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의 자가평가 건강수준 측정도구(KHP 1.0) 개발

A Trial for Development of Health Profile (KHP 1.0) to Measure the Self-Perceived Health Status of Korean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6 no.1, 2003년, pp.11 - 23  

양진선 (부산광역시 보건위생과) ,  전진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1990s has seen advances in the conceptualization of self-perceived health status which has important roles for individual health and the quality of life. Many types of standardized questionnaires have been developed with the current wide use of SF-36, NHP, andEuroQol. However, the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자가평가 건강수준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중년층을 대상으로 분석함으로써 자가평가 건강수준 측정 도구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연구 결과 KHP 1.
  • 하지만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자가평가 건강수준 측정 도구는 현재까지 개발된 바 없다. 이 연구는 기존의 도구를 근거로 한국인의 건강수준 평가의 표준화작업을 위해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자가평가 건강수준 측정도구 개발(KHP 1.0)을 시도한 것이다.
  • 이 연구는 이미 자가평가 건강수준 즉 정도구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SF-36,NHP, EuroQol, DUKE Health Profile (DUKE) [31, 32], Sickness Impact Profile (SIP) [33], CPH-42 등을 근거로하여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국인의 자가평가 건강수준 측정도구(Korean Health Profile 1.0, KHP 1.0) 개발과 국내 표준화를 시도한 것이다.
  • 하지만 지 역적, 문화적,정서적 배 경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하는 단점과 더 욱이 이들 외국어로 제작된 도구를 단순 히 한글로 번역하여 적용하는데 대한 신 뢰도와 타당도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 다 [27-29], 즉 건강수준 측정도구는 지역 과 대상의 특성에 맞게 개발되어야 하나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일반 성인의 자 가평가 건강수준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이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연구자는 건강 수준 평가의 국내 표준화 작업을 목표로 한국인을 위한 자가평가 건강수준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미 개발된 국외의 여러 도구들을 평가하는 문헌 고찰연구를 한 바 있다. [30],

가설 설정

  • KHP 1.0을 구성하는 22개 문항은 9개항목으로 구성되고, 이 9개 항목은 다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영역이 구성 문항 총 분산(total variance)을 대부분 설명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통증의 3개 항목은 신체적 건강분야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지만 정신적 건강분야와는 상관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 KHP 1.0의 구성에 대한 가정은 psy chometric validity와 임상적 타당도로 평가하였다.
  • d: F for mental disorder(SDS score of 50+) versus healthy.
  • 반면 사회적 고립감, 수면, 정서적 역할 제한, 정서적 건강의 4개 항목은 정신적 건강분야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지만, 신체적 건강 분야와는 상관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임상적 타당도(clinical validity) 평가시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통증의 3개 항목은 신체적 질병 유무를 구분하는 데는 유용하나 정신적 장애 유무와 중증도구 분에는 유용하지 못할 것이며, 반대로 사회적 고립감, 수면, 정서적 역할 제한, 정서적 건강의 4개 항목은 정신적 장애 유무를 구분하는데 유용하나, 신체적 질병의 유무와 중증도 구분에는 유용하지 못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전반적 건강과 활력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두 영역 모두와 약한 상관을 지닐 것으로 가정하였다 (Table 2).
  • 세부적으로는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통증의 3개 항목은 신체적 건강분야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지만 정신적 건강분야와는 상관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사회적 고립감, 수면, 정서적 역할 제한, 정서적 건강의 4개 항목은 정신적 건강분야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지만, 신체적 건강 분야와는 상관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임상적 타당도(clinical validity) 평가시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통증의 3개 항목은 신체적 질병 유무를 구분하는 데는 유용하나 정신적 장애 유무와 중증도구 분에는 유용하지 못할 것이며, 반대로 사회적 고립감, 수면, 정서적 역할 제한, 정서적 건강의 4개 항목은 정신적 장애 유무를 구분하는데 유용하나, 신체적 질병의 유무와 중증도 구분에는 유용하지 못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 또한 측정-재측정 신뢰도 평가를 위하여 상관분석과 상관계수만으로는 두 조사의 방향성을 알 수 없는약점을 보완하고자 paired t-test를 시 행하였다. 성, 교육수준, 경제적 수준에 따른 KHP 1.0의 항목별 건강수준은 분산분석으로 비교하였으며 전술한 가정은 psychometric validity와 임상적 타당도로 평가하였다.
  • 0을 구성하는 22개 문항은 9개항목으로 구성되고, 이 9개 항목은 다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영역이 구성 문항 총 분산(total variance)을 대부분 설명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세부적으로는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통증의 3개 항목은 신체적 건강분야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지만 정신적 건강분야와는 상관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사회적 고립감, 수면, 정서적 역할 제한, 정서적 건강의 4개 항목은 정신적 건강분야와는 높은 상관을 가지지만, 신체적 건강 분야와는 상관이 낮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 또한 임상적 타당도(clinical validity) 평가시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제한, 통증의 3개 항목은 신체적 질병 유무를 구분하는 데는 유용하나 정신적 장애 유무와 중증도구 분에는 유용하지 못할 것이며, 반대로 사회적 고립감, 수면, 정서적 역할 제한, 정서적 건강의 4개 항목은 정신적 장애 유무를 구분하는데 유용하나, 신체적 질병의 유무와 중증도 구분에는 유용하지 못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전반적 건강과 활력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두 영역 모두와 약한 상관을 지닐 것으로 가정하였다 (Table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Hall JA, Epstein AM, McNeil BJ. Multidimensionality of health status in an elderly population. Construct validity of a measurement battery. Med Care 1989; 27(3 Suppl): 168-177 

