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지역 거주 노인의 인지기능장애 및 치매 유병률
Prevalence Rat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Among the Elderly in Busan 원문보기

예방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36 no.1, 2003년, pp.63 - 70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수일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영인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황인경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이봉숙 (한국노화연구소) ,  김민정 (부산대학교병원 신경심리검사실) ,  초의수 (부산시 정책개발실) ,  전진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정인숙 (부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in elderly people, aged 65 or above, residi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Methods : Total of 1,101 old people, aged 65 or above, living in Busan as of December 31, 2001 were selected using stratified three-stage cluste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편 이차 진단과정에서 사용하는 도구는 신경심리검사로 2단계 측정의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는 것이 매우중요하다. 따라서 가능한 여러가지 도구를 동시에 활용함으로써 각 도구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또한 측정자간의일치도를 높이기 위해 치매 환자에 대한신경심리검사를 오랫동안 담당하고 있는임상심 리사와 노인전문간호사가 개 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에 앞서 임상심리사, 노인전문간호사, 그리고 전공의가 3 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사전면담을 하고이들간에 높은 일치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65 세 노인인구를 대상으로 인지기능장애정도와 치매 유병률을 조사한 것이다. MMSE-K24점 이하를 인지기능장애의절단점으로 하였을 경우 인지기능장애조유병률은 29.
  • 이와 같이 도시 지역의 치매 유병률 자료가 상당히 제한적임을 감안하여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확률표본추출에 의해 대상자를 선정하고 이차에 걸친 역학조사를 실시함으로써 도시지역의 치매 유병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차 검사는 임상심리사, 노인전문간호사 및 신경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실시되었으며, 응답률을 높이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두고 반복 접촉을 시도하였고 필요한 경우 이들이 직접 가정 방문을 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러나 역학조사에 대한 인식부족과 치매환자 혹은 치매가 의심되는 노인이 있다는 사실이 외부에 알려지는 것을 꺼려하는 관계로 상당수의 대상자들이 면담을 거부하여 조사에 한계가 있었으며, 따라서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홍보와, 발견된 환자에 대하여 실질적이며 구체적인 도움을 주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orea Statistical Office. Population Projections. URL: http://www.nso.go.kr 

  2. Oh JJ.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Dementia Patients in Community. J Korea Community Health Nur Acad Soc 1997; 11(2): 141-151 (Korean) 

  3. Alloul K, Sauriol L, Kennedy W, Laurier C, Tessier G, Novosel S, Contandriopoulos A. Alzheimer's disease: A review of the disease, it's epidemiology and economic impact. Arch Gerontol Geriatr 1998; 27: 189-221 

  4. Woo JI, Lee JH, Yoo KY, Hong JP, Kim CY, Kim YI, Lee JW. The prevalence of dementia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area of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7; 36: 92-101 (Korean) 

  5. Suh GH.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Korean) 

  6. Cho MJ, Hahm BJ, Ju JH, Bae IN, Kweon JS.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riement and dementia among the elderly in a cit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8; 37(2): 352-362 (Korean) 

  7. Kwak DI, Choi YK, Jung IK, Lee MS. Epidemiological Study of Dementia in a Korea Urban Area, J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99; 3(1): 44-52 (Korean) 

  8. Kim DH, Na DL, Yeon BG, Kang YW, Min KB, Lee SH, Lee SS, Lee MR, Pyo OJ, Park CB, Kim SM, Bae SS, Prevalence of Dementia in the Elderly of an Urban Community in Korea. Korean J Prev Med 1999; 32(3): 306-316 (Korean) 

  9. Jorm AF. Korten AE.. Henderson AS. The prevalence of dementia: A quantitative integration of the literature. Acta Psychiatr Scand 1987; 76,465-479 

  10.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Working Group. Canadian study of health and aging : study methods and prevalence of dementia. Can Med Assoc J 1994; 150: 899-913 

  11. Park JH, Cho SW. Etiological Classification and Epidemiology of Dementia. 1 Korean Geriatr Psychiatry 1997; 1(1): 1622 (Korean) 

  12. Hahm BJ, Kim JK, Cho MJ. Precvalenc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Dementia and Depressive Disorders of the Elderly Residing in the Community: A Two Stage One-year Follow-up Study. J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99; 3(2): 140-148 (Korean) 

