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 상용식품 중 30종류 식품의 망간 함량 분석

Analysis of Manganese Contents in 30 Korean Common Foods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2 no.8, 2003년, pp.1408 - 1413  

최미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골격 건강과 동시에 항산화 기능을 하는 망간은 우리나라 국민에게 그 영양이 강조되어야 하며, 다양한 영양평가나 관련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일상 식품 중 망간함량에 대한 분석자료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 건강ㆍ영양조사에서 전체 식품 섭취량의 77%에 이르는 섭취 량을 보여 다소비 식품으로 조사된 30 종류의 식품 중 망간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소비 식품 순위별로 망간 함량을 분석하였을 때, 가식부 100g당 망간 함량은 쌀은 949.6 $\mu\textrm{g}$이었으며, 배추김치 236.1 $\mu\textrm{g}$, 굴 27.2 $\mu\textrm{g}$, 우유 2.6 $\mu\textrm{g}$, 무 214.6 $\mu\textrm{g}$, 사과 40.0$\mu\textrm{g}$, 감 60.4 $\mu\textrm{g}$, 돼지고기 13.9 $\mu\textrm{g}$, 쇠고기 9.50$\mu\textrm{g}$, 두부 638.3 $\mu\textrm{g}$, 무김치 184.0 $\mu\textrm{g}$, 배 56.0$\mu\textrm{g}$, 맥주 18.4$\mu\textrm{g}$, 계란 11.3 $\mu\textrm{g}$, 탄산음료 9.5 $\mu\textrm{g}$, 빵 345.0 $\mu\textrm{g}$, 소주 50.7 $\mu\textrm{g}$, 감자 270.3 $\mu\textrm{g}$, 고구마 236.1 $\mu\textrm{g}$, 라면 91.2 $\mu\textrm{g}$, 양파 32.5$\mu\textrm{g}$, 물김치 58.0 $\mu\textrm{g}$, 콩나물 538.2 $\mu\textrm{g}$, 파 112.5 $\mu\textrm{g}$, 떡 336.7 $\mu\textrm{g}$, 배추 589.9 $\mu\textrm{g}$, 국수 430.4 $\mu\textrm{g}$, 호박 144.3 $\mu\textrm{g}$, 요구르트 3.0 $\mu\textrm{g}$, 시금치는 614.4 $\mu\textrm{g}$이었다 1998년도 국민 건강ㆍ영양조사에서 보고된 다소비 식품의 섭취량에 따라 망간 섭취량을 산출하였을 때 하루 동안 쌀을 통해서 는 2330.3 $\mu\textrm{g}$을 섭취하였으며, 배추김치 197.9 $\mu\textrm{g}$, 귤 19.9 $\mu\textrm{g}$, 우유 1.8 $\mu\textrm{g}$, 무 86.9 $\mu\textrm{g}$, 사과 16.0 $\mu\textrm{g}$, 감 24.0 $\mu\textrm{g}$, 돼지고기 3.9 $\mu\textrm{g}$, 쇠고기 2.5 $\mu\textrm{g}$, 두부 155.1 $\mu\textrm{g}$, 무김치 44.7 $\mu\textrm{g}$, 배 13.1 $\mu\textrm{g}$, 맥주 4.1 $\mu\textrm{g}$, 계란 2.5 $\mu\textrm{g}$, 탄산음료 2.1 $\mu\textrm{g}$, 빵 63.5 $\mu\textrm{g}$, 소주 8.7 $\mu\textrm{g}$, 감자 44.6 $\mu\textrm{g}$, 고구마 38.3 $\mu\textrm{g}$, 라면 14.4 $\mu\textrm{g}$, 양파 4.8 $\mu\textrm{g}$, 물김치 9.2 $\mu\textrm{g}$,콩나물 72.1 $\mu\textrm{g}$, 파 14.9 $\mu\textrm{g}$, 떡 43.8 $\mu\textrm{g}$, 배추 75.5 $\mu\textrm{g}$, 국수 31.2 $\mu\textrm{g}$, 호박 15.6 $\mu\textrm{g}$, 요구르트 0.3 $\mu\textrm{g}$, 시금치를 통해서 는 59.0 $\mu\textrm{g}$ 섭취하였다. 이와 같은 30가지 다소비 식품을 통해 섭취한 1일 망간 섭취량은 3420.7 $\mu\textrm{g}$이었다. 30가지 다소비 식품에서 가식부 100 g당 망간 함량이 높은 식품은 쌀, 두부, 시금치, 배추, 콩나물, 국수, 빵, 떡, 감자, 배추김치, 고구마, 무, 무김치, 호박, 파, 라면, 물김치, 감, 배, 소주, 사과, 양파, 귤, 맥주, 돼지고기, 계란, 쇠고기, 탄산음료, 요구르트, 우유 순이었다. 30가지의 식품 중 가식부 100 g당 100 $\mu\textrm{g}$ 이상의 망간을 함유하고 있는 식품은 쌀 두부, 시금치 등 총 15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manganese contents of Korean common foods. Contents of manganese in 30 foods were analyzed by ICP spectrometer. And daily manganese intake through 30 common foods was calculated using analysis data of this study and daily food intakes cited from report on 1998 n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 건강. 영양조사(7)에서 전체 식품 섭취량의 77%에 이르는 섭취량을 보여 다소비 식품으로 조사된 30종류의 식품 중 망간 함량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민 건강. 영양조사(7)에서 전체 식품 섭취량의 77%에 이르는 섭취량을 보여 다소비 식품으로 조사된 30종류의 식품 중 망간 함량을 분석하였다.
  • 건강. 영양조사(7)에서 보고된 다소비 식품의 1일 섭취량을 고려 하여 망간 섭 취 량이 높은 순위 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쌀, 배추김 礼 두부, 무, 배추, 콩나물, 빵, 시금礼 국수, 무김 礼 감자, 떡, 고구마, 감, 귤, 사과, 호박, 파, 라면, 배, 물김치, 소주, 양파, 맥주, 돼지고기, 쇠고기, 계란, 탄산음료, 우유, 요구르트 순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 7th revision. Chungang Munwha, Seoul. 