  2. Ware JE, Comments on the Use of Health Status Assessment in Clinical Settings, Med Care 1992; 30(5), Supplement 

  3. Krause NM, Jay GM. What do global selfrated health items measure? Med Care 1994; 32(9): 930-942 

  4. URL:http://www.st-36.com 

  5. Hunt SM, McKenna SP, McEwen J, Backett EM, Williams J, Papp E. A quantitative approach to perceived health status: a validation stud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80; 34(4): 281-286 

  6. Jenkinson C. Why are we weighting?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use of item weights in a health status measure. Soc Sci Med 1991; 32(12): 1413-1416 

  7. Jenkinson C, Fitzpatrick R, ArgyleM. The Nottingham Health Profile: an analysis of its sensitivity in differentiating illness groups. Soc Sci Med 1988; 27(12): 1411-1414 

  8. Landgraf JM, Nelson EC. Summaryof the WONCA/COOP International Health Assessment Field Trial. The Dartmouth COOP Primary Care Network. Aust Fam Physician 1992; 21(3): 255-7, 260-2, 266-269 

  9. Ware JE. Measuring patients' views: the optimum outcome measure. BMJ 1993 ; 29; 306(6890): 1429-1430 

  10. McHorney CA, Ware JE Jr, Raczek AE.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I. Psychometric and clinical tests of validity in measur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structs. Med Care 1993; 31(3): 247-263 

  11. Ware JE Jr , Hays RD. Methods for measuring patient satisfaction with specific medical encounters. Med Care 1988; 26(4): 393-402 

  12. Gandek B, Ware JE Jr, Aaronson NK, Alonso J, Apolone G, BjornerJ, BrazierJ, Bullinger M, FukuharaS, KaasaS, Leplege A, Sullivan M.Testsof data quality,scaling assumptions, and reliability of the SF-36 in eleven countries: results from the IQOLA Project. International Quality of Life Assessment 

  13. McHorney CA, Ware JE Jr.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alternate form general mental health scale for the Medical Outcomes Study Short-Form 36-Item Health Survey. Med Care 1995; 33(1): 1528 

  14. McHorney CA, Ware JE Jr, Raczek AE.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I. Psychometric and clinical tests of validity in measur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constructs. Med Care 1993; 31(3):247-263 

