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된장을 이용한 식빵 제조: 1.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된장을 첨가한 식빵의 물리적 특성
Development of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Commercial Doenjangs (Korean Soybean Pastes):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enjang and Physical Properties of Bread Added with Doenja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7, 2003년, pp.1002 - 1010  

오현주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문혜경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창순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리활성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된장의 소비확대를 위하여 시판 된장을 이스트 발효 식빵 제조에 이용하고자 식빵 배합비에 7종(A; 재래식 된장, B∼E; 시판 개량식 된장, F;시판 Miso type 된장, G; Japanese Miso)의 동결건조한 된장분말을 2.5∼10.0% 첨가하여 발효력과 오븐팽창력을 관찰하고 빵품질을 물리적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사용된 시판된장 7종의 이화학적 특성치로는 일반성분을 비롯하여 아미노태질소, 총산도, 환원당, 유리당, 염도, 유기산 함량 및 단백질분산지수(PDI)를 제시하였다. 빵 배합비에 된장분말 5.0% 이하의 첨가는 오븐팽창력의 현저한 증가로 모든 된장 첨가식빵 부피가 증가하여 무첨가구에 비하여 최대 13%까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된장첨가로 기계적 조직감 측정치인 경도(hardness), 검성 (gumminess), 씹힘성(chewiness) 등이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부드러워졌고, 빵의 색은 어두워졌다. 그러므로 식빵제조에 시판된장의 사용은 빵의 물리적 품질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이때 식빵의 부피나 조직감은 된장 종류나 첨가수준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이들 처리조합의 상호작용에 의하여도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e yeast leavened pan bread using the commercial Doenjangs (Korean soybean past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oenjang products were measured such as aminonitrogen, pH, titratable acidity and salinity, reducing sugar, total free sugar, total organic aci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빵 제조에 앞서 실험에 사용되는 시중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동결 건조한 된장분말을 이스트 발효 식빵 배합비에 첨가(2.5~10.0%)하여 빵반죽의 발효력과 오븐 팽창력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고 빵의 품질을 물리적 측면에서 조사하여 된장식 빵제조에 적합한 된장 및 첨가비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된장의 섭취 증대를 위하여 국내에서 시 판되는 된장을 이스트 발효 식빵에 사용하여 새로운 건강제 빵 재료로서의 된장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식빵 제조에 앞서 실험에 사용되는 시중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동결 건조한 된장분말을 이스트 발효 식빵 배합비에 첨가(2.

가설 설정

  • 1)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s in each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s in each row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Means with the same superscripts in eachcolumn are not sgnificantly different (p<0.05).
  • 3)Values are mean = standard deviation (n-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박건영. 1997. 한국 전통발효식품(된장, 김치)의 발암안전성, 항돌연변이성, 항암 기능성. 식품과학과 산업 30: 89-102. 

  2. Wang HJ, Murphy PA. 1994. Isoflavone content in commercial soybean foods. J Agric Food Chem 42: 1666-1669. 

  3. Carroll KK, Kurowska EM. 1993. Soy consumption and cholesterol reduction. J Nutr 125: 5945-5975. 

  4. Song YS, Kwon TW. 2000. Hypocholestrolemic effect of soybean and soy products. Food Industry and Nutr 5: 36-41. 

  5. Seo BC. 2001. The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industry for globalization. Food Industry and Nutr 6: 28-33. 

  6. Seo JH, Jeong YJ.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for Doenjang using squid internal org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89-93. 

  7. 식품저널. 2002. 식품유통연감. p 104-122. 

  8. He H, Hoseney RC. 1992. Effect of quantity of wheat flour protein on bread loaf volume. Cereal Chem 69: 17-19. 

  9. Kang JH. 1999.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soy protein hydrolysate. Food Industry and Nutrition 4: 66-72. 

  10.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1.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Food Code. 

  12. Park HK, Gill B, Kim JK. 2002. Characteristics of taste components of commercial soybean paste. Food Sci Biotechnol 11: 376-379. 

  13. AOCS. 1990.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s of the AOCS. 4th ed. Am Oil Chem Sci, Champaign, IL. 

  14. AACC. 1986. Official method of the AACC.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15. Chiharu KS, Toshiko FJ, Hiroshi MS. 1999. Role of starch granules in controlling expansion of dough during baking. Cereal Chem 76: 920-924. 

  16. Jeong JH, Oh MJ. 1998. Studies of the contents of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 isoflavones in commercial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15. 

  17. Lee SK, Kim ND, Kim HJ, Park JH. 2002.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improved in colo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00-406. 

  18.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Jung ST. 2000. Fermentation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65-1370. 

  19. Lee KS, Chung DH. 1973. Effects of Bacillus natto on the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2-18. 

  20.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21. Jung SW, Koo MS, Kim YS. 199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for Doenjang prepared with rice. Agric Chem Biotechnol 37: 266-271. 

  22. Park JS, Lee MY, Lee TS. 1995. Compositions of sugars and fatty acids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J Korean Soc Food Nutr 24: 917-924. 

  23. Seo JS, Lee TS, Shin DB. 2001.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amjang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82-387. 

  24. Joo HK, Oh KT, Kim DH. 1922. Effects of mixture of improved Meju, Korean traditional Meju and Natto on soybean paste fermentation.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35: 286-293. 

  25. Pyler EJ. 1988. Miscellaneous flours.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 3rd ed. Sosland Pub Co., Marriam, KS. Vol I, p 402-404. 

  26. Pyler EJ. 1988. Sugar and syrups.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 3rd ed. Sosland Pub Co., Marriam, KS. Vol I, p 412-441. 

  27. Pyler EJ. 1988. Dough fermentation.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 3rd ed. Sosland Pub Co., Marriam, KS. Vol II, p 635. 

  28. Eliasson AC, Larsson K. 1993. Dough and bread. In Cereals in Breadmaking. Marcel Dekker Inc., New York. p 261-325 

  29. Pyler EJ. 1988. Bakery shortening. In Baking Science and Technol. 3rd ed. Sosland Pub Co., Marriam, KS. Vol I, p 443-493. 

  30. Finney KF. 1984. An optimized, straight-dough, bread-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 61: 20-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