  13. Yamada M, Sasaki H, Mimori Y, Kasagi F, Sudoh S, Ikeda J, Hosoda Y, Nakamura S, Kodama K. Prevalence and risks of dementia in the Japanese population: RERF' s adult health study Hiroshima Subjects. J Am Geriatr Soc 1999; 47(2): 189-195 

  14. Breteler M. Vascular risk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Neur Aging 2000; 21: 153-160 

  15. Folstein MF, Folstein SE, McHugh PR. 'Mini-Mental State' :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J Psychiatr Res 1975; 12: 189-198 

  16. http://www/metro.Busan.kr. (Korean) 

  17. Kwon YC, Park JH. Standardizat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for the elderly(MMSE-K).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89; 28: 125-135 (Korean) 

  18. Park JH, Park YN, Ko HJ.Modificat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with the Elderly in a Non-Western Society. Int J Geriatr Psychiatry 1991; 5: 381-387 

  19. Berg M. Mild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 Diagnostic criteria and natural history. Mt Sinai J Med 1988; 55: 87-96 

  20. Hughes CP, Berg L, Danziger WL, Coben LA, Martin RL. A new clinical scale for the staging of dementia. Br J psychiatry 1982; 140: 566-572 

  21. Jung IK, Kwak DI, Joe SH, Lee HS. A Study of Standardization of Korean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GDS). J Korean Geriatric Psychiatry 1997; l: 6172 (Korean) 

  22. Rosen WG, Terry RD, Fuld PA, Katzman R, Pecj A. Pathological verification of ischemic score in differentiation of dementias. Ann Neurol 1980; 7: 486-488 

  23. Reisberg B, Ferris SH, Georgotas A, de Leon MJ, Schneck MJ.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for the assessment of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Am J Psychiatry 1982; 139: 1136-1139 

  24. Mahoney FI, Barthel DW.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d Med J 1965; 14: 61-65 

  2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3rd edition-revis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1987 

  26. Shibayama H, Kasahara Y, Kobayashi H. Prevalence of dementia in a Japanese elderly population. Acta Psychiary Scand 1986; 74: 144-151 

  27. Li G, Shen YC, Chen CH, Zhao YW, Li SR, Lu M. An epidemiological survey of age related dementia in an urban area of Beijing. Acta Psychiatry Scand 1989; 79: 557-563 

  28. Zhang M, Katzman R, Salmon D, Jin H, Liu WT, Wang Z, Qu G, Grant I, Yu I, Levy P, Klauber MR, Liu WT. The prevalence of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in Shanghai, China: impact of age, gender, and education. Ann Neurol 1990; 27: 428-437 

  29. Park JH. Epidemiolohy of Dementia in Elderly People in Jookjang-Myun, Pohang, Kyungpook Province: 1990-1999. J Korean Geriatric Psychiatry 2000; 4(1): 50-57. (Korean) 

  30. Park JH, Ko HJ. Etiological classification of dementia abd relative prevalence of imprtant dementia among the elderly in a Myun area of Yungil County, Kyungpook Province.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1; 30(5): 885-891 (Korean) 

  31. Graves AB, van Duijn CM, Chandra V, Fratiglioni L, Heyman A, Jorm AF, Kokmen E, Kondo K, Mortimer JA, Rocca WA. Alcohol and tobacco consumptions as risk factors for Alzheimer's disease : a collaborative reanalysis of case-control studies. Int J Epiemiol 1991; 20(suppl 2): S48--S57 

  32. Ogura C, Nakamoto H, Uema T, Yamamoto K, Yonemori T, Yoshimura T. Prevalence of senile dementia in Okinawa, Japan. COSEPO Group. Study Group of Epidemiology for Psychiatry in Okinawa. lilt J Epidemiol 1995; 24(2): 373-380 

  33. Lin RT, Lai CL, Tai CT, Liu CK, Yen YY, Howng SL. Prevalence and subtype of dementia in Southern Taiwan : Impact of Age, Sex, Education, and Urbanization. J Neurol Sci 1998; 160:67-75 

  34. Woo Jl, Lee JH, Hong JP. The effect of age, sex, educational level on the MMSE-K among the elderly in a rural area of Korea.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6; 32: 122-132 (Korean) 

  35. Evans DA, Funkenstein HH, Albert MS, Scherr PA, Cook NR, Chown MJ, Hebert LE, Hennekens CH, Taylor JO. Prevalence of Alzheimer' s diseas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lAMA 1989; 262: 2551-2556 

  36. Park JH. Dementia: Introduction and Epidemiology. 2nd Symposium of Neurology Research Meeting. 1997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