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식습관과 학업성취도, 주관적 건강상태 및 체격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 Between the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Physical Status of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4, 2003년, pp.627 - 635  

최정숙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  전혜경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  정금주 (농촌진흥청 농촌생활연구소) ,  남희정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습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학업성취도(수학능력평가성적), 체격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학교 1년생을 대상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 대상자수는 남자 1,030명, 여자 2,582명으로 전체 3,612명이었다. 1. 조사대상자의 가구 연평균 소득은 2000만원 미만 39.2%, 2000~3000만원 36.5%, 3000~4000만원 15.9%, 4000만원 이상 8.4%이었다. 평균신장은 남학생 173.3 cm,여학생 161.6 cm이었고 평균체중은 남학생과 여학생이 각각 65.6 kg, 53.9 kg이었다. 2. 아침을 매일 먹었다고 응답한 사람이 33.2%이었으며 반면 1주일에 한두 번 이하로 먹었다고 응답한 사람은 37.9%이었다. 건강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식사는 전체응답자의 80.6%가 아침식사라고 응답하였다. 반면 가장 맛있게 한 식사는 52.7%가 저녁이라고 응답하였다. 아침은 누구와 먹었나에 대한 질문에서 ‘혼자서 먹었다’가 전체 57.5%로 가장 높았다. 3. 아침을 먹은 장소는 87.5%가 ‘집에서’라고 응답하였으며 고등학교 아침급식의 필요성에 대하여 전체 60.8%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아침식사를 하지 못한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전체 조사자의 62.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아침식사 형태에 있어서는 한식으로 매일 한 경우가 38.4%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4.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하여 훨씬 건강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5. 아침식사를 매일 먹은 사람이 수학능력 평가점수가 가장 높았던 반면 아침을 주 2일 이하로 거의 아침을 먹지 않았다고 응답한 사람이 수학능력 평가점수가 가장 좋지 않았다. 한편 아침식사는 비만정도(BMI)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균형 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채소류와 과일, 콩류와 유제품 등을 매일 먹는 소위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로 볼 때 건강에 가장 중요한 식사라고 인식하고 있으나 결식률이 높은 아침 식사를 청소년들이 맛있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아침식사의 결식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무관하지 않음이 밝혀졌으므로 청소년의 아침결식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조사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학교 아침급식 프로그램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결식은 건강에 대한 자신감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규칙적인 식사와 1일 3식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영양교육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균형 잡힌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고 채소류와 과일, 콩류와 유제품 등을 매일 먹는 소위 식습관이 좋은 사람이 수학능력평가점수가 좋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만정도(BMI)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청소년 각자의 식습관 및 식품 섭취에 대한 관심을 고취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dietary habit and academic achievement, subjective health judgement, and physical status. The subjects consisted of freshmen in university and answered to questionnaires through the Internet.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dietary ha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 학생들의 식생활과 영양섭취 실태가 학업성취와 체력에 미치는 연구(30, 31)가 있으나, 고3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식습관과 수학능력평가성적을 조사한 연구는 아직 진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3시절의 아침식사 습관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식습관과 주관적인 건강상태, 학업성취도, 체격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아침 식 사와 올바른 식습관의 중요성 및 실천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대학 1년생을 대상으로 식습관이 학업성취도, 체격, 건강(자신이 인식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2002년 5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간 인터넷 포털사이트(Daum)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사이트에 가입된 회원 중 생년월일이 1983년 인 사람 즉 대학 1년생만 설문에 참여(접속)할 수 있도록 장치하였으며 조사 대상자 수는 남자 1, 030명, 여자 2, 582명으로 전체 3, 612명이었다.
  • 식습관은 세끼 식사의 양, 식품 배합(균형), 결식, 식품군별 섭취 정도 등 10개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식습관 점수(3 scales: 0~2점) 평가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가능한 최저점은。점, 최고점은 20점). 학업성 취도는 수학능력 평 가점 수를 조사하였 는데 수학능 력평가점수 뿐만 아니라 출신 고등학교, 재학 중인 대학교 및 학과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여 조사의 정확성 을 높이고자 하였다. 체격 관련 문항으로 신장과 체중을 조사하였으며 체 질량지수(body mass index)를 구하여 비만 정도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1)Very good=4, good=3, poor=2, very poor=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김숙희, 유춘희, 김선희, 이상선, 강명희, 장남수. 1995. 가족영양학. 신광출판사, 서울. 

  2. Kaufman, NA, Poznanski R. 1975. Eating habit and opinions of teenagers on nutrition and obesity. J Am Diet Assoc 66: 25. 

  3. Lee GS, Rhie SG. 1997. Study for relations among the dietary behavior, physical status, and the degree of study achievemen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137-47. 

  4. 보건복지부. 1999.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보고서(영양조사부문). p 264. 

  5. Hyun HJ, Lee JW, Kwak CS, Song KH. 1998. Energy value of breakfast and its relation to total daily nutrient intake and serum lipid in Korean urb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3: 368-79. 

  6.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 533-46. 

  7. Lee YN, Choi HM.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9: 1-10. 

  8. Sampson AE, Dixit S, Meyers AF, Houser R Jr. 1995. The nutritional impact of breakfast consumption on the diets of inner-city African-Americ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J Natl Med Assoc 87: 195-202. 

  9. Nicklas TA, Reger C, Myers L, O'Neil C. 2000. Breakfast consumption with and without vitamin-mineral supplement use favorably impacts daily nutrient intake of ninth-grade students. J Adolesc Health 27: 314-21. 

