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토산 첨가 순무피클 저장 중 이화학적 .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Add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302 - 1309  

손은정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오상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옥순 (대전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김미리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순무피클 저장 중 조직감과 색상을 개선하고자 키토산과 비트 물추출물을 첨가한 순무 피클을 제조하여 저장(2$0^{\circ}C$, 35일)하면서 경시적으로 이화학적ㆍ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키토산을 첨가한 피클이 키토산을 첨가하지 않은 피클에 비해 pH는 높았고, 산도는 낮았으나, 염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환원당안토시아닌 함량은 순무피클의 종류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색상은 비트 물추출물과 키토산을 함께 첨가한 피클(CBC)은 대조군(C) 및 키토산만 첨가한 피클(CC)에 비해 Hunter의 L값은 낮았으나 a값이 다른 두시료에 비해 저장 전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직감 특성 (texture profile analysis)에서 키토산을 첨가한 순무 피클 CC와 CBC는 대조군 C에 비하여 경도가 저장 28일까지도 높았는데 이같은 경향은 관능검사(10인의 패널요원, unstructured scale, 10점 만점) 결과에서와 일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세종류의 피클 모두 저장 14일에 최고점수를 나타내었으며, 이 시기에 키토산 첨가 순무피클 CC는 7.8점, 키토산과 비트 물추출물 첨가 순무피클 CBC는 8.4점으로 대조군 C의 6.1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순무피클 제조시 키토산과 비트 물추출물 첨가시 조직감과 색상이 향상되었으며, 또한 저장기간도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s added with chitosan and/or beet water extract were investigated. Turnip root slices (4${\times}$1${\times}$0.5 cm) were salted with NaCl and CaCl$_2$, soaked into pickling solution, and then stored at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시적으로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키토산을 첨 가한 피클이 키 토산을 첨가하지 않은 피클에 비해 pH는 높았고, 산도는 낮았으나, 염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환원당 및 안토시 아닌 함량은 순무피 클의 종류간에 유의적 인 차이가 없었다.
  • 또한, 순무는 항 발암 해독 효소의 유도효과가 높고(16), 안토시아닌이 함유되어 생리활성이 높으므로(17), 피클로 가공 시 일상식생활에서 이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보(18)에서 순무 피클 저장 시 질감이 연화되는 현상과 자색이 퇴색되어 외관이나 빠졌으므로 순무피클의 조직감과 색상을 개선하고자 본연구에서 는 순무피 클 제 조 시 키 토산과 비 트 물추줄물을 첨가한 피클을 제조하여 저장 중 이화학적, 관능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Van Buren JP. 1979. The chemistry of texture in fruits and vegetables. J Texture Studies 10: 1-23. 

  2. Demain AL, Phaff HJ. 1957. Softening of cucumbers during curing. J Agric Food Chem 5: 60-64. 

  3. Mcfeeters RF, Fleming HP, Thompson RL. 1985. Pectinesterase activity pectin methyl methylation and texture changes during storage of blanched cucumber slices. J Food Sci 50: 201-205. 

  4. Fleming HP, Mcfeeters RF, Thompson RL. 1987. Effects of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 on firmness retention of cucumbers fermented and stored with calcium chloride. J Food Sci 52: 653-657. 

  5. Fleming HP, Thompson RL, Mcfeeters RF. 1996. Assuring microbial and textural stability of fermented cucumbers by pH adjustment and sodium benzoate addition. J Food Sci 61: 832-836. 

  6. Jeon YJ, Kim SK. 1997. Antitumor antibacterial and calcium absorption acceleration effects of chitosan oligosaccharides prepared by using ultrafilteration membrane enzyme reactor. Korean J Chitin Chitosan 2: 60-78. 

  7. Kim SK, Lee EH. 1997. Food industrial applications of chitin and chitosan Korean J Chitin Chitosan 2: 43-59. 

  8. Ryu BH. 1992. Antitumor and immunologic activity of chitosan extracted from shell of shrimp. J Korean Soc Food Nutr 21: 154-162. 

