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 식품자원으로부터 Prolyl Endopeptidase의 저해 효과 탐색

Screening of Prolyl Endopeptidase Inhibition from Korean Natural Foods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7, 2003년, pp.971 - 975  

이성현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생활연구소) ,  박홍주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생활연구소) ,  조용식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생활연구소) ,  정인경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촌생활연구소) ,  송경식 (경북대학교 농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에서 고령사회로,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도달하는 시간이 각각 22년과 10년으로 추정되며 선진국에 비해 진입속도가 빠를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령화인구에 따라 일상생활은 물론 지역 사회에서의 활동, 더 나아가서는 직업 활동을 할 수 없는 기억 장애현상인 노인성 치매가 더욱 문제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정신건강 관련하여 이미 이용되고 있거나 민간에서 구두로 알려진 식품 총 100종을 선정하고, 메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prolyl endopeptidase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0ppm 농도에서 도토리가 96.0%로 가장 높은 활성 저해율을 보였고, 산딸기가 92.0%, 호두가 73.0%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나머지 식품들은 56.1%인 녹차를 제외하고는 모두 50% 미만의 수준이었다. 본 연구결과 PEP에 비교적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저해제로서 도토리와 산딸기를 확인할 수 있었고, 현재까지 개발되고 보고된 합성 peptide인 PEP저해제와는 달리 천연식품이란 점에서, 앞으로 이 식품들이 항치매 예방 기작 구명에 유용하게 이용됨과 동시에 치매의 예방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natural foods with high anti-dementia effect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which have been used for mental health. We screened inhibitors of prolyl endopeptidase which could be implicated in the processing of Alzheimer's disease, the principal part of dementia. On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령화 인구에 따라 일상생활은 물론 지역사회에서의 활동, 더 나아가서는 직업활동을 할 수 없는 기억장애현상인 노인성 치매가 더욱 문제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정신 건강 관련하여 이미 이용되고 있거나 민간에서 구두로 알려진 식품 총 100종을 선정하고, 메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prolyl endopeptidase에 대한 활성 저 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40 ppm 농도에서 도토리가 96.
  • 우리나라는 약식 동원이라 하여 먹는 음식과 질병을 치료하는 약의 근본이 같다고 하였고, 특히 치 매 예방에 많은 식품들이 이용되어 왔으나 과학적인 연구결과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치 매 및 정신 건강 관련하여 이용되고 있거나 민간에서 구두로 알려진 식품 총 100종을 대상으로, 메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prolyl endopeptidase에 대한 활성 저해율을 비교함으로써 항치매 식품 및 약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민간에서 항치 매 예방을 위해 이용되어 오는 전통식품 또는 우리가 주로 섭 취하는 식품 중에서 항산화력이 높아 치 매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식품 100종에서 치매에 관련된 PEP활성 저해 효과를 탐색하였다. PEP 활성 저해 분석시 시료 농도는 많은 선행연구의 메탄올 추출물 농도(3, 18, 20)을 고려하여 40 ppm으로 하였고, 연구결과 PEP 활성 저 해율은 도토리 (9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UN. 1998. "World Population Prospects". 

  2. Cho EJ. 1999. Characteristics and vision for the elderly.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m 29: 6-16. 

  3. Lee HJ, Kim JS, Heo GY, Lee KB, Rhee IK, Song KS. 1999. Inhibitory activities of basidiomycetes on prolyl endopeptidase, acetylcholine esterase and coagul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2: 336-343. 

  4. Hardy JA. 1997. The presenility and Alzheimer's disease. TINS 20: 154-158. 

  5. Pike CJ, Walencewicz AJ, Glabe CG, Cotman CW. 1991. In vitro aging of beta-amyloid protein causes peptide aggregation and neurotoxicity. Brain Res 563: 311-314. 

  6. Katzman R. 1986. Alzheimer's Disease. N Eng J Med 314:964-973. 

  7. Selkoe DJ. 1990. Deciphering Alzheimer's Disease: the amyloid precursor protein yields new clues. Science 248: 1058-1060. 

