACCP 연구회. 2001. 식품.축산물 위해요소 중점관리 기준. 

  17. Bryan FL. 1981. Hazard analysis of food service operations. Food Technol 35: 78-87. 

  18. Beckers HJ. 1988. Microbiology and food hygiene in mass catering. Catering & Health 1: 3-5. 

  19. Bauman HE. 1974. The HACCP concept and microbiological hazard categories. Food Technol 28: 30-34. 

  20. Kim GR, Jang MS. 1998. Microbiological quality and change in vitamin C contents of vegetables prepared at industrial foodservice institutions in Kumi. J Korean Dietet Assoc 4: 263-269. 

  21. 한국식품공업협회. 1995. 식품공전. p 730. 

  22. Solberg M, Buckalew JJ, Chen CM, Schaffner DW, O'Neil K, Mcdowell J, Post LS, Boderck M. 1990. Microbiological safety assurance system for foodservice facilities. Food Technol 44: 68-73. 

  23. Kim HY, Kim HJ. 2000. A study for the quality control of food served by contracted management in high school foodservice centre. J Fd Hyg Safety 15: 304-314. 

  24. Dziezak D. 1986. Preservatives: antimicrobial agents. Food Technol 49: 104-111. 

  25. Magnuson JA, King AD, Torok T. 1990. Microflora of partially processed lettuce. Appl Environ Microbiol 56: 3851- 3854. 

  26. Marchetti R, Casadei MA, Guerzoni ME. 1992.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in ready-to-use vegetable salads. Italian J Food Sci 4: 97-108. 

  27. Francis GA, Thomas C, O'Beirne D. 1999.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ernational J Food Sci Technol 34: 1-22. 

  28. Zhang S, Farber JM. 1996. The effects of various disinfectants aganist Listeria monocytogenes on fresh-cut vegetables. Food Microbiol 13: 311-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