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펜 입력 장치 환경을 고려한 컨텍스트 기반 Annotation
(Context-based Annotation for Pen Input Device Environment) 원문보기

정보과학회논문지. Journal of KIISE. 소프트웨어 및 응용, v.30 no.5/6, 2003년, pp.559 - 569  

김재경 (연세대학교 컴퓨터학과) ,  손원성 (연세대학교 컴퓨터학과) ,  임순범 (숙명여자대학교 멀티미디어학과) ,  최윤철 (연세대학교 컴퓨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notation은 개인의 의견, 해설, 요약 등을 표기한 것으로써, 현재 전자문서 환경에서annotation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annotation의 기능성에 치중하여 직관적인 펜기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거나, 이를 지원하는 일부 시스템에서도 원본 문서와 annotation의 관계가 명확하지 못하여 재 활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자문서에서 펜 입력 장치 환경을 위한 컨텍스트 기반 annotation 모델링을 정의하고, 이를 활용한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annotation 유형, 문서의 컨텍스트 정보, 그리고 annotation과 원본 문서간의 관계를 정의하고, 모델링 정보에 기반한 펜기반 annotation 입력 인터페이스 와 annotation DTD를 정의하여 다양한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펜기반 입력 환경에서 컨텍스트 기반 annotation의 정확한 정의가 가능하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앞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notation is used for inscribing personal opinion, explanation, and summary. Various methods for processing annotation efficiently in digital document environments are being studied. However, previous studies placed much emphasis on function of annotation, so either they did not support Intuitive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설명하였듯이 컨텍스트라는 것은 annotation0] 입력되어지는 원본 문서의 일부분을 뜻하며 컨텍스트 기반의 annotation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컨텍스트의 크기, 위치, 그리고 구조정보를 이용한 annotatione] 인식 및 활용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모두 제공하기 위한 컨텍스트 기반 annotation 모델링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살펴 보도 록 한다.
  • Annotatione [정의 1]에서 정의된 것처럼 annotation 유형과 컨텍스트간이 관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annotation 저장 단계에서는 입력 단계에서 인식한 annotation 유형과 컨텍스트 정보간에 링크를 형성하여 저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annotation 및 annotatione] 대상이 되는 원본문서에 XML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효율적인 연결을 위해 이들 간에 구조적 정보를 이용한 연결을 생성한다. 그림 5는 이러한 입력 및 출력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식을 벗어나 컨텍스트 정보 에 따라 annotatione] 위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것은 화면상에서의 annotation 표시 영역과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텍스트 영역을 최대한 일치시킴으로써, annotation 컨텍스트 영역을 쉽게 파악 할 수 있으며, 원본 문서의 수정이나 화면의 크기 변화 에도 annotation이 원본 문서의 컨텍스트에 일치되도록 표시되므로 문서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 따라서 각 시스템들은 대부분 자체 포맷을 이용하여 각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annotatione 저장 및 관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텍스트 기반의 annotation의 표현을 위해서 모델링에 기반한 annotation DTD를 제안한다. 이 annotation DTD는 XML에 기반하여 정의되었는데, 이는 국제 표준 형식인 XML을 사용하여 annotation의 확장성 및 호환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컨텍스트에 기반한 Annotation 모델링 의 정의를 내리고 이를 활용한 Annotation 인터페이스 구현 결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텍스트 환경의 시스템에서는 텍스트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annotation 정의가 필요할 것이며 스타일이나 그래픽 환경의 시스템에서는 텍스트 뿐 아니라 그래픽 정보도 표현할 수 있는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펜 기반 환경에서 컨텍스트에 기반한 annotation 입력 및 인식, 그리고 스타일 보정을 위한 annotation을 정의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의 [정의 1]부터 [정의 4] 를 통하여 펜 기반 환경에서 쓰이는 그래픽 annotation 유형, 전자 문서에서 annotation의 대상이 되는 컨텍스트 annotation의 기본 요소 등을 정의하고 있다, 먼저 annotation 모델은 다음과 같이 2가지 기본 요 소로 구성되며, 각 요소의 내용은 다음 [정의 1]과 같다.
  • 이것은 화면상에서의 annotation 표시 영역과 실제 사용자가 원하는 컨텍스트 영역을 최대한 일치시킴으로써, annotation 컨텍스트 영역을 쉽게 파악 할 수 있으며, 원본 문서의 수정이나 화면의 크기 변화 에도 annotation이 원본 문서의 컨텍스트에 일치되도록 표시되므로 문서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컨텍 스트에 기반한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 이에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annotation을 효과적으로 입력 및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위해 컨텍스트 기반의 annotation 모델링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펜 기반 환경에서의 annotation 모델링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활용 및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응용한 펜 기반 annotation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기존 연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구조정보 및 컨텐츠와 annotation 간의 정확한 관계를 포함한 정의를 통하여, 향후 이를 활용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 따라서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는 목적 컨텍 스트 영역을 효율적으로 파악하여 영역을 보정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적 및 구조 적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한 보정 기법을 제안한다.
  • 이에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annotation을 효과적으로 입력 및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위해 컨텍스트 기반의 annotation 모델링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펜 기반 환경에서의 annotation 모델링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활용 및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정필모, 문헌정보학원론, 구미무역(출판사), pp. 254-257, 1996 