  2.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6th revision. Sanglocksa, Seoul. 

  3.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0. Database of Nutrient Analysis Data in Food.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4. Barceloux DG. 1999. Manganese. J Toxicol Clin Toxicol 37: 293-307. 

  5. Brock AA, Champman SA, Ulman EA, Wu G. 1994. Dietary manganese deficiency decreases rat hepatic arginase activity. J Nutr 124: 340-344. 

  6. Malecki EA, Huttner DL, Greger JL. 1994. Manganese status, gut endogenous losses of manganese,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rats fed varying levels of manganese and fat. Biol Trace Elem Res 42: 17-29.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999.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 81. 

  8. USDA. 2003. USDA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15. USDA, USA. 

  9. 鈴木表夫. 1993. 食品微量元素含量表. 第一出版, 東京. 

  10. Souci SW, Fachmann W, Kraut H. 2000. Food Composition and Nutrients Tables. Medpharm Scientific Publishers, Stuttgart. 

  11. Sung CJ, Yoon YH. 2000. The study of Zn, Cu, Mn, Ni contents of serum, hair, nail and urin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99-105. 

  12. McLeod BE, Robinson ME. 1972. Metabolic balance of manganese in young women. Br J Nutr 27: 221-232. 

  13. Patterson KY, Holbrook JT, Bodner JE, Kelsay JL, Smith JC Jr, Veillon C. 1984. Zinc, copper, and manganese intake and balance for adults consuming self-selected diets. Am J Clin Nutr 40: 1397-1403. 

  14. Greger JL, Davis CD, Suttie JW, Lyle BJ. 1990. Intake, serum concentrations, and urinary excretion of manganese by adult males. Am J Clin Nutr 51: 457-461. 

  15. Freeland-Greves J. 1994. Derivation of manganese estimated safe and adequate daily dietary intakes. In Risk Assessment of Essential Elements. Mertz W, Abernathy CO, Olin SS, eds. ILSI Press, Washington, DC. p 237-252. 

  16. Gibson RS. 1994. Content and bioavailability of trace elements in vegetarian diets. Am J Clin Nutr 59: 1223S-1232S.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 2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