  15. McHorney CA, Ware JE Jr, Rogers W, Raczek AE, Lu JF. The validity and relative precision of MOS short- and longform health status scales and Dartmouth COOP charts. Results from the Medical Outcomes Study. Med Care 1992; 30(5 Suppl): MS253-265 

  16. Ware JE Jr, Kosinski M, Bayliss MS, McHorney CA, Rogers WH, Raczek A.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scoringand statistical analysis of SF-36 health profile and summary measures: summary of results from the Medical Outcomes Study. Med Care 1995 Apr; 33(4 Suppl): AS264-279 

  17. Ware JE Jr, Kosinski M, Bayliss MS, McHorney CA, Rogers WH, Raczek A. Comparison of methods for the scoringand statistical analysis of SF-36 health profile and summary measures: Med Care 1995; 33(4Suppl): AS264-279 

  18. Ferketich SL, Figueredo AJ, Knapp TR. The multitrait-multimethod approach to construct validity. Res Nurs Health 1991; 14(4): 315-320 

  19. Lowe NK, Ryan-Wenger NM. Beyond Campbell and Fiske: assessment of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s Nurs Health 1992 Feb; 15(1):67-75. Review 

  20. Ware JE Jr, Sherbourne CD. The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selection. MedCare 1992 Jun; 30(6):473-483 

  21. The EuroQol Group, EuroQol--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990 Dec; 16(3): 199-208 

  22. Carr-Hill RA. Healthrelated qualityof life measurement--Euro style. Health Policy 1992; 20(3): 321-8;discussion 329-332 

  23. Dolan P. Search for a critical appraisal of EuroQol: a response by the EuroQol group to Gafni and Birch. Health Policy 1994; 28(1): 676-679 

  24. Dorman PJ, Waddell F, Slattery J, Dennis M, Sandercock P. Is the EuroQol a valid measure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Stroke. 1997 Oct; 28(10): 1876-1882 

  25. Fielding R, Li J. Avalidation ofthe concept of current perceived health and the Current Perceived Health-42 (CPH-42) questionnaire. Qual Life Res 1997; 6(1): 35-42 

  26. Li J, Fielding R. The measurement of current perceived health among Chinese people in Guangzhou and Hong Kong, southern China. Qual Life Res 1995; 4(3): 271-278 

  27. Ho Seong Moon, Seung Yong Shin, Yeon Su Lee, Ki Woo Kwak. Effectiveness of Korean Version of the Nottingham Health Profile. J Korean Acad Fam Med 1993; 14(11): 699-708 (Korean) 

  28. Sang Baek Koh, Sei Jin Chang, Myung Geun Kang, Bong Suk Cha, Jong Ku Park. Reliability and validity on measurement instruments for health status assessment in occupational workers. Korean J Prev Med 1997; 30(2): 251-266(Korean) 

  29. Sung Hee Lee, Ester Lyuh, Tai Woo Yoo. Studyfor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OOP/WONCA charts. J Korean Acad Fam Med 1995; 16(10): 684-691 (Korean) 

  30. Parkerson GR Jr, Broadhead WE, Tse CK. The Duke Health Profile. A 17-item measure of health and dysfunction. Med Care 1990; 28(11): 1056-72 

  31. Parkerson GR Jr, Willke RJ, Hays RD.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Duke Health Profilefor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atientstreatedwith alprostadil for erectile dysfunction. Med Care 1999; 37(1): 56-67 

  32. Bergner M, Bobbitt RA, Carter WB, Gilson BS. The Sickness Impact Profile: developmentand final revision of a health status measure. Med Care 1981; 19(8): 787-805 

  33. Apolone G, Mosconi P. The Italian SF-36 Health Survey: translation, validation and norming. J Clin Epidemiol 1998; 51(11): 1025-1036 

  34. Wagner AK, Gandek B, Aaronson NK, Acquadro C, Alonso J, Apolone G, Bullinger M,BjornerJ, Fukuhara S, Kaasa S, Leplege A, Sullivan M, WoodDauphinee S, Ware JE Jr. Cross-cultural comparisons of the content of SF-36 translations across 10 countries. J Clin Epidemiol 1998; 51(11): 9259-9262 