  2. Catherine C. Marshall, Annotation: From Paper Books to Digital Library, Proceedings of the 2nd ACM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gital Libraries, Philadelphia, pp. 40-49, 1997 

  3. Ilia A. Ovsiannikov, Annot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Studies Vol.50 no.4 pp. 329-362, 1999 

  4. Catherine C. Marshall, Toward an Ecology of Hypertext Annotation, Proceedings of HyperText, ACM, Pittsburgh, pp. 1, 1998 

  5. Joo-Hwee Lim, Learning Visual Keywords for Content-Based Retrieval, Conf., IEEE, pp. 3-4, 1999 

  6. Martin Roscheisen, Christian Mogensen, Terry Winograd., Shared web annotations as a platform for third-party value-added information providers: architecture, protocols, and usage examples, Technical Report CSDTR/DLTR, 1994 

  7. Andre Meyer, Pen Computing, ACM SIGGHI, July 1995 

  8. Kenneth P. Fishkin, Anuj Gujar, Beverly L. Harrsion, Thomas P.Moran, Roy Want, 'Embodied User Interfaces for Really Direct Manipulation', Communications for the ACM, Vol. 43 No.9, pp. 75-80, September 2000 

  9. Brad A. Myers, 'Using Handhelds and PCs Together',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4, No. 11, pp. 34-38, Nov. 2001 

  10. Davis J, Huttenlocher D., http://dri.comell.ed-u/pub/davis/Annotation/annotation.html, CoNote (Annotation), 1994 

  11. CritSuite, http://crit.Org/http://crit.org/index.html 

  12. Stanford Digital Library Project, http://hci.stanford.edu/commentor 

  13. LaurentDenoue http://julie.univ-savoie.fr/labos/syscom/Laurent.Denoue, YAWAS, Oct 2000 

  14. Classroom 2000 project, http://www.cc.gatech.edu/fce/eclass/index.html 

  15. A.J. Bernheim Brushl, David Bargeron, Anoop Gupta, and JJ Cadiz, 'Robust Annotation Positioning in Digital Documents', CHI, ACM SIGCHI, p. 285-292, April 2001 

  16. Wojahn, P., Neuwirth, C., and Bullock, B. Effects of interfaces for Annotation on Communication in a Collaborative Task, Proc. of CHI '98, Los Angelels, CA, pp. 456-457, 1998 

  17. Hanmandlu, M.; Murali Mohan, K.R.; Kumar, H. 'Neural based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EEE Document Analysis and Recognition, pp. 241-244, 1999 

  18. Marcel Gotze, Magdeburg, Stefan Schlechtweg, 'The intelligent pen: toward a uniform treatment of electronic documents', Proceedings of Smart graphics, ACM, pp. 129-135,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