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돋보기에서 FE까지 현미경의 변천사 - 생명과학적 관점에서 -
History of Microscope from the Magnifying Glass to the Field Emission Electron Microscope 원문보기

한국전자현미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lectron microscopy, v.33 no.2, 2003년, pp.93 - 104  

박창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자현미경실) ,  염미정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전자현미경실) ,  엄창섭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해부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고에서는 유리의 확대력 발견으로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전자현미경과 관련된 중요한 이론 및 개발 과정들을 시대별로 검토하였다. Jansen에 의한 최초의 광학현미경 제작으로부터, 분해능의 한계를 해결하려는 노력들, 짧은 광원을 찾는 노력, 그리고 보다 양질의 해상력과 확대력을 얻으려는 여러 과학자들의 부단한 노력들을 특히 전자현미경 원리 및 TEM과 SEM의 초기 개발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생명과학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아울러 우리나라의 전자현미경 도입 과정을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ce the Ptolemaeos' discovery that glass has magnifying power, human desire to see the unseen with naked eyes has lead to the inventions of a series of microscopes. Since the Janssen's first compound microscope in 1595, through the Abbe's non-aberration microscopy, various microscopes using diff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기에서는 전자현미경 이 우리나라에 도입된 현황을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최초의 전자현미경은 1956년에 도입된 Hitachi사의 HM- 3로 알려져 왔다(So & Uhm, 1997; Kim, 2002).
  • 수많은 과학자들의 꿈과 노력의 결과는 현재 전계방사형 전자현미경 (FE-EM)의 등장까지 이 어져 왔으며 앞으로 더 우수한 양질의 현미경의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긑에서 저자들은 생명과학적 관점에서 광학현미경으로부터 전자현미경 개발에 이르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과 개발에 이용된 이론들을 시대별로 살펴봄으로써 전자현미경을 사용하는 분들에게 역사적발 달 과정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현미경의 개략적인 원리를 파악하게 하고 나아가 전자현미경의 활용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e Broglie L: The wave nature of the electron. Nobel lecture, 1929 

  2. Inomata H: The 50 years of Hitachi Electron Microscope. Hitachi Co, Nab City, Japan, pp. 8 175, 1997 

  3. Kim WK: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In: Science Researches in Korea, Korean Academy of Sciences, Seoul, Korea, pp. 103 112, 2002, (Korean) 

  4. Marton L: Electron Microscopy of Biological Objects, Nature 133: 911, 1934 

  5. Meek GA: Practical Electron Microscopy for Biologists, A Wiley Iterscience Publication, London, pp, 36 42, 1976 

  6. McMullan 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1928-1965, Scanning 17 : 175 185,1995 

  7. Oatley CW: The early history of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J Appl Phys 53 : R1 R13,1982 

  8. Pease RFW, Nixon WC: High resolut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 Sci Instrwn 42: 31 35,1965 

  9. Publication Committe: Half Century of Hitachi Electron Microscpes, Hitachi, Naka City, Japan, 1997, (Japanese) 

  10. Ruska E: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 microscope and of electron microscopy, Nobel lecture, 1986 

  11. Smith KCA, Oatley CW: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its fields of application, Br J Appl Phys 6 : 391 399, 1955 

  12. So IY, Uhm CS: Celebration Committee for 30th Anniversary of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Brief History of 30 Years of the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Korean J Electron Microscopy 27(4) : 519 526, 1997. (Korean) 

  13. Thomson JJ: Caniers of negative electricity, Nobel lecture, 1906 

  14. Wischnitzer S: Introduction to Electron Microscopy, Pergamon Press, New York, pp, 6 14, 1989 

  15. Zworykin VK, Hillier J, Snyder RL: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STM Bull 117 : 15 23,19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