  35. Persson LO, Karlsson J, Bengtsson C, Steen B, Sullivan M. The Swedish SF-36 Health Survey II. Evaluation of clinical validity: results from population studies of elderly and women in Gothenborg. J Clin Epidemiol 1998 Nov; 5I(1I): 1095-1 103 

  36. Perneger TV, Leplege A, Etter JF, Rougemont A. Validation of a Frenchlanguage version of the MOS 36-Item Short Form Health Survey (SF-36) in young healthy adults. J Clin Epidemiol 1995; 48(8): 105I-1060 

  37. FukuharaS, WareJE Jr, Kosinski M, Wada S, Gandek B. Psychometric and clinical tests of validity of the Japanese SF-36 Health Survey. J Clin Epidemiol 1998 ; 51(11): 1045-1053 

  38. Gande kB, Ware JE,J ClinEpidemiol 1998 40. BrazierJ, Usherwood T, HarperR, Thomas K. Deriving a preference-based single indexfrom the UK SF-36 Health Survey. J Clin Epidemiol 1998; 51(11): 1115-1128 

  39. Gande KB, WareJE, J Clin Epidemiol 1998 

  40. Brazier J, Usherwood T, Harper R, Thomas K. Deriving a preference-based single indexfrom the UK SF-36 Health Survey. J Clin Epidemiol 1998; 51(11): 1115-1128 

  41. Holmes We. A short, psychiatric, casefinding measure for HIV seropositive outpatients: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5-itemmental healthsubscale of the SF20 in a male, seropositive sample. Med Care 1998; 36(2): 237-243 

  42. Berwick OM. Controlling variation in health care: a consultation from Walter Shewhart. Med Care 1991; 29(12): 1212-1225 

  43. Stewart AL.,Ware JE. Measuring funcitonng and Well-being: The Medical Outcome Study Approach.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1992 

  44. Mangione CM, Seddon JM, Cook EF, Krug JH Jr, Sahagian CR, Campion EW, Glynn RJ. Correlates of cognitive function scores in elderly outpatients. JAm Geriatr Soc 1993; 41(5): 491-497 

  45. 이홍재. 일부농촌과 도시 거주민의 보건행태의 차이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보건대학원 석사논문, 1994 

  46. Ruffing-Rahal MA, Barin LJ, Combs CJ. Gender role orientation as a correlate of perceived health, health behavior, and qualitative well-being in older women. J WomenAging 1998; 10(1): 3-19 

  47. Mangione CM, Seddon JM, Cook EF, Krug JH Jr, Sahagian CR, Campion EW, Glynn RJ. Correlates of cognitive function scores in elderly outpatients. J Am Geriatr Soc 1993; 4(5): 491-497 

  48. Hoeymans N, Feskens EJ, van den Bos GA, Kromhout D. Age, time, and cohort effects on function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in elderly men. Am J Public Health 1997; 87(10): 1620-1625 

  49. Hoeymans N, Feskens EJ, Kromhout D, van den Bos GA. Age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status and selfrated health in elderly men. Soc Sci Med 1997; 45(10): 1527-1536 

  50. Shadbolt B. Some correlates of self-rated health for Australian women. Am J Public Health 1997; 87(6): 951-956 

  51. Cockerham WC, Sharp K, Wilcox JA. Aging and perceived health status. J Gerontal 1983; 38(3): 349-355 

  52. Jylha M, Leskinen E, Alanen E, Leskinen AL, Heikkinen E. Self-rated health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men of different ages. J Gerontol 1986; 41(6): 710-717 

  53. Carlson P. Self-perceived health in East and West Europe: another European health divide. Soc Sci Med 1998; 46(10): 1355-1366 

  54. Stronks K, van de Mheen H, van den Bos J, Mackenbach JP.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come, health and employment status. Int J Epidemiol 1997; 26(3): 592-6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