  8. Masters CL, Simms G, Weinman NA, Multhaup G, McDonald BL, Beyreuther K. 1985. Amyloid plaque core protein in Alzheimer disease and Down syndrome. Natl Acad Sci 82: 4245-4249. 

  9. Selkoe DJ. 1991. The molecular pathology of Alzheimer's disease. Neuron 6: 487-498. 

  10. Ishiura S, Nishikawa T, Tsukahara T, Momoi T, Ito H, Suzuki K, Sugita H. 1990. Distribution of Alzheimer's disease amyloid A4-generating enzyme in rat brain tissues. Neurosci Lett 115: 329-334. 

  11. Kato A, Fukunari A, Tabira T, Shimizu T, Arahata K, Sugita HD. 1997. Prevention of amyloid-like deposition by a selective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 Y-29794, in senesceneaccelerated mouse. J Pharmacol Exp Therap 283: 328-335. 

  12. Yoshimoto T, Kado K, Matsubara F, Koriyama N, Kaneto H, Tsuru D. 1987. Specific inhibitors of prolyl endopeptidase and their anti-amnesic effect. J Pharmacobio Dyn 10: 730-735. 

  13. Toda S, Obi Y, Numata K, Hamagishi Y, Tomita K, Komiyama N, Kotake C, Furumai T, Oki T. 1992. Eurystatins A and B, new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s. I. Taxonomy, production, isol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J Antibiotics 45: 1573-1579. 

  14. Bakker AV, Jung S, Spencer RW, Vinick FJ, Faraci WS. 1990. Slow tight-binding of prolyl endopepetidase by benzyloxycarbonyl-prolyl-prolinal. Biochem J 274: 559-562. 

  15. Katsuo T, Masahiko S, Yohko I, Takako F, Kazuhiro O, Atsuhiro U. 1997. A novel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 JTP-4819, with potential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Behavioural Brain Research 83: 147-151. 

  16. Schneider JS, Giardiniere M, Morain P. 2002. Effects of the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 S 17092 on cognitive deficits in chronic low dose MPTP-treated monkeys. Neuropsychopharmacology 26: 176-182. 

  17. Aoyagi T, Wada T, Nagai M, Kojima F, Harada S, Tkeuchi T, Takahashi H, Hirokawa K, Tsumita T. 1990. Deficiency of kallikrein-like enzyme activities in cerebral tissue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Experientia 46: 94-97. 

  18. Lee HJ, Kim JH, Lee JH. 1999. Inhibitory activities of sea weeds on prolyl endopeptidase, tyrosinase and coagulation. Kor J Pharmacogn 30: 231-237. 

  19. Kim SI, Song KS. 2000. 1, 2, 3, 4, 6-pentagalloyl- $\beta$ -Dglucopyranose, A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 from moutan cortex.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3: 158-161. 

  20. Lee KH, Lee HJ, Park HI. 1997. Screening of prolyl endopeptidase 

  21. Kim JH, Kim SI, Song KS. 2001.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s 

  22. Khanom F, Kayahara H, Tadasa K. 2000. Superoxide-scavenging 

  23. Aoyagi T, Nagai M, Ogawa K, Gojima F, Okada M, Ikeda T, Hamada M, Takeuchi T. 1991. Poststatin, a new inhibitor of prolyl endopeptidase, produced by Streptomyces viridochromogens 

  24. Kimura K, Kawguchi N, Yoshihama M, Kawanishi G. 1990. Staurosporine, a prolyl endopeptidase inhibitor. Agric Biol Chem 54: 3021-3022. 

  25. Kimura K, Kanou F, Yoshihama M, Koshino H, Uramoto M. 1997a. SNA-8073-B, a new isotetracenone antibiotic inhibits prolyl endopeptidase. J Antibiotics 50: 291-296. 

  26. Kimura K, Kanou F, Takahashi H, Esumi Y, Uramoto M, Yoshihama M. 1997b. Propeptin, a new inhibitor of prolyl endopeptidase produced by microbispora. I. Fermentation, isolation and biological properties. J Antibiotics 50: 373-378. 

  27. Hwang JS, Song KS, Kim WG, Lee TH, Koshino H, Yoo 

  28. Kim S. 1999. Purification of prolyl endopeptidase from Mountan Cortex.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p 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