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간호사의 실무 적응 경험
The Male Nurses′ Experiences of Adaptation in Clinical Setting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3 no.1, 2003년, pp.17 - 25  

손행미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고문희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  김춘미 (여주대학 간호과) ,  문진하 (여주대학 간호과) ,  이명선 (서울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ied the male nurses' encounter in adapting themselves in the hospital settings dominated by the female nurses in number.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of 16 male nurses and analys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총 12회의 그룹 토의를 통해 공동 연구원 개개인의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을 서로 공유하였고 자료수집과 분석 시 문제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의견을 수렴하여 전체 수집된 자료가 포화되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유지하기 위해 충분한 토론을 거쳐 면담 질문 구성과 면담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공동 연구자 서로의 자료수집 상황을 파악함으로써 자료 수집상의 오차를 최대로 줄이고자 하였다. 또한 자료 분석 시에도 그룹 토의를 거쳐 공동 연구자 전원의 합의 하에 개념과 관련성을 발견하였고 핵심범주를 도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남자 간호사들이 간호직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고 있으며 이들의 경험 속에 비추어지고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남자 간호사들의 실무 적응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이들의 특성과 능력을 간호 전문직 발전에 기여하도록 통합시키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간호직은 남을 도울 수 있으며 베풀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에 직업에 있어서 성을 구분 짓고 귀천을 따지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을 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은 여느 직장인과 마찬가지로 직업인으로 직장에서 최선을 다 하는 자세로 열심히 일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근거이론방법론을 적용하여 남자 간호사의 실무적응 경험에 대한 기본 사회화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실체이론을 생성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종합병원과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16명의 남자 간호사들이었고 연구 질문은 '실무에서 일하는 동안 남자 간호사로서 특별히 경험하고 있는 것이나 느낌에 대해서 말씀해 주세요'이었다.
  • 생성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종합병원과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16명의 남자 간호사들이었고 연구 질문은 '실무에서 일하는 동안 남자 간호사로서 특별히 경험하고 있는 것이나 느낌에 대해서 말씀해 주세요'이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이론방법론을 이용하여 남자 간호사의 임상 실무 적응에 대한 심층 경험의 의미체계를 파악하여 실체이론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그래서 몇몇 참여자들은 '저는 끝까지 환자 봐 야죠 그래야 좀 더 전문가가 되는 것 아니겠어요?'라고 말함으로써 간호 현장에서 끝까지 환자와 함께 하는 간호를 실천하겠다는 자신의 철학을 밝혔다. 참여자들은 환자를 비롯한 주변인들에게 자신은 간호사 아무개이고 어떤 일을 한다는 것을 당당하고 떳떳하게 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Z2런차원에서, 종 ;2적인 차윈에서 가:호학으 선택하게 탰어亿.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ustin, A. (1977). Sex and Gender in the Future of Nursing. Nursing Times, 73, 113-116 

  2. Boughn, S. (2001). Why women and men choose nursing. Nursing & Health Care Perspectives, 22(1), 14-19 

  3. Cornin, J. M. (2000). 2000 workshop : Grounded theory approach. International institute for qualitative methodology. Korea qualitative research center 

  4. Cyr, J. P. (1992). Male in Nursing. Nursing management, 23(7), 54-55 

  5. Evans, J. (1997). Men in nursing: issues of gender segregation and hidden advantage. J Adv Nurs, 26, 226-231 

  6. Gilloran, A. (1995). Gender differences in care delivery and supervisory relationship: the case of psychogeriatric nursing. J Adv Nurs, 21(4), 652-658 

  7. Glaser, B. (1978). Theoretical sensitivity. Mill Valley, CA:The Sociology press 

  8. Haywood, M. (1994). Male order. Nursing Times, 90(20), 52 

  9. Hugman, R. (1991). Power in the Caring Professions Macmillan 

  10. Kim, B. S., Ryu, E. J., Kim, M. H., Chung, H. K., Song, M. S., & Choi, J. S. (1999).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nurses socialization process in the hospital setting. J Koeran Acad Nurs, 29(2), 393-404 

  11. Koh, H. J., Jeong, G. H. (1999). Sexual Discrmination Towards Female Nurses in the Male Dominated Hospital Environment. J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ing, 5(3), 265-276 

  12. Krammer, M. & Schmalenberg, C. E. (1976). Dreams and Reality: Where do the meet. J Jurs Adm, 1(6), 35-43 

  13. MacDougall, G. (1997). Caring--a masculine perspective. J Adv Nur, 25(4), 809-813 

  14. Mason, P. (1991). Jobs for the boys. Nursing times, 87(7), 35-37 

  15. Ratcliffe, P. (1996). Gender differences in career progress in nursing: towsrds a non-essentialist structural theory. J Adv Nurs, 23(2), 389-395 

  16. Son, H. M., Koh, M. H., Kim, C. M., & Moon, J. H. (2001). The clinical experiences of adaptation as new nursing staff. J Korean Acad Nurs, 31(6), 988-997 

  17.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CA:SAGE 

  18. Sweet, S. J. (1995). The nurse-doctor relationship : a selective literature review. J Adv Nurs, 22, 165-170 

  19. Tak, J. K. (1995). Occupational Sex Stereotypes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 Differences based on Sex, Sex-role Type, and Cultur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1), 161-174 

  20. Water, K., Postic, M., Durocher, S., Fonker, H., & Brenner, B. (1999). Feedback : Men in nursing. J Adv Nurs, 29(2), 523 

  21. Williams, C. (1995). Hidden advantage for men in nursing.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19(2), 6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