  10. Edelstein SL, Barrett-Connor EL, Wingard DL, Cohn BA. 1992. Increased meal frequency associated with decreased cholesterol concentration: Rancho Bernardo. CA, 1984-1987. Am J Clin Nutr 55: 664-9. 

  11. Marquez Acosta M, Sutil de Naranjo R, Rivas de Yepez CE, Rincon Silva M, Torres M, Yepez RD, Portillo Z. 2001. Influence of breakfast on cognitive functions of children from an urban area in Valencia, Venezuela. Arch Latinoam Nutr 51: 57-63. 

  12. Young EM, Fors SW. 2001. Factors related to the eating habits of students in grades 9-12. J Sch Health 71: 483-89 

  13. Rocandio AM, Ansotegui L, Arroyo M. 2000. Relationship between breakfast and obesity among school-aged children. Rev Clin Esp 200: 420-3 

  14. Ellestad-Sayed J, Haworth JC, Medovy H. 1977. Nutrition survey of schoolchildren in greater Winnipeg. I. Descriptive and anthropometric data. Can Med Assoc J 116: 490-2. 

  15. Cueto S. 2001. Breakfast and performance. Public Health Nutr 4: 1429-31. 

  16. Meyers AF, Sampson AE, Weitzman M, Rogers BL, Kayne H. 1989. School breakfast program and school performance. Am J Dis Child 143: 1234-9. 

  17. Reddan J, Wahlstrom K, Reicks M. 2002. Children's perceived benefits and barriers in relation to eating breakfast in schools with or without universal school breakfast. J Nutr Educ Behav 34: 47-52. 

  18. Murphy JM, Pagano ME, Nachmani J, Sperling P, Kane S, Kleinman RE. 1998. The relationship of school breakfast to psychosocial and academic functioning: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observations in an inner-city school sample. Arch Pediatr Adolesc Med 152: 899-907. 

  19. Powell CA, Walker SP, Chang SM, Grantham-McGregor SM. 1998. Nutrition and education: a randomized trial of the effects of breakfast in rural primary school children. Am J Clin Nutr 68: 873-9. 

  20. Richter LM, Rose C, Griesel RD. 1997. Cognitive and behavioral effects of a school breakfast. S Afr Med J 87: 93-100. 

  21. Chandler AM, Walker SP, Connolly K, Grantham-McGregor SM. 1995. School breakfast improves verbal fluency in undernourished Jamaican children. J Nutr 125: 894-900. 

  22. Vaisman N, Voet H, Akivis A, Vakil E. 1996. Effect of breakfast timing on the cognitive func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ch Pediatr Adolesc Med 150: 1089-92. 

  23. Lopez I, de Andraca I, Perales CG, Heresi E, Castillo M, Colombo M. 1993. Breakfast omiss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of normal, wasted and stunted schoolchildren. Eur J Clin Nutr 47: 533-42. 

  24. Smith AP. 1998. Breakfast and mental health. Int J Food Sci Nutr 49: 397-402. 

  25. Smith AP. 2002. Stress, breakfast cereal consumption and cortisol. Nutr Neurosci 5: 141-4. 

  26. Smith AP. 2002. Stress, breakfast cereal consumption and objective signs of upper respiratory tract illnesses. Nutr Neurosci 5: 145-8. 

  27. Kawakami N, Haratani T, Iwata N, Imanaka Y, Murata K, Araki S. 1999. Effects of mailed advice on stress reduction among employees in Japa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d Health 37: 237-42. 

  28. Ha JS, Lee HG. 1995.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food behavior on health condition and degree of study accomplishment.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 225-42. 

  29. Kim MH. 1989. Effect on school work of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girls' dietary behavior. MS Thesis. Wonkwang University. 

  30.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 215-24. 

  31. Han SS. 1997. Relations among the dietary behavior, physical status and school performance of the prim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PhD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32. You JS, Chang KJ. 1995. A study on nutrition education and eating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3: 1-12. 

  33. Nicklas TA, Myers L, Reger C, Beech B, Berenson GS. 1998. Impact of breakfast consumption on nutritional adequacy of the diets of young adults in Bogalusa, Louisiana: ethnic and gender contrasts. J Am Diet Assoc 98: 1432-8. 

  34. Choi MK, Jun YS, Kim AJ. 2001.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alcohol drinking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978-85. 

  35. Benton D, Parker PY. 1998. Breakfast, blood glucose, and cognition. Am J Clin Nutr 67: 772S-778S. 

  36. Dickie NH, Bender AE. 1982. Breakfast and performance in school children. Br J Nutr 48: 483-96. 

  37. Chung NY, Choi SN. 2002. Body mass index and food habit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 in Seoul.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05-15. 

  38. Lee SS, Oh SH. 1997. Prevalence of obesity and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wangju.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 486 

  39. Ryu YS, Kim SH. 1973. A study in every possible correlation between daily food intake and growth rate of primary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6: 103-11. 

  40. Lee WH, Kim MH, Han JS. 1986. A study of food habit & favorite food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ku. Korean J Food & Nutrition 7: 290-304. 

  41. Han SS, Kim HY, Kim WK, Oh SY, Won HS, Lee HS, Jang YA, Kim SH. 1999. The relationships among household characterics, nutrient intake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Nutr 32: 691-704. 

  42. Kim SH, Kim SH. 1983. A survey of nutritional status, physical growth and behavior of school children. Korean J Nutr 16: 253-62. 

  43. An SR, Kim KA. 1988. Relationships between the nutritional status for lunch-box, the taste of food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middle school girls in Kwangju city.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6: 53-68. 

  44. Oh SY, Gretel HP, Linsay H. 1993. Marginal malnutri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school-aged children. Korean J Nutr 26: 593-6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