  9. Wang GH. 1992. Inhibition and inactivation of five species of foodborne pathogens by chitosan. J Food Protection 55: 916-921. 

  10. Kim KO, Kang HJ. 1994.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itosans produced from shrimp shell under the different conditions and their influences on the properties of Kakdugi during storage. Korean J Dietary Culture 9: 71-77. 

  11. Rhee HS, Lee GJ. 1994. Effect of treatment and chitosan addition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Korean radish during salting. Korean J Dietary Culture 9: 53-59. 

  12. Kim KO, Moon HA, Jeon DW. 1995. The effect of low weight chitosans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in Kor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420-427. 

  13. No HK, Park IK, Kim SD. 1995.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by addition of chitosan during salting. J Korean Soc Food Nutr 24: 932-936. 

  14. Son YM, Kim KO, Jeon DW, Kyung KH. 1997. The effect of low molecular weight chitosan with and without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ol 28: 888-896 

  15. Lee SH, Cho OK. 1998. The effec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Glycyrrhiza uranlensis and chitosan on shelf-life of Kimchi. Korean Soc Food Nutr 30: 1367-1372. 

  16. Kim MR, Lee KJ, Kim YB, Sok DE. 1997. Induction of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in mice administered with vegetable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 207-213. 

  17. Park YK, Kim HM, Park MW, Kim SR, Choi IW. 1999.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turnip.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333-341. 

  18. Oh SH, Oh YK, Park HH, Kim MR.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urnip pickle prepared with different pickling spice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 347-353.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Virginia. p 918. 

  20. Forni E, Polesello A, Torreggiani D. 1993. Changes in anthocyanins in cherries (Prunus avium) during osmodehydration, pasteurization and storage. Food Chemistry 48: 295-299. 

  21. Larmond E. 1970. Methods for sensory evaluation of foods. Canada Department of Agriculture. 

  22. Steel RGD, Torrie JH. 1960. Principle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McGraw-Hill, New York, NY. 

  23. Fleming HP, McFeeter RF, Daeschel MA, Humphries EG, Thompson RL. 1998. Fermentation of cucumbers in anaerocic tanks. J Food Sci 53: 127-133. 

  24. Fleming HP, Etchells JL, Thompson RL, Bell TA. 1975. Purging of $CO_2$ from cucumber brines to reduce bloater damage. J Food Sci 40: 1304-1310. 

  25. Der PW, Huang CB, Chi CP. 1988. Desalination of the spent brine from pickled prunes processing by electrodialysis. J Food Sci 53: 134-137. 

  26. Huang AS, von Elbe JH. 1987. Effect of pH on the degradation and regeneration of betanine. J Food Sci 52: 1689-1693. 

  27. Park MW, Park YK, Jang MS. 1994. Change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pickled cucumber with different preparation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 634-640. 

  28. Park MW, Park YK. 1998. Changes of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Oiji (Korean pickled cucumber) prepared with different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419-424. 

  29. Kim JG, Choi HS, Kim SS, Kim WJ. 1989.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21: 838-844. 

  30. Choi HS, Kim JG, Kim WJ. 1989. Effect of heat treatment on some qualities of Korean pickled cucumber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21: 845-849. 

  31. Kawahara A, Sawayama S. 1973. A study on the content of pectic substances in vegetables. J Japan Nutr 31: 32-36 

  32. Palma-Harris C, Mcfeeters RF, Fleming HP. 2002. Fresh cucumber flavor in refrigerated pickles. Comparison of sensory and instrumental analysis. J Agric Food Chem 50: 4875-4877. 

  33. Zhou A, Mcfeeters RF, Fleming HP. 2000. Development of oxidized odor and volatile aldehydes in fermented cucumber tissue exposed to oxygen. J Agric Food Chem 48